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상의료 운동본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성명]

 

 

윤석열 정부는 건강보험 정부 지원금 즉각 전액 지급하라

 

윤석열 정부에서는 전례없던 일들이 벌어진다. 그중 하나가 2022년 말 건강보험 정부 지원법을 일몰시켜 건강보험에 대한 국가 책임을 털어내려 했던 일이다. 이는 건강보험을 심각하게 약화시키는 것으로, 개인진료정보 전자전송법, ‘비의료 건강관리서비스허용 등 민영보험을 활성화하는 정책들과 비교해 보면 그 의도가 더 분명해진다.

 

다행히 건강보험 정부 지원을 폐기하려는 시도에 대한 건강보험노동조합의 투쟁과 시민사회단체들의 강력한 항의로 건강보험 정부 지원은 다시 5년 연장됐다. 그러나 건강보험 재정 파탄을 걱정한다는 윤석열 정부는 끝내 항구적 지원을 법제화하지는 않았다. 오히려 적정 국고 지원 비율에 대해 논의하겠다고 했다.

 

윤석열 정부를 비롯한 우파 정부들은 상대적으로 건강보험제도 강화에 더 관심이 없다. 건강보험을 민영화하려 했던 이명박 정부가 그랬고, 건강보험 보장성을 축소하고 건강보험을 기금화하려 한(하는) 윤석열 정부가 그렇다. 물론 노골적으로 정부 지원을 줄인다거나 할 정도로 윤석열 정부가 강력하지 않을뿐더러 국민 여론도 그렇게 호락호락하지 않다.

 

그러나 윤석열 정부가 건강보험을 홀대한다는 건 사실이다. 예산에 배정된 건강보험 정부 지원금 109천억 원 지급을 미루고 있는 것도 그중 하나다. 이전 정부들 중 예산에 배정된 건강보험 지원금을 이렇게 미룬 경우는 없었다. 그러나 이 정부는 전례없이 아주 최근에야 예산에 배정된 109천억 원 중 2조가량만 지급했다고 한다. 예산에 배정된 돈이므로 미룰 이유가 없다.

 

건강보험노조가 우려했듯이 윤석열 정부가 정부 지원금 지급을 미뤄 나머지 지원금 중 일부는 집행유보할 가능성도 없지 않다. 주로 부자 감세로 인해 극심한 세수 부족 사태가 발생했기 때문이다. 자신의 잘못된 정책으로 인해 초래된 일의 책임을 다른 데 전가하려 해서는 안 된다.

 

윤석열 정부가 건강보험 재정 파탄 운운하면서도 지원금 지급을 미적거리는 것은 건강보험 재정 강화에 별 관심이 없음을 보여 줄 뿐이다.

윤석열 정부는 정부 지원금 전액을 즉각 지급하라.

 

 

 

 

 

 

2023112

 

의료민영화 저지와 무상의료 실현을 위한 운동본부

 

가난한이들의건강권확보를위한연대회의건강권실현을위한보건의료단체연합(건강권실현을위한행동하는간호사회,건강사회를위한약사회, 건강사회를위한치과의사회, 노동건강연대, 인도주의실천의사협의회, 참의료실현청년한의사회), 건강세상네트워크기독청년의료인회대전시립병원설립운동본부한국의료복지사회적협동조합연합회건강보험하나로시민회의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한국노동조합총연맹전국보건의료산업노동조합전국공공운수사회서비스노조공공운수노조의료연대본부국민건강보험노동조합전국의료산업노동조합연맹전국농민회총연맹한국농업경영인중앙연합회전국여성농민회총연합전국여성연대빈민해방실천연대(민노련전철연), 전국빈민연합(전노련빈철련), 노점노동연대참여연대천주교빈민사목위원회참교육을위한전국학부모회평등교육실현을위한전국학부모회사회진보연대노동자연대장애인배움터너른마당일산병원노동조합학교급식전국네트워크약사의미래를준비하는모임행동하는의사회건강보험심사평가원노동조합전국정보경제서비스노동조합연맹건강정책참여연구소민중과 함께하는 한의계 진료모임 길벗, 전국보건교사노동조합

?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70 성명 [성명] 의료 민영화가 혁신이라는 윤석열 대통령 규탄한다. file 무상의료운동본부 2024.01.31 425
69 성명 [성명] 의대정원 확대 반대를 위한 의사들의 집단행동은 아무런 정당성도 없다. 의협과 전공의들은 집단 진료거부 계획을 철회해야 한다. file 무상의료운동본부 2024.02.19 433
68 성명 [성명] 윤석열 정부의‘중증진료체계 강화 시범사업’은 건강보험 재정 낭비다. 즉각 철회하라 file 무상의료운동본부 2024.01.30 404
67 성명 [성명] 윤석열 정부의 제2차 국민건강보험 종합계획(안) - 공급자(의료기관)와 기업에는 보상을, 가입자(환자)들에게는 벌을 주는 국민건강보험 종합계획 폐기하라. 건강보험을 민간보험 지원과 의료 민영화 추진에 이용하지 말라 file 무상의료운동본부 2024.02.06 415
66 성명 [성명] 윤석열 정부는 노동조합에 대한 부당한 간섭과 공격을 중단하라 file 무상의료운동본부 2023.02.23 102
65 성명 [성명] 빅5 등 민간 대형병원 매출 감소를 국민의 건강보험료로 메워줘선 안 된다 file 무상의료운동본부 2024.03.07 277
64 성명 [성명] 비대면 진료 전면 시행은 의료대란의 대책이 될 수 없다. 의료대란 빌미로 한 재벌 대기업을 위한 의료 민영화 정책 중단하라. file 무상의료운동본부 2024.02.23 335
63 성명 [성명] 비대면 진료 시범사업 확대 중단하라 file 무상의료운동본부 2023.12.05 478
62 성명 [성명] 물가 폭등, 생계 위기에 건강보험료율 인상한 윤석열 정부 규탄한다. file 무상의료운동본부 2022.08.30 159
61 성명 [성명] 다시, 조규홍 장관 임명 반대한다 file 무상의료운동본부 2022.09.29 131
60 성명 [성명] 다시 촉구한다. 건강보험 국고지원 일몰제 폐지하고 국고지원 항구적 법제화하라. 국고지원 항구적 법제화와 지원 확대로 보장성 대폭 확대하라. file 무상의료운동본부 2022.12.08 247
59 성명 [성명] 국민건강보험 기금화는 정부 지원 삭감과 폐지, 보험료 인상, 보장성 축소를 가져온다 file 무상의료운동본부 2022.11.14 262
58 성명 [성명] 공공의료 확충, 보건의료인력 확충을 위한 보건의료노동자들의 파업은 정당하다. 정부는 분명하고 손에 잡히는 대책을 내놓아야 한다. file 무상의료운동본부 2021.08.24 130
57 성명 [성명] 공공병원 광주의료원 설립 거부하는 윤석열 정부 강력 규탄한다 file 무상의료운동본부 2023.11.01 454
56 성명 [성명] 간호인력 감축 반대, 의료 민영화 중단, 공공의료 강화 요구하는 병원 노동자들이 파업투쟁 지지한다. file 무상의료운동본부 2022.11.10 143
55 성명 [성명] ‘서비스산업발전기본법’은 의료 민영화법이다. 윤석열 정부는 의료와 공공서비스 민영화법 ‘서비스산업발전기본법’ 재추진 중단하라. file 무상의료운동본부 2022.11.24 172
54 성명 [성명] ‘건강보험 종합대책’이라며 의료민영화 내놓는 윤석열 정부 규탄한다. file 무상의료운동본부 2024.04.25 110
53 성명 [성명] ‘개인정보보호법, 수사기관의 ‘원격 몰래 감시’의 문을 열었다. - 개인정보보호법 개정안의 상임위 통과를 규탄한다 file 무상의료운동본부 2022.12.06 148
52 성명 [성명] 2024년 건강보험료율 동결하라 file 무상의료운동본부 2023.09.25 359
51 성명 [성명] 문재인 정부는 의료민영화법 ‘규제프리존특별법’ 폐기 입장을 명확히 하라 file 무상의료운동본부 2017.07.28 4237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Next
/ 11

서비스 링크

X
Login

브라우저를 닫더라도 로그인이 계속 유지될 수 있습니다. 로그인 유지 기능을 사용할 경우 다음 접속부터는 로그인할 필요가 없습니다. 단, 게임방, 학교 등 공공장소에서 이용 시 개인정보가 유출될 수 있으니 꼭 로그아웃을 해주세요.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