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상의료 운동본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기자회견문]

무분별한 의료 수가 인상 반대!

건강보험 재정운영위원회 정상화를 촉구한다!

 

오늘 요양급여비용 계약 협상(이하 수가협상)을 위한 마지막 건강보험 재정운영위원회 소위원회가 열린다. 수가 협상은 건강보험 재정과 적정 의료비 수준을 결정하는 것이다. 그 과정에서 건강보험 가입자, 건강보험공단, 의료 공급자 간 이해의 격차를 줄이고, 양질의 의료서비스를 전 국민이 공평하게 누릴 수 있게 하는 것을 목표로 보상, 정책, 거버넌스가 복합적으로 작동해야 한다. 하지만 가입자의 대표성 있는 목소리를 내기 어려운 재정위의 구조, 유례없는 의료대란 속에서 올해 수가 협상은 위태롭기만 한다. 우리는 공급자 단체들이 서로 먹잇감을 나눠가지 듯 보상만 요구해서는 안 되며, 지출구조 개선과는 무관한 원칙 없는 수가 인상은 절대 불가함을 밝힌다.

 

유례없는 의사 집단의 이기적인 집단행동으로 국민들은 마땅히 누려야 할 건강권을 침해받고 있다. 이제는 수개월에 접어들고 있다. 정부는 비상진료 체계를 유지한다는 명분으로 매월 약 1,900억 원, 누적 6천억에 달하는 건보재정을 쏟아붓고 있다. 환자들의 생명은 위협받고, 동료 병원 노동자들만 피해를 입고 있다. 하지만 의협은 이번 협상 선결 조건으로 10% 수가 인상을 주장했다. 의료 현장을 떠나 환자에게 등을 돌린 의협은 무엇이 그리도 당당한가. 6천억 그리고 얼마나 더 추가될지 모르는 건보재정이 그들에게는 우습단 말인가. 다른 공급자 단체도 상황은 마찬가지다. 병원은 의사 공백으로 인한 피해만 주장하며 똑같이 손을 벌리고 있다. 다들 피해자, 소외자라면서 보상만을 요구하고 있다. 하지만 이들 역시 의료대란을 일으킨 공범이지, 피해자가 아니다.

 

무상의료운동본부와 노동시민사회단체는 의협의 수가 인상 주장에 반대하며, 절대 수용할 수 없음을 밝힌다. 오히려 낭비된 건보재정에 대한 책임을 묻고, 천문학적 재정을 단계적으로 환수할 수 있는 조건을 제시해야 한다. 또한 정부는 이런 의료대란과 불만을 잠재우기 위해 의사 집단과 공급자 단체 달래기용으로 수가를 악용해서는 안 된다는 점을 명확히 한다. 가장 큰 피해자는 국민이라는 점을 기억하길 바란다.

 

또한 의대정원 이슈에 가려진 윤석열 정부의 의료 정책은 사회적 합의가 없거나 의료 민영화를 부추기는 가짜 개혁으로 점철되어 있다. 그러다 보니 제대로 된 정책은 없이 시범사업이 난무하고 있고 수가 정책은 원칙이 없다. 작년에 일방적으로 130% 수가 가산으로 도입한 비대면진료 시범사업은 올해 의료 공백 정국에서 확산되었다. -정 갈등이 마무리되어도 새로운 원격진료의 길만 터주는 꼴이 된 것이다. 시범사업 이후 비대면 진료 제도화 방침을 철회하고, 시범사업 수가도 반드시 재검토되어야 한다.

 

정부의 필수의료 개혁에 있어서도 수가 집중 인상 공공정책수가, 보완형 등 퍼주기식 인상 우려가 있다. 지금의 정책으로는 비용만큼의 효과를 기대하기 어렵다. 공공의료 강화 대책이 병행되지 않고서는 필수·지역의료 개혁은 공염불에 불과하다. 그 외에도 혁신의료기술이라는 명목으로 검증되지 않은 의료기술 등이 건강보험 수가체계 안으로 편입되고 있어도 손 놓고 있는 실정이다. 진료비 폭등의 원인이 되는 환산지수 계약 방식의 전환, 특정 분야의 수가를 높이기 위해서는 다른 분야의 가격과 의료비를 낮추는 시도가 병행되어야 한다. ‘재정 중립적인 환산지수 계약은 반드시 견지해야 할 원칙이다.

 

건보재정 흑자가 28조 원에 달하다 보니 공급자 단체들은 마치 자신들의 것인 양 김칫국을 마시고 있다. 건보 재정 흑자는 반드시 공공의료 정책의 미래를 준비하고 건강보험 보장성을 강화하기 위해 사용되어야 할 국민의 것이다. 합의되지 않은 정부 정책의 일방적 추진을 위해 마구 써대는 눈먼 쌈짓돈이 아니다.

 

마지막으로 건강보험 재정운영위원회의 정상화를 촉구한다. 작년에 보건복지부는 제12기 건강보험 재정운영위원회 구성에서 양대 노총을 제외했다. 양대 노총은 건강보험 재정의 약 85%를 차지하는 직장가입자를 대표하는 노동조합으로서 사회보험 운영 거버넌스에 대표성을 가지고 참여하도록 보장해야 한다. 이와 함께 시민사회, 전체 가입자를 고르게 대변할 수 있는 참여와 확대를 모색해야 할 것이다. 건강보험 가입자들은 행정 권력의 들러리가 아니며, 정부 편에 있는 국민만 국민이 아니다. 우리는 오늘과 내일, 최종 수가 협상을 주시할 것이며, 이후에도 잘못된 정부 정책에 적극 대응하여 국민들의 건강권을 지킬 것이다.

 

 

 

2024531

 

 

 

의료민영화 저지와 무상의료 실현을 위한 운동본부

 

가난한이들의건강권확보를위한연대회의건강권실현을위한보건의료단체연합(건강권실현을위한행동하는간호사회,건강사회를위한약사회, 건강사회를위한치과의사회, 노동건강연대, 인도주의실천의사협의회, 참의료실현청년한의사회), 건강세상네트워크대전시립병원설립운동본부한국의료복지사회적협동조합연합회건강보험하나로시민회의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한국노동조합총연맹전국보건의료산업노동조합전국공공운수사회서비스노조공공운수노조의료연대본부국민건강보험노동조합전국의료산업노동조합연맹전국농민회총연맹한국농업경영인중앙연합회전국여성농민회총연합전국여성연대빈민해방실천연대(민노련전철연), 전국빈민연합(전노련빈철련), 노점노동연대참여연대천주교빈민사목위원회참교육을위한전국학부모회평등교육실현을위한전국학부모회사회진보연대장애인배움터너른마당일산병원노동조합학교급식전국네트워크약사의 미래를 준비하는 모임행동하는의사회건강보험심사평가원노동조합전국정보경제서비스노동조합연맹건강정책참여연구소민중과 함께하는 한의계진료모임 길벗, 전국보건교사노동조합

240531 수가인상 반대 기자회견.jpg

 

240531 수가인상 반대 기자회견2.jpg

 

?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 보도자료 [기자회견] 무분별한 의료 수가 인상 반대! 재정위 거버넌스 정상화 촉구! 기자회견 file 무상의료운동본부 2024.05.31 19
421 보도자료 [기자회견] 무상의료운동본부 제22대 국회의원 선거 정책 요구안 발표 기자회견 진짜 ‘의료 개혁’은 건강보험 강화, 의료 민영화 중단, 공공의료 확충이다! file 무상의료운동본부 2024.03.14 303
420 보도자료 [기자회견] 문재인 정부 보건의료 정책에 바란다 기자회견 file 무상의료운동본부 2017.06.22 4266
419 보도자료 [기자회견] 문재인 정부 의료 민영화 법안 국회 통과 저지 긴급 기자회견 file 무상의료운동본부 2019.07.16 3684
418 보도자료 [기자회견] 문재인 정부 첫 건강보험정책심의위원회- 건강보험 보장성 획기적 강화 촉구 및 획기적 보장성 강화계획 없는 보험료율 인상 반대 기자회견 file 무상의료운동본부 2017.07.25 5045
417 보도자료 [기자회견] 문재인 정부의 ‘박근혜표 의료 민영화’ 완성 시도 규탄 기자회견 file 무상의료운동본부 2019.06.24 4841
416 보도자료 [기자회견] 민간보험사 개인의료정보 전자전송 국회 처리 중단 촉구 기자회견 ‘실손보험 청구 간소화’ 빙자한 민간보험사 돈벌이 개인의료정보 전자전송 중단하라 file 무상의료운동본부 2023.06.15 115
415 보도자료 [기자회견] 민간보험사 돈벌이 위해 ‘건강관리 자회사’ 편법 허용하는 '건강관리서비스 가이드라인' 폐기 촉구 기자회견 file 무상의료운동본부 2019.12.10 3761
414 보도자료 [기자회견] 박근혜 정부 의료민영화 반대 100만 서명운동 선포 기자회견 file 무상의료운동본부 2014.01.13 6176
413 보도자료 [기자회견] 박근혜 정부 의료민영화 재추진 규탄 기자회견 file 무상의료운동본부 2013.06.13 6555
412 보도자료 [기자회견] 박근혜 정부 입원료 폭등 의료비 인상 규탄 기자회견 file 무상의료운동본부 2015.02.24 5065
411 보도자료 [기자회견] 박근혜 정부 하반기 의료 민영화 정책 규탄 및 건강보험 보장성 강화 촉구 기자회견 file 무상의료운동본부 2016.08.19 4912
410 보도자료 [기자회견] 박근혜-최순실 의료게이트 엄정 수사 및 특검 연장 촉구 기자회견 file 무상의료운동본부 2017.02.27 4900
409 보도자료 [기자회견] 박근혜-최순실 재벌특혜 규제프리존법 추진 철회 촉구 file 무상의료운동본부 2016.11.24 4438
408 보도자료 [기자회견] 박근혜-최순실-재벌 특혜법 규제프리존특별법 추진 압박 최문순 강원도지사 규탄 기자회견 file 무상의료운동본부 2017.03.03 4438
407 보도자료 [기자회견] 박근혜의 의료 민영화 계승 중단하라. 문재인 정부 후반기 "의료 민영화 종합선물세트" 거부한다 file 무상의료운동본부 2019.11.12 7185
406 보도자료 [기자회견] 박근혜정부 3대 비급여 '개선'방안 규탄 기자회견 file 무상의료운동본부 2014.02.11 6060
405 보도자료 [기자회견] 병상⋅인력 대책 헛다리 짚은 거대 양당 규탄 기자회견 file 무상의료운동본부 2021.12.15 126
404 보도자료 [기자회견] 병원 인수·합병 허용’의료법 개정 중단 촉구 및 더불어민주당 규탄 기자회견 file 무상의료운동본부 2016.05.03 4639
403 보도자료 [기자회견] 사회공공서비스 민영화하고, 기재부 독재 허용하는 서비스산업발전기본법 폐기 촉구 기자회견 file 무상의료운동본부 2020.11.26 1761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 29 Next
/ 29

서비스 링크

X
Login

브라우저를 닫더라도 로그인이 계속 유지될 수 있습니다. 로그인 유지 기능을 사용할 경우 다음 접속부터는 로그인할 필요가 없습니다. 단, 게임방, 학교 등 공공장소에서 이용 시 개인정보가 유출될 수 있으니 꼭 로그아웃을 해주세요.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