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상의료 운동본부

[공동 성명]

 

영리병원 필요없다!

서귀포의료원과 제주대학교병원은 녹지국제병원과 체결한 응급의료MOU(양해각서)를 즉각 파기하라!

 

국내 1호 영리병원인 녹지국제병원이 지난 8월 제주도에 최종 설립허가를 요청하였다.

 

정부는 바뀌었고, 정책도 바뀌었다. 문재인정부의 영리병원 정책은 영리병원 반대이다.

하지만 녹지국제병원은 박근혜 정부에서 승인됐다는 이유만으로 문재인 정부와 원희룡 도정의 방관 속에 하루하루 개원이 임박해오고 있다.

 

지난 2015, 박근혜 정부는 녹지국제병원의 승인조건을 갖추기 위해 공공의료기관인 서귀포의료원과 제주대학교병원을 앞세워 녹지국제병원과 응급의료MOU를 체결했다. 특히 정부기관인 국토교통부 산하 제주국제자유도시개발센터(JDC)는 서귀포의료원과 제주대학교병원의 응급의료MOU에 보답하듯 공공의료기관-JDC-녹지그룹’ 3자간 의료관광 활성화MOU도 동시에 체결하며 영리병원 승인을 위해 발 벗고 나섰었다. 박근혜 정부가 공공기관들을 동원해 녹지그룹과 응급의료MOU를 체결한 이유는 2014년 당시 국내 1호 영리병원이 될 뻔한 싼얼병원의 불허 주요 이유 중 하나가 응급의료체계 미비였다. 따라서, 녹지국제병원의 보건복지부 승인을 위해서는 도내 의료기관과 응급의료업무협약이 필수였다.

실제로 201512월 보건복지부가 밝힌 녹지국제병원 승인의 이유 중 하나가 서귀포의료원, 제주대학교병원과 체결된 응급의료MOU가 응급의료체계 구축으로 보았기 때문이다. 공공의료기관인 서귀포의료원과 제주대학교병원이 박근혜 정부에 하에 녹지국제병원 승인을 위한 도구로 전락해 버린 것이다.

 

특히 녹지국제병원은 그 자체로 수술이나 처지 등 과정에서 발생되는 응급상황이 많은 병원이므로 자체 응급의료체계 구축이 필요했지만 돈벌이 병원에서 그러한 시설투자에 대한 것은 당연히 고려대상이 아니었던 것이다. 따라서 박근혜 정부가 직접 나서 지방의료원과 국립대병원을 동원해 영리병원 승인 조건을 갖추어 준 것이다. 박근혜 정부의 적폐는 청산되어야 한다. 정부와 제주도의 비호 하에 녹지국제병원의 승인 근거가 돼버린 서귀포의료원과 제주대학교병원의 녹지국제병원 응급의료MOU는 지금 당장 파기되어야 한다.

또한 20151218일 보건복지부가 녹지국제병원 승인 보도자료에서 밝힌 것처럼 녹지국제병원은 제주국제자유도시개발센터(JDC)의 제주헬스케어타운 사업조성의 일환으로 추진되는 사업이다. 말 그대로 녹지국제병원은 제주헬스케어타운 사업과 셋트로 진행되는 사업이라는 것이다.

 

하지만 제주헬스케어타운 조성사업은 중국의 해외송금 규제로 사업이 중단되어 추진 능력을 상실 한지 오래다. 따라서 2015년 승인 당시와 2017년 현재는 승인 조건이 완전히 달라져 있다. 녹지국제병원이 추진되어야 할 어떠한 근거도 없는 것이다.

 

또한 녹지그룹은 제주도와 체결한 제주도 특산물 500억 수출 MOU도 일방 파기하며 자기 책임을 지지 않는 부도덕한 기업이다. 기본 약속도 저버리는 기업을 어떻게 믿으며 이러한 기업에 돈벌이 병원인 영리병원 승인이 가당키나 하단 말인가?

우리 운동본부는 다시 한 번 요구한다.

 

-서귀포의료원과 제주대학교병원은 녹지국제병원 응급의료MOU를 지금 당장 파기하라!

-원희룡 도정은 국내 1호 영리병원 녹지국제병원 설립을 불허하라!

-문재인 정부는 국내 1호 영리병원 녹지국제병원 승인을 불허하라!

-녹지그룹은 녹지국제병원을 도민을 위한 비영리병원으로 즉각 전환하라!

 

2017. 10. 26

 

 

 

 

 

 

 

 

 

의료영리화저지와 의료공공성강화를 위한 제주도민운동본부

의료민영화저지와 무상의료실현을 위한 운동본부

?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90 성명 [성명] 정부의 '비의료 건강관리서비스' 해명자료 발표에 대한 무상의료운동본부 입장 영리기업 의료행위 허용이 의료 민영화가 아니라는 것은 궤변 file 무상의료운동본부 2022.11.07 145
189 성명 [성명] ‘개인정보보호법, 수사기관의 ‘원격 몰래 감시’의 문을 열었다. - 개인정보보호법 개정안의 상임위 통과를 규탄한다 file 무상의료운동본부 2022.12.06 148
188 성명 0807 [성명] 코로나19 확산하는 상황에서 검사·치료비 중단 등 방역완화 안 된다. 무상의료운동본부 2023.09.04 152
187 성명 [공동 성명] 원희룡 국토부 장관은 여전히 영리병원의 꿈을 꾸는가? - 국토부 산하 제주국제자유도시개발센터(JDC)는 ‘해외 영리병원’ 운영자인 차병원 자본을 위한 ‘제주도 의료법인 설립지침’ 개정 시도 중단하라! - file 무상의료운동본부 2022.08.08 155
186 성명 [성명] 노동자 대표 조직 배제하는 윤석열 정부 규탄한다. 명실상부 노동자를 대표하는 민주노총과 한국노총의 건강보험 재정운영위원 추천 배제 중단하라 file 무상의료운동본부 2023.05.04 158
185 성명 [성명] 코로나19 시대를 살고 있지 않은 듯한 주요 후보들 - 공공의료(병상, 인력 등)를 확충하라. 의료 민영화·영리화 공약 철회하라. file 무상의료운동본부 2021.03.31 159
184 성명 [성명] 물가 폭등, 생계 위기에 건강보험료율 인상한 윤석열 정부 규탄한다. file 무상의료운동본부 2022.08.30 159
183 성명 [성명] 건강보험료를 동결하라! 코로나19 비용은 정부 책임, 건강보험에 비용 전가하지 말라! file 무상의료운동본부 2021.08.26 161
182 성명 건강보험 법정 국고지원 준수하라. 국고지원 시한을 없애고 항구 지원하도록 법을 개정하라. file 무상의료운동본부 2021.11.17 161
181 성명 [성명] 심평원은 윤석열 정부 의료 민영화 정책의 첨병이 되려 하는가 윤석열 정부는 공공기관 개인의료정보를 더욱 민간에 넘기려는 시도를 중단하라. file 무상의료운동본부 2022.10.17 163
180 성명 [성명] ‘서비스산업발전기본법’은 의료 민영화법이다. 윤석열 정부는 의료와 공공서비스 민영화법 ‘서비스산업발전기본법’ 재추진 중단하라. file 무상의료운동본부 2022.11.24 172
179 성명 [성명] 모두에게 아프면 쉴 수 있는 ‘백신휴가’ 보장하라. 사각지대와 차별없는 백신 접종 촉구한다. file 무상의료운동본부 2021.03.29 179
178 성명 [성명]병상 확충 관련 대통령 특별지시 관련 성명 - 공공병원과 의료인력 확충에 대한 단기, 중기 계획과 대규모 재정 투입 계획이 빠진 정부 대책 발표는 공허하다. file 무상의료운동본부 2021.12.21 180
177 성명 [성명] 시민사회단체들은 보건의료노조 파업 지지한다 file 무상의료운동본부 2023.07.12 183
176 성명 [성명] 영리병원 손 들어준 제주지방법원 판결 유감 file 무상의료운동본부 2022.04.07 189
175 성명 [성명] 검증 안 된 의료기술 대폭 허용하려는 윤석열 정부 규탄한다. file 무상의료운동본부 2023.09.04 191
174 성명 [공동성명]병원들의 간병인들에 대한 불법 의료행위의 지시와 방조행위를 즉각 중단하라!!! file 무상의료운동본부 2021.04.19 195
173 성명 [성명]자격 미달 후보를 위해 낯뜨거운 칭송을 남발하며 제 식구 감싸기에 나선 의사 단체들 -그래도 정호영 후보는 복지부 장관 자격이 없다 file 무상의료운동본부 2022.05.09 210
172 성명 [성명] 녹지국제병원 허가 취소 뒤집은 광주고등법원 판결은 부당하다 file 무상의료운동본부 2021.08.18 211
171 성명 [보도자료 성명] 환자 편의 운운은 명분일 뿐이다. ‘실손보험 청구 간소화’ 보험업법 개정안 폐기하라 file 무상의료운동본부 2021.11.17 211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Next
/ 11

서비스 링크

X
Login

브라우저를 닫더라도 로그인이 계속 유지될 수 있습니다. 로그인 유지 기능을 사용할 경우 다음 접속부터는 로그인할 필요가 없습니다. 단, 게임방, 학교 등 공공장소에서 이용 시 개인정보가 유출될 수 있으니 꼭 로그아웃을 해주세요.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