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상의료 운동본부

조회 수 5307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복지부의 의료민영화 추진 규탄 기자회견
- 의료민영화 추진 앞장서는 전재희 장관 규탄한다!

▢ 일시 : 2009년 5월 12일 오전 10시 30분
▢ 장소 : 보건복지가족부 앞
▢ 주최 : 건강연대
▢ 진행 : 보건의료단체연합 변혜진 기획국장

▢ 취지발언
■ 건강연대 조경애 운영위원장

▢ 발언
■ 의료기관 채권발행, MSO, 의료기관 합병의 문제
- 보건의료단체연합 우석균 정책실장

■ 건강관리서비스 시장화에 대한 의견 - 인도주의실천의사협의회 김정범 대표

■ 영리병원 ‘사회적 논의기구’에 대한 입장 - 보건의료노조 조은숙 부위원장

▢ 퍼포먼스

▢ 기자회견문 낭독
■ 민주노총 반명자 부위원장
■ 한국백혈병환우회 안기종 사무국장
■ 공공노조 이용진 부위원장

의료민영화 전면 재추진 선언 보건복지가족부 전재희 장관 규탄한다!

의료 공공성을 훼손하는 ‘서비스산업 선진화’즉각 중단하라!

정부는 지난 5/8일 청와대에서 ‘서비스산업 선진화를 위한 민관합동회의’를 열고 "단기적으로는 일자리를 창출하여 경제의 활력을 회복하고 중장기적으로는 지속 성장을 위한 제도적 기반이 조성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그러나 실제 내용은 정부의 취지와는 전혀 무관한 것이다. 오히려 그것은 고용창출전략 차원이 아니라 ‘교육과 의료 민영화’를 밀어붙이기 위한 포장술에 불과한 것이다.

정부의 이번 발표는 정권초기에 시도하였다가 촛불운동의 강력한 반대에 부딪혀 중단하였던 의료민영화의 재추진이다. 복지부의 ‘의료서비스산업 선진화 추진 과제’에서 작년 의료법개정안에 포함되었던 인수합병, MSO 등 의료민영화 정책의 전면 재추진을 시도할 것임을 밝히고 있다. 의료채권 발행과 MSO 영리기업화가 허용되면 민간보험과 결합하여 실질적인 의료민영화가 되어 대한민국 보건의료체계의 근간을 뒤흔들게 될 것이다.

의료채권발행·영리병원 도입, 모든 의료민영화 정책 반대한다!

‘서비스산업 선진화를 위한 민관합동회의’에서 영리병원 도입에 대한 기획재정부의 보고는 빠져 있지만 그것은 부처 간의 협의가 아직 안 된 사항인 까닭이지 기획재정부의 영리병원 도입 철회를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보건복지가족부의 보고에서 보듯 ‘검토 후 10~11월에 도입 여부를 결정하겠다’는 것은 정부가 계속 추진의사가 있음을 밝힌 것이다. 영리병원은 ‘환자의 치료’가 아닌 ‘자본투자자들의 이익’을 목적으로 한 병원을 뜻한다. 서비스 질 저하는 물론, 과잉진료와 부당청구 등을 통해 의료비는 높아지고, 의료비가 폭등하면 건강보험재정은 버티지 못하고 붕괴될 것이다.

또한, 보건복지가족부의 ‘의료서비스산업 선진화 추진 과제’ 확정안에는 이미 범시민사회에서 의료민영화 악법으로 규정한 내용들이 다수 포함되어 있다.

첫째, 의료기관 경영지원사업 활성화는 MSO(병원경영지원회사)의 영리기업화 허용을 의미하는 것이다. MSO 와 의료법인 인수합병 허용은 대형병의원네트워크와 지주회사를 허용하는 것이고 이 지주회사는 대자본이 될 것이다. 그리고 이 대자본은 보험회사가 포함된 대자본일 것이다. 결국 보험회사와 대형병원네트워크의 결합이 일어나는 것이고 이는 미국이 걸어간 의료민영화의 전철을 밟는 것이다.

둘째, ‘의료기관 채권 발행 허용’은 비영리법인인 의료기관이 상법 상의 채권을 발행하여 수익성 위주의 운영과 경쟁적 시설투자, 제약회사의 채권 매입 등의 폐단이 우려되는 사항이며 기대효과에 대한 근거 또한 미흡하다. 이 의료채권 도입 또한 대자본의 병원지배도구로 활용될 우려가 매우 큰 현실이다.

셋째, ‘경제자유구역의 외국의료기관 등 유치 지원’은 규제완화를 통해 외국 영리병원을 통해 검증되지 않은 의약품 및 의료기기의 수입 등 악영향을 불러올 것이다. 또한 전국에 걸쳐 분포된 경제자유구역의 특성에 의해 그 효과는 전국적으로 발생하게 될 것이며, 국내의료기관 역시 동등한 혜택을 거세게 요구할 것이다.

넷째, ‘건강관리서비스의 민영화’는 엄연한 의료행위인 건강관리서비스를 상품화하겠다는 것이다. 이것은 건강관리비용의 추가부담으로 국민의료비만 가중시킬 것이며, 의료법의 저촉을 받지 않는 ‘민간 건강관리서비스 회사’를 통해 개인건강정보가 유출되는 경로가 될 것이다.
‘중소병원 전문화’는 결국 수익성이 낮은 진료과목의 폐지로 의료접근성을 떨어뜨릴 것이다.

보건복지가족부가 전면적인 의료민영화 추진을 진행하며, 영리병원(투자개방형병원)에 대해서만 ‘사회적 논의기구’를 구성하여 검토하겠다는 것은 국민을 기만하는 행위이다. 의료서비스 조차 돈벌이산업으로 여기며 국내 보건의료체계의 근간을 뒤흔들 정책을 일방적으로 강행해서는 안 될 것이다. 정부는 의료민영화 전면 재추진을 즉각 중단하고, 모든 의료민영화 정책 전반에 대해 재검토해야 할 것이다. 영리법인병원만을 논의하는 사회적 논의기구는 무의미하다. 우리는 의료민영화 전반에 대해 논의하는 사회적 논의기구를 즉각 만들 것을 요구한다.
의료민영화 추진 중단과 전면 재검토가 이뤄지지 않는다면 우리는 보건복지가족부 장관 퇴진 운동에 나설 것이며, 전재희 장관은 의료민영화를 추진한 장관이라는 오명을 얻게 될 것이다.

경제위기 시기인 지금, 의료의 돈벌이수단화 웬 말인가?

경제위기로 인해 대다수 서민들이 고통 받고 있는 상황에서 의료민영화 추진이 웬 말인가? 건강 안전망을 튼튼하게 갖추는 데 총력을 기울여도 모자랄 시기에 대다수 서민들의 고통을 외면하는 의료민영화정책은 국민들의 분노를 불러올 것이다. 의료는 돈벌이의 수단이 되어선 안 된다. 건강은 국민이 누려야 할 권리이다. 의료영리화와 규제완화는 결국 국민들의 가슴에 피멍이 들게 할 뿐이다.
이명박 정부가 추진하는 ‘서비스 산업화’란 결국 ‘민영화’를 뜻하는 것이다. 산업화 흐름을 촉진해 교육과 의료를 이윤창출의 수단으로 전락시키는 ‘서비스 산업화’는 당장 중단해야 할 것이다. 일자리 창출과 경제활력을 회복하기 위해서는 시장화, 민영화에 의해서가 아니라 의료급여의 확대, 건강보험보장성 강화, 공공의료체계의 확대 강화 등 건강안전망 확충과 의료 공공성을 더욱 강화하여야 이루어질 수 있다. 정부는 의료민영화 정책을 즉각 철회하고 국민 건강권과 의료보장을 위한 정책 추진에 나서야 한다. (끝)

2009년 5월 12일

건강권 보장과 의료 공공성 강화를 위한 희망연대
□ 시민사회단체 건강세상네트워크, 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 서울YMCA시민중계실, 의료소비자시민연대, 참여연대, 한국백혈병환우회, 한국의료생협연대, 한국장애인단체총연맹 □ 노동조합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 전국공공서비스노동조합, 전국보건의료산업노동조합, 전국공공연구노조 보건사회연구원지부, 연세의료원노동조합 □ 농민단체 전국농민회총연맹, 전국여성농민회총연합, 한국농업경영인중앙연합회 □ 진보의료단체 건강권실현을위한보건의료단체연합, 건강사회를위한약사회, 건강사회를위한치과의사회, 노동건강연대, 인도주의실천의사협의회, 참의료실현청년한의사회, 기독청년의료인회, 행동하는의사회 □ 지역단체 대전참여자치연대, 광주전남보건의료단체협의회(건강사회를위한약사회 광주전남지부, 건강사회를위한치과의사회 광주전남지부, 광주전남 인도주의실천의사협의회, 전국보건의료산업노동조합 광주전남지역본부, 전국공공서비스노동조합 전국사회보험지부 광주전남지회, 광주지역보건계열 대학생협의회), 부산보건의료연대회의(인도주의실천의사협의회 부산지부, 건강사회를 위한 약사회 부산지부, 건강사회를 위한 치과의사회 부산지부, 참의료실현 부산청년한의사회/전국보건의료산업노동조합 부산지역본부/전국공공서비스노동조합 전국사회보험지부 부산지회/공공서비스노동조합의료연대본부 부산지역본부/진보신당 부산시당 건강위원회(준)/민주노동당 부산시당)
?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72 논평 [논평] 21대 국회 보건복지위원회에 바란다 file 무상의료운동본부 2020.06.16 3494
371 보도자료 [보도자료] 가명정보 결합 및 반출 고시(안)에 대한 시민사회 의견서 file 무상의료운동본부 2020.06.17 3506
370 [성명] 제약사 특혜 챙기기의 온상이 된 ‘글로벌 혁신신약 약가우대’ 전면 폐기하라 file 무상의료운동본부 2018.11.13 3521
369 보도자료 [기자회견] 2020총선시민네트워크 발족 선언 기자회견 file 무상의료운동본부 2020.03.18 3522
368 논평 [논평] 메르스, 코로나19 모두에 뚫린 자칭 최고 병원 삼성서울병원, 메르스 손실보상금 607억 원 지급 판결이 웬 말이냐 무상의료운동본부 2020.05.22 3530
367 [기자회견]규제 프리 지역특화특구법 통과 시도 규탄 기자회견 file 무상의료운동본부 2018.09.19 3553
366 보도자료 [보도자료]건강보험료 결정 무상의료운동본부 입장 발표 기자회견 file 무상의료운동본부 2019.06.28 3561
365 보도자료 [기자회견] 건강보험 재정 국가책임 정상화 및 확대를 위한 100만 서명운동 기자회견 file 무상의료운동본부 2019.08.07 3582
364 보도자료 [보도자료]건강보험 재정에 대한 국가 책임 촉구 및 보험료 인상 반대 기자회견 file 무상의료운동본부 2019.08.27 3591
363 보도자료 [정당 정책질의] 21대 국회의원 총선거 대정당 보건의료 정책 질의 file 무상의료운동본부 2020.03.30 3594
362 보도자료 [보도자료] 코로나 사태 극복을 위한 노동·시민사회의 제언​ 무상의료운동본부 2020.03.18 3597
361 [기자회견] 규제프리존법 4당 원내대표 협상 중단 기자회견 file 무상의료운동본부 2017.03.17 3605
360 보도자료 6.13 지방선거 정책질의 응답 결과 발표 2 file 무상의료운동본부 2018.06.11 3608
359 성명 박근혜 적폐, 의료민영화의 핵심, 제주 녹지국제영리병원 청산! file 무상의료운동본부 2018.08.09 3614
358 보도자료 [기자회견] 인재근 의원의 ‘개인정보 보호법 개악안’ 철회 촉구 기자회견 file 무상의료운동본부 2019.07.04 3619
357 성명 [공동성명] 정보인권 보호가 규제혁파의 대상인가 file 무상의료운동본부 2020.05.06 3624
356 보도자료 노동시민사회, 데이터3법 개악 중단, 사회적 논의 요구 공동기자회견 개최 file 무상의료운동본부 2019.11.14 3642
355 보도자료 [기자회견] 문재인 정부 의료 민영화 법안 국회 통과 저지 긴급 기자회견 file 무상의료운동본부 2019.07.16 3644
354 보도자료 소비자·시민사회단체들, 국회 행안위 개보법안 개악 반대 긴급 기자회견 file 무상의료운동본부 2019.08.29 3659
353 [기자회견] "건강보험 흑자 17조 원을 국민에게" 운동 선포 노동시민사회단체 기자회견 file 무상의료운동본부 2015.09.16 3684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 28 Next
/ 28

서비스 링크

X
Login

브라우저를 닫더라도 로그인이 계속 유지될 수 있습니다. 로그인 유지 기능을 사용할 경우 다음 접속부터는 로그인할 필요가 없습니다. 단, 게임방, 학교 등 공공장소에서 이용 시 개인정보가 유출될 수 있으니 꼭 로그아웃을 해주세요.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