무상의료 운동본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기자회견문]

 

건강보험공단은 생계형 체납자 결손처분 확대하고

징벌적 제재 중단하라

 

 

의료보장의 한 축인 건강보험은 보험료 부담능력이 있는 경우에 한정하여 강제적용 되며 성별계층지역 구분 없이 균등한 급여혜택을 보장하는 것을 주요 원리로 삼는다다만건강보험은 경제적 수준에 따라 누진적 부과를 하는 세금과는 달리 능력에 따른 비례부담을 원칙으로 하고 있어부담능력 반영이 세밀하지 못할 경우 보험료 부담의 역진성을 배제하기 어려운 한계를 갖는다건강보험의 자격유지와 부담능력은 개인의 삶을 규정하는 사회경제적 조건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다특히,실업이나 빈곤열악한 근로조건 등 사회적 위험에 장기간 노출되었거나 불리한 조건이 고착화된 계층에 대해서는 제도권에서 배제되지 않도록 각별한 주의와 정책적 판단이 요구된다고 볼 수 있다.

 

그러나현재 건강보험에는 광범위한 사각지대가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보고된다. ‘12~’15년 기준으로만 보아도 누적 체납자 수는 무려 405만명(216만세대)에 이른다건강보험료 6회 이상 장기체납으로 급여제한에 적용되는 대상자 규모이다지역가입자직장가입자와 피부양자의료급여 수급권자 등 체납액이 있는 가입자의 자격변동을 모두 고려한 실체적 수치로 건강보험 체납자 규모가 간과할 만한 수준이 아니라는 것을 알 수 있다문제는 이들 장기체납자의 월 평균 체납액이 4만 7천원으로 5만원 미만의 생계형’ 체납이 대다수이며월 3만원이하의 보험료 체납도 50%를 차지하고 있다누적체납 횟수도 평균 36.3회로 소액의 보험료 체납이 만성화되었음을 알 수 있다또한가족의 납부의무를 계승한 미성년자청년층 체납 규모도 47천명에 이르며체납자 대부분이 잦은 자격 변동과 짧은 자격 유지기간을 보이고 있어 노동시장의 빈번한 진입이탈 등 불안정한 고용상태 등에 직면한 결과임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생계형’ 체납은 사회경제적 조건이 취약한 계층에게서 발생하는 반복적이며 고착화된 문제이고, ‘소액의 잦은 체납’ 이 일반화 되어 있어 사실상 보험료 납부능력이 절대적으로 결여된 계층이라고 보아야 한다그렇다면, ‘가입자의 수급권 보장’ 관점에서 문제 해결과 대책을 마련해야 하나오히려 건강보험공단은 적극적인 추심자’ 역할만을 수행하고 있는 상황으로 급여제한’, ‘연체가산금 부과’, ‘부당이득금 징수’ 와 같은 징벌적 성격의 중복적 제재는 생계형 체납을 양산하는 또 다른 구조적 원인으로 주목되고 있다이미 국민권익위원회(2008)는 불이익이 강력하며 중복적 규제라는 문제의식 하에 급여제한 유예 등 제도개선을 권고한 바 있으나건강보험공단은 여전히 미온적인 태도로 일관하고 있다건강보험공단은 성실납부자와의 형평성과 도덕적 해이를 앞세우면서 현재와 같은 징수방식을 정당화 하고 있다그러나, ‘고액 상습 체납자의 징수율은 10%내외로(‘14~’16년 현황)매우 저조하며건강보험 가입자 전체 보험료 징수율이 99%를 초과하는 상태임을 감안한다면이 같은 주장은 불합리하며 상대적으로 없는 사람들을 짜내는 구조라는 비판을 면하기 어렵다.

 

이에 우리는 건강보험공단이 생계형’ 건강보험료 체납자 해결을 위해 다음과 같은 조치와 대책을 수행할 것을 강력하게 요구한다.

 

첫째생계형 건강보험료 체납자에 대한 대대적인 결손처분을 단행 하라.

 

오는 7월 보험료 부과체계 개편이 시행되더라도 생계형 체납자 문제는 해결이 불가능하다부과체계 개편으로 그동안 누적된 체납액이 해결되는 것이 아니며체납금 해소가 안 되는 상태에서 이와 맞물린 연체금 부과 및 부당이득금 징수 등 중복적 부담이 가중되는 현실은 여전히 유효하기 때문이다결손처분 확대를 중심으로 별도의 제도적 보완이 시급한 상황이나, 2016년 기준 건강보험공단 재정운영위원회가 결정한 지역 체납보험료 결손처분 승인 세대수는 73,976세대에 불과한 수준으로 건강보험공단 통계 기준 145만세대 생계형 체납자중 약 5%에도 못 미치고 있다지난해정부는 연소득 100만원이하 저소득 체납자 20만명에 대한 결손처분 추진 계획을 발표하였으나(경제관계장관회의, 2017.9), 참여정부 시절 생계형 체납자 829천세대를 대상으로 결손처분을 시행한 것과 비교하더라도 1/4에 불과한 규모이다현재 400만명 규모의 생계형 체납자 현실을 고려하면 범위와 대상에 있어 보다 적극적인 결손처분이 단행되어야 한다.

 

따라서건강보험공단이 집계하고 있는 지역가입자 연소득 500만원 이하 6회 이상 체납자’ 145만 세대에 대한 결손처분을 즉각 단행(약 1조 7천억원)할 것과기초생활수급권자임에도 불구하고 과거 건강보험료 체납으로 징수대상인 계층에 대해서도 결손처분을 전면 시행할 것을 촉구한다.

 

둘째생계형 체납자에 대한 징벌적 제재를 즉시 중단하라.

 

우선건강보험료 체납에 따른 급여제한과 부당이득금은 전면 폐지해야 한다이미 연체금 부과가 되고 있는 가운데 적용되는 중복적이며 과도한 제재조치이며 부당이득금을 통한 징수율 제고 효과도 매우 제한적(약 2% 수준)이다급여제한과 부당이득금 징수는 사실상 의료이용을 제한하는 장벽이고 취약계층의 의료이용과 건강권을 위협하는 징벌적 수단으로건강보험공단은 이러한 반인권적 제제를 강제해서는 안 된다또한, ‘압류절차에 있어서도 국세징수법에 근거한 압류금지 규정(소액 예금 채권 압류 금지)을 준수할 것을 촉구한다건강보험공단은 가입자의 금융정보를 확인할 수 없다는 이유로 선압류 후 당사자 소명이 있는 경우에 이를 해제하고 있으나엄밀히 보면 이는 법규정을 위반하는 것이다. 150만원 이하 잔액보유자에 대해서는 압류를 금지하고 기압류자에 대한 압류도 즉각 해제해야 한다.

 

미성년자 연대납부 의무’ 도 개선되어야 할 사항이다미성년자에 대한 독촉·압류와 같은 반인권적 징수 행태는 이미 작년에 드러난 사항으로 아동보호시설(그룹홈 등)에서 생활하는 미성년자임에도 불구하고 부모의 체납 보험료에 대한 연대책임을 부과한 것이 원인이 되었다이 문제가 불거져 나온 이후 소득 없는 미성년자’ 연대납부 의무는 폐지되었으나(‘17.4). ’생계를 위해 근로를 해야 하는 미성년자에 대한 연대납부 의무는 지금도 존속되고 있다불가피하게 노동현장에 내몰린 미성년자에게도 보험료를 강제하는 것이 사회보험 원리에 적합한 징수방식이라고는 볼 수 없다.

 

분할납부제도‘ 또한 제도개선 사항이다현재 체납보험료의 분할납부기간은 최대 24개월로 한정하고 있으나이 같은 분할납부기간은 연장될 필요가 있다체납 보험료를 납부할 의지가 있는 가입자도 존재하는 것으로 최대한 분할납부로 통한 완납이 가능하도록 기회 제공은 보다 넓혀주어야 한다또한건강보험법에 명시된 분할납부를 법률적 근거가 아닌 공단 내부의 가이드라인을 적용하여 체납급액의 일정금액을 일시납부할 경우에만 분할납부 신청을 승인하거나공단 재량에 따라 신청을 거부하는 경우도 있다이 같은 공단의 자의적 판단에 따른 징수 행태는 바로잡아야 한다.

 

셋째정부는 공공부조 제도를 확대하여 생계형‘ 체납 문제를 원천적으로 해결해야 한다.

 

생계형‘ 체납의 발생은 근본적으로 기여책임을 부여하기 어려운 계층임에도 불구하고 건강보험료를 강제하는 왜곡된 의료보장 운영방식에 기인한 것이다. ’생계형‘ 체납 세대는 보험료 부담능력이 절대적으로 결핍된 계층이며 불안정 고용과 실직파산을 빈번하게 경험하는 등 사회경제적 위험요인에 노출된 세대가 주를 이룬다문제는 이러한 사회적 취약성이 오히려 의료보장의 배제 요건이 되는 모순적인 제도운영을 정부가 방치하고 있다는 점이다기여를 전제로 하는 건강보험 가입자의 수급권이 아닌 의료급여 수급권자로서의 자격 전환이 절실한 상황이다의료급여 수급권자는 ‘17년 기준 148만명으로 전체 인구 중 약 3%가 적용된다우리나라의 상대적 빈곤율(빈곤 위험에 처한 인구비율)이 15%수준임을 감안할 때 1/5에 불과한 것으로 엄격한 자격기준이 되는 부양의무자 기준은 OECD에서도 제도개선을 권고하는 사항이다정부는 의료급여 수급권자 기준 중 부양의무자 기준을 폐지하여 수급권자 규모를 확대하고 생계형‘ 체납자의 수급권자 전환을 유도하는 제도적 개혁을 지금 즉시 단행해야 한다-

 

 

 

2018년 3월 21

 

건강세상네트워크건강권 실현을 위한 보건의료단체연합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공익변호사와 함께하는 동행공익인권법재단 공감국민건강보험노동조합기초법 바로세우기 공동행동내가 만드는 복지국가도봉민생상담소무상의료운동본부민주노총 공공운수노조 의료연대본부 서울지역지부 서울대병원분회민주사회를 위한 변호사모임 소수자 인권위원회빈곤사회연대사회적 협동조합 일하는학교시민건강증진연구소재단법인 동천전국보건의료산업노동조합전국의료산업노동조합연맹주빌리은행참여연대한국노동조합총연맹한국선천성심장병환우회홈리스행동


180320 생계형체납문제1.jpg


180320 생계형체납문제2.jpg



?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48 보도자료 [기자회견] 제주 녹지국제병원(영리병원) 철회를 위한 문재인 정부 행동 촉구와 원희룡 제주도지사 퇴진 요구 기자회견 file 무상의료운동본부 2018.12.10 5580
147 보도자료 [기자회견] 제주 녹지국제병원(영리병원) 허가 규탄 정론관 기자회견 file 무상의료운동본부 2018.12.06 4514
146 보도자료 [기자회견] 의료민영화 법제화 강행 더불어민주당 규탄 기자회견 1 file 무상의료운동본부 2018.11.20 5667
145 보도자료 [공동기자회견] 개인의료정보 상업화 반대 노동시민사회단체 기자회견 file 무상의료운동본부 2018.10.10 4477
144 보도자료 [기자회견 및 연좌 농성]더불어민주당 신임 당대표 면담 및 규제프리존법 등 박근혜-최순실 법 졸속 합의 더불어민주당 규탄 기자회견 file 무상의료운동본부 2018.08.28 5803
143 보도자료 [기자회견]적폐 법안, 생명안전공익 위협 법안 규제프리존특별법 등 처리 합의한 국회를 규탄한다! file 무상의료운동본부 2018.08.20 4375
142 보도자료 6.13 지방선거 정책질의 응답 결과 발표 2 file 무상의료운동본부 2018.06.11 3612
141 보도자료 6.13 지방선거 정책질의 응답 결과 발표 file 무상의료운동본부 2018.06.08 3804
140 보도자료 요양급여 비용효과성 항목 삭제 입법예고에 대한 반대 의견서 제출 file 무상의료운동본부 2018.06.04 3944
139 보도자료 보건복지부의 요양기관 자율점검제도 운영예고 반대 의견 제출 file 무상의료운동본부 2018.06.04 4217
138 보도자료 [보도자료] 무상의료운동본부, 의사협회의 총궐기 규탄 기자회견과 긴급 대표자회의 개최 file 무상의료운동본부 2018.05.11 4257
137 보도자료 [입장서] 보건의료 빅데이터 활용에 대한 시민사회노동단체의 입장 file 무상의료운동본부 2018.03.27 4100
» 보도자료 [기자회견] 의료보장 사각지대, 생계형 건강보험료 체납 해결을 위한 시민사회공동기자회견 file 무상의료운동본부 2018.03.21 4152
135 보도자료 [기자회견] 건강보험 보장성 강화 가입자 협의체 구성 및 보건복지부 장관 면담 요구 기자회견 file 무상의료운동본부 2018.01.31 3970
134 보도자료 [기자회견]문재인 정부 제주 영리병원 불허 응답 촉구 노동 시민사회단체 대표자 기자회견 file 무상의료운동본부 2018.01.09 4416
133 보도자료 [기자회견] “건강보험 보장성 강화는 의사와 정부의 협상대상이 아니다”-국민건강보험의 보장성 강화와 거버넌스 재정립을 요구하는 시민사회노동계 기자회견 file 무상의료운동본부 2017.12.27 4247
132 보도자료 [기자회견] 국내 비영리의료법인에 의한 영리병원 운영을 합법화하는 제주 녹지국제병원 승인 철회 촉구 기자회견 및 설명회 file 무상의료운동본부 2017.12.12 3923
131 보도자료 규제프리존법·서비스산업발전법 폐기와 생명안전 보호를 위한 공동행동 출범 기자회견 file 무상의료운동본부 2017.11.09 4068
130 보도자료 박근혜 의료민영화 정책 계승, 금융위원회 ‘건강관리서비스 가이드라인’ 폐기 촉구 기자회견 file 무상의료운동본부 2017.11.03 4442
129 보도자료 [공동기자회견]민간보험사에 개인정보 팔아넘긴 심평원 규탄 및 보건의료 빅데이터 사업 추진 중단 요구 기자회견 file 무상의료운동본부 2017.10.30 4669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Next
/ 13

서비스 링크

X
Login

브라우저를 닫더라도 로그인이 계속 유지될 수 있습니다. 로그인 유지 기능을 사용할 경우 다음 접속부터는 로그인할 필요가 없습니다. 단, 게임방, 학교 등 공공장소에서 이용 시 개인정보가 유출될 수 있으니 꼭 로그아웃을 해주세요.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