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상의료 운동본부

···

 

[공동 성명]

 

민영보험사 이윤을 위해 국민건강보험을 약화시키는

개인의료정보 전자전송법 본회의 처리 규탄한다

 

 

재벌 민영보험사들의 이윤을 위한 소위 실손보험 청구 간소화법106일 국회 본회의에 상정돼 처리된다. 이 법 개정안은 황당하게도 민생 법안으로 분류돼 대법원장 임명동의안 처리 때 함께 처리된다고 한다. 이를 보면 국회가 말하는 민생 법안이 무엇인지 알 수 있을 것 같다. 대부분 재벌인 민영보험사들이 14년 넘게 요구해 온 법안이 민생 법안이라면 재벌 기업들의 이윤 추구를 민생으로 보는 것이다.

 

우리 시민사회·노동 단체들과 환자 단체들이 시종일관 이 법안에 반대했음에도 끝까지 무시하는 윤석열 정부와 여당, 국회에 분노를 표한다. 국회 제1당인 민주당도 민영보험사 편에 서서 환자들과 국민들에게 피해를 입협다는 비난에서 자유로울 수 없다.

실손보험으로 지난해에만 15천억여 원의 손실을 봤다는 민영보험사들이 전자적 청구 간소화로 보험금을 더 지급해 주겠다는 것은 동그란 네모처럼 모순 그 자체다. 그런데도 주류 양당은 동그란 네모도 있다고 우겼다.

 

국민 대다수는 의료데이터가 민감한 개인정보라고 생각하고 이의 활용에 대해 우려하고 있음이 한국소비자연맹의 의료데이터 수집과 활용에 대한 인식조사의 결과로 나타난 바 있다. 국민 대다수(71.2%)가 의료데이터를 민영보험사가 아니라 정부 부처·공공기관이 보관해야 한다고 답했다.

 

지난 4일 김종민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개인정보보호위원회로부터 받은 국정감사 자료에 따르면, 20208월부터 올 7월까지 3년 동안 기업에서 유출된 누적 개인정보 수가 65052천건에 달했다. 기업의 개인정보 유출 사건도 해마다 늘고 있다고 한다. 지난 3년간 개인정보위원회의 기업 과징금, 과태료 부과 중 61%가 개인정보 유출 건이라고 한다. 이러니 가장 민감한 정보인 개인의료정보 유출을 걱정하지 않을 수 없는 것이다.

개인의료정보 전자 전송이 가능해지면 민영보험사들이 수집·축적하는 개인의료정보들도 이런 유출에 노출될 수 있다. 비용을 최소화하려는 기업들은 정보 유출을 막기 위해 막대한 비용을 투자하지 않으려 한다. 대놓고 개인의료정보를 손에 넣어 수익을 추구하겠다고 하는 민영보험사들도 마찬가지다. 유출, 악용, 오용되더라도 처벌은 솜방망이이고 처벌 하한도 없어서 민영보험사들은 기대 수익에 비하면 새 발의 피에 불과할 벌금, 과태료 쯤은 겁내지 않는다.

 

민영보험사들의 궁극적 목표는 건강보험을 대체하는 것이다. 지금까지 이들은 실손보험, 건강관리서비스 허용, 수천만 명의 환자데이터 확보 등을 위해 분투해 왔고 또 이뤄냈다. 다시 말하지만, 소위 실손보험 청구 간소화법이라는 악법의 국회 통과는 민영보험사들 국민건강보험 대체라는 궁극적 목표, 즉 의료 민영화로 커다란 한 걸음을 내딛는 것이다. 윤석열 대통령을 비롯해, 여야 정무위원, 법사위원 등 주동자들은 의료 민영화 주범들로 낙인찍힐 것이다.

 

 

 

 

 

 

2023106

 

 

 

 

 

 

 

국암환자권익협의회·한국루게릭연맹회·한국폐섬유화환우회·한국다발골수종환우회

의료민영화 저지와 무상의료 실현을 위한 운동본부

 

가난한이들의건강권확보를위한연대회의건강권실현을위한보건의료단체연합(건강권실현을위한행동하는간호사회,건강사회를위한약사회, 건강사회를위한치과의사회, 노동건강연대, 인도주의실천의사협의회, 참의료실현청년한의사회), 건강세상네트워크기독청년의료인회대전시립병원설립운동본부한국의료복지사회적협동조합연합회건강보험하나로시민회의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한국노동조합총연맹전국보건의료산업노동조합전국공공운수사회서비스노조공공운수노조의료연대본부국민건강보험노동조합전국의료산업노동조합연맹전국농민회총연맹한국농업경영인중앙연합회전국여성농민회총연합전국여성연대빈민해방실천연대(민노련전철연), 전국빈민연합(전노련빈철련), 노점노동연대참여연대천주교빈민사목위원회참교육을위한전국학부모회평등교육실현을위한전국학부모회사회진보연대노동자연대장애인배움터너른마당일산병원노동조합학교급식전국네트워크약사의미래를준비하는모임행동하는의사회건강보험심사평가원노동조합전국정보경제서비스노동조합연맹건강정책참여연구소민중과 함께하는 한의계 진료모임 길벗, 전국보건교사노동조합

?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522 논평 건강보험 재정운영위원회 가입자위원의 ‘반인권적 공․사 보험 정보 공유 계획 철회’ 입장을 지지한다. file webmaster 2008.04.21 6448
521 논평 이명박 정부는 건강불평등 해소를 통해 사회통합을 적극 구현하기 바란다!! file webmaster 2008.04.21 6407
520 취재요청 영리병원 금지 입법발의 및 개정입법 국민청원 기자회견 file 무상의료운동본부 2012.11.29 6394
519 보도자료 진주의료원 폐업 철회 촉구 기자회견 file 무상의료운동본부 2013.03.07 6381
518 성명 [성명] 의료법시행규칙 입법예고 마감과 폭발적 의료민영화반대 여론 관련 성명 file 무상의료운동본부 2014.07.23 6379
517 취재요청 20091105‘영리병원 도입, 한국보건의료의 대안인가’ 정책토론회 건강연대 2010.01.12 6371
516 보도자료 [기자회견]박근혜 정부의 의료민영화 정책 원격의료 추진 중단, 의료호텔 허용 철회 촉구 기자회견 file 무상의료운동본부 2013.11.29 6363
515 성명 [성명] 경상남도와 홍준표 지사는 진주의료원 폐업 발표 포기하라 무상의료운동본부 2013.05.27 6339
514 논평 [논평] 박근혜 정부 공약, 4대 중증질환 100% 보장에 대한 건강정책심의위원회(건정심) 첫차 회의에 대한 논평 무상의료운동본부 2013.04.02 6339
513 보도자료 공공부문 민영화 반대 공동행동 기자회견 file 무상의료운동본부 2012.12.03 6328
512 보도자료 제주특별법 중 의료분야 개정안에 대한 의견서 file 건강연대 2009.03.17 6324
511 논평 [논평]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결의안에 대한 논평 무상의료운동본부 2013.04.12 6321
510 보도자료 제주특별법 교육 의료분야 개정안에 대한 공동 기자회견 file 건강연대 2009.03.17 6314
509 보도자료 [기자회견]제주 영리병원(투자개방형병원) ‘승인 원천거부’ 및 박근혜정부의 의료민영화 재추진 반대 기자회견 file 무상의료운동본부 2013.08.28 6307
508 성명 [성명] 제주 영리병원(투자개방형병원) 승인시도를 즉각 철회하라. file 무상의료운동본부 2013.08.22 6294
507 성명 리베이트 쌍벌제 법제화 촉구 file 건강연대 2010.04.20 6288
506 성명 [성명] 재벌들만 배불릴 원격의료는 철회되어야 한다 무상의료운동본부 2013.10.30 6282
505 보도자료 의료연대회의 08년 대표자회의에서 ‘건강연대’로 단체명 변경 file webmaster 2008.04.21 6276
504 성명 2013년 건강보험 보장성과 수가 결정에 대한 입장 file 무상의료운동본부 2012.11.29 6258
503 보도자료 건강연대, ‘의료민영화․영리병원 반대’ 활동에 집중 file 건강연대 2008.07.04 6255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 29 Next
/ 29

서비스 링크

X
Login

브라우저를 닫더라도 로그인이 계속 유지될 수 있습니다. 로그인 유지 기능을 사용할 경우 다음 접속부터는 로그인할 필요가 없습니다. 단, 게임방, 학교 등 공공장소에서 이용 시 개인정보가 유출될 수 있으니 꼭 로그아웃을 해주세요.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