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상의료 운동본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상식이 있는 정부라면, 건강보험과 국민연금에 대한 책임부터 다하라

 

월급 빼고 다 오르고 있다. 정부는 물가 대책은 내놓지 않고 엄한 임금만 때려잡고 있다. 정부가 나서 물가 피해가 집중되는 취약 계층을 적극 지원하고 나서야 할 판에 나라 곳간을 걸어 잠그고 있다. 국제기구도 재정 여력이 충분하니 돈을 더 쓰라는데 한국 정부와 관료들은, 긴축, 긴축 오로지 긴축만 부르짖는다. 일자리 사업은 줄이고 사회복지 책임은 회피하며, 재벌에게는 특혜, 부자에게는 감세 선물 폭탄을 안겨주고 있다.

 

건강보험과 국민연금은 국민의 건강과 노후 소득을 지키는 최후의 보루다.

어떤 위기 상황에서도 무너지게 두어서는 안 된다. 그런데 정부는 건강보험과 국민연금을 지키기는커녕 최소한의 책임도 회피하며 국민에게 부담을 떠넘기고 있다. 사적 보험과 연금을 노골적으로 밀어 주며 공적 체계를 약화시키려 하고 있다.

 

국민연금 개악과 사적 연금 활성화를 국정 과제로 제시하고 밀어 붙이고 있다. 기금이 고갈된다며 더 내고 덜 받는 연금개악이 불가피하다고 주장하지만, 정작 연금재정에 정부가 기여하는 바는 사실상 전무하다. 해외 대부분의 국가들은 연금기금에 재정 지원을 하고 있다.

하지만 한국은 기금에 대한 정부 기여는 고사하고 제도 운영 경비마저 국민에게 떠넘기고 있는 실정이다. 국민연금 관리운영비 중 국고 비중은 1.8%에 불과하다.

건강보험 보장성 강화에 대해서는 110개 국정 과제에 단 한 구절도 없고 그나마 있는 국고 지원마저 올해 말 중단될 위기에 처해 있다. 국고 지원이 끊기면 그 부담은 고스란히 보험자, 즉 국민에게 전가되어, 18%의 급격한 보험료 인상이 불가피하다. 건강보험 국고 지원을 규정한 법률의 효력이 반년도 남지 않았지만, 정부도, 국회도, 정치권도 모두 손 놓고 만 있다.

 

국민연금과 건강보험이 축소되면 그 자리는 실비보험이나 연금저축 같은 민간 보험이 차지할 것이 분명하다. 연금 민영화, 의료 민영화다. 이처럼 정부의 정책은 명확하게 민영화를 향하고 있는데 윤석열 정부는 민영화는 아니라고 강변한다. 민영화를 민영화로 부르지 않는다고 민영화가 아닌 게 아니다. 민영화는 민영화다. 국민의 삶을 재벌의 돈벌이 수단으로 팔아 넘기는 것이다.

 

상식이 있는 정부라면 건강보험과 국민연금에 대한 국가의 책임부터 다 해야 한다. 건강보험 국고 지원을 상시화하고 20% 이상 부담을 명시해야 한다. 국민연금의 노후 소득 보장 기능을 확대하는 제대로 된 개혁을 추진하고 지속 가능성을 높이기 위해 국가 책임도 강화해야 한다.

 

정부는 지금 내년 예산을 편성 중이다. 벌써 열렸어야 할 국가재정전략회의는 열릴 기미조차 없다. 청와대에서 내리 꽂는 예산 감축을 만족시키기 위해 지연되는 것은 아닌지 걱정된다. 만약 건강보험, 국민연금에 대한 국가 책임을 제대로 지지 않고 회피한다면, 국민의 건강과 노후의 삶을 포기하는 것에 다름 아니다.

 

공공운수노조와 시민사회단체, 건강보험과 국민연금 노동자들은 연금과 의료 민영화 중단, 건강보험과 국민연금에 대한 국가 책임 강화, 보장성 확대를 요구한다. 우리는 민영화 중단, 사회공공성 강화를 요구하는 공공운수노조 7.2일 총궐기를 적극 지지하며 함께 할 것이다. 강력한 민영화 저지 전선을 구축하고, 건강보험-국민연금의 공공성 강화에 나설 것이다.

 

2022630

 

220630 건보 연금 국가책임강화 기자회견1.jpg

 

220630 건보 연금 국가책임강화 기자회견2.jpg

 

220630 건보 연금 국가책임강화 기자회견3.jpg

 

220630 건보 연금 국가책임강화 기자회견4.jpg

 

220630 건보 연금 국가책임강화 기자회견5.jpg

 

220630 건보 연금 국가책임강화 기자회견6.jpg

 

무상의료운동본부공적연금강화국민행동공공운수노조

?

  1. 첨단재생의료 및 첨단바이오의약품에 관한 법률안’에 대한 의견서

  2. 진주의료원 폐업 철회 촉구 기자회견

  3. 제주특별법 중 의료분야 개정안에 대한 의견서

  4. 제주특별법 교육 의료분야 개정안에 대한 공동 기자회견

  5. 제주자치도법 개정안 반대 기자회견

  6. 제주영리병의원 도입 중단 촉구 기자회견 및 의견서 전달

  7. 제주부터 건강보험 붕괴· 영리병원 허용, 의료 민영화법 의료법 개정 추진

  8. 제주도민을 실험대상으로 삼을 수 없다

  9. 제21대 국회의원 총선거 부적격자 및 정책질의 결과 발표

  10. 전국민 개인질병정보 보호와 보험업법개정안 폐기를 촉구하는 기자회견

  11. 장종호 심평원장 사표수리, 심평원장 공모 촉구를 위한 건강연대, 심평원노조 공동 기자회견

  12. 인천성모병원, 국제성모병원 명예훼손 죄 고소 기자회견

  13. 이화의료원 노조파괴범 개입 규탄과 장기파업 해결 촉구 성명서

  14. 이명박 대통령은 국민 전체를 죽음으로 내모는 광우병 위험 미국산 쇠고기 협상을 무효화 하라.

  15. 의료연대회의 08년 대표자회의에서 ‘건강연대’로 단체명 변경

  16. 의료악법추진 국회의원 후보명단 공개 보도자료(20120403)

  17. 의료비 폭등과 국민건강보험 위협하는 경제자유구역 국내영리병원 강행 규탄 기자회견

  18. 의료민영화 추진하는 금융위원회 규탄 기자회견

  19. 의료민영화 추진 기획재정부 규탄 기자회견

  20. 의료민영화 4대 악법 철폐와 건강보험 보장성 강화 촉구 기자회견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Next
/ 13

서비스 링크

X
Login

브라우저를 닫더라도 로그인이 계속 유지될 수 있습니다. 로그인 유지 기능을 사용할 경우 다음 접속부터는 로그인할 필요가 없습니다. 단, 게임방, 학교 등 공공장소에서 이용 시 개인정보가 유출될 수 있으니 꼭 로그아웃을 해주세요.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