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상의료 운동본부

조회 수 2457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Extra Form
"민영의보 법정 본인부담금 보장은 안돼"

2008년 03월 24일 (월) 06:01 연합뉴스

김성이 복지측 입장천명..경제부처와 충돌 예고 (서울=연합뉴스) 서한기 기자 = 경제부처를 주축으로 민간의료보험 활성화 차원에서 민영의보의 보장범위를 확대해야 한다는 주장이 거세지고 있는데 맞서 국민건강을 책임지고 있는 보건복지가족부가 강력한 제동을 걸고 나섰다.

김성이 복지부 장관의 핵심 측근은 24일 "김 장관은 민영의보가 법정 본인부담금까지 보장해서는 `절대 안 된다'는 확고한 생각을 갖고 있다"고 말했다.

김 장관 측의 이 같은 언급은 새 정부에서 공보험과 사보험 간의 정보공유 등 민간의료보험 활성화를 적극 추진하겠다는 경제부처의 방침과는 다른 것이어서 앞으로 상당한 충돌이 예상된다.

김 장관 측은 전체 의료비 중 환자의 법정 본인부담금까지 민영의보가 보장하게 되면 과잉 의료이용과 이에 따른 과잉 진료로 인해 건강보험에서 나가는 전체 급여비 지출규모가 눈덩이처럼 불어나면서 공보험의 근간이 흔들릴 수 있다는 우려를 갖고 있다.

이럴 경우 건강보험의 보장성도 덩달아 훼손될 수 있다는 판단이다.

실제로 참여정부 시절 의료서비스 산업화를 위해 범정부 차원에서 민영의보의 보장영역을 확대하려는 논의가 활발하게 전개되기도 했었다.

하지만 충분히 검토하지 않고 섣불리 확대할 경우 기초적인 의료서비스조차 받지 못하는 취약계층이 늘면서 사회적 위화감만 조성할 뿐이라는 시민사회단체의 강력한 반발에 부딪혀 무산됐었다.

참여정부는 지난 2006년 10월 당시 국무총리 주재로 의료산업선진화위원회를 열어 실손형 민영의보의 보장영역을 법정 본인부담금을 제외한 '비급여 중심'으로 제한하기로 확정하고 가까운 시일에 보험업법 개정 작업에 들어가기로 했던 것.

실손형 민영의보에 가입한 고객은 첨단의료기술 등 국민건강보험이 적용되지 않는 비급여 항목에 대해서만 보장받을 수 있도록 하고, 법정 본인부담분은 보장받을 수 없도록 하겠다는 것이었다.

이는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에서도 민영의보가 법정 본인부담금을 보장하지 못하도록 권고하고 있는 점을 고려한 조치였다.

현재 의료서비스를 이용할 때 환자가 내는 의료비는 크게 급여와 비급여 부문으로 나뉜다. 급여부문은 전 국민이 가입한 건강보험공단에서 65% 가량을 보장하고 있고, 나머지 법정 환자 본인부담금과 비급여(고가 의료장비 이용료 등)는 환자가 내고 있다.

실손형 민영의보는 환자가 내는 치료비 가운데 급여부분을 제외한 비급여와 법정 본인부담금을 실제 들어간 액수만큼 보장해주는 보험상품으로 2005년 8월부터 개인 판매가 허용됐었다. 그러나 생명보험업계는 수익에 대한 확신이 서지 않아 보험상품 출시를 미루며 민영의보 시장 진출을 꺼렸었다.

다만 손해보험사들은 종신보험 또는 질병.상해보험에 특약을 얹는 형태로 현재 민영의보 상품을 취급하고 있다.

하지만 새 정부에서 민간의료보험 활성화에 나서겠다는 경제부처의 응원에 힘입어 삼성.대한.교보.녹십자생명 등 일부 생명보험사들이 벌써 상반기 중에 실손형 민영의보 상품을 내놓키로 하는 등 보험업계의 발걸음이 빨라지고 있다.

shg@yna.co.kr (끝) 주소창에 '속보'치고 연합뉴스 속보 바로 확인 <모바일로 보는 연합뉴스 7070 Nate/magicⓝ/show/ez-i> <저작권자(c)연합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
?

List of Articles
번호 사이트 글쓴이 날짜
485 간호대 정원 늘려왔지만 병원 간호사는 안늘어나는 이유 무상의료운동본부 2018.02.23
484 '단톡방'까지 만들어 동선 공유..'근로 감독' 조직적 방해 무상의료운동본부 2018.02.20
483 문재인케어, 보수언론 헤치고 의료시장화 넘어야 무상의료운동본부 2017.08.17
482 문재인 케어에서 빠져 있는 것 무상의료운동본부 2017.08.17
481 "주인없는 규제프리존법·서발법, 폐기 당연" 윤소하 의원, 맹비난..."탄핵당한 대통령 정책 승계, 구태정치" 무상의료운동본부 2017.04.27
480 규제프리존법 "세계 최초의 정경유착법" 무상의료운동본부 2017.02.16
479 "재벌특혜 규제프리존법, 임시국회서 반드시 폐기를" 무상의료운동본부 2017.02.16
478 건보 누적흑자 20조원…시민단체 “저소득 보장 확대를” 무상의료운동본부 2017.02.07
477 무상의료운동본부 "호텔롯데, 보바스병원 인수 철회해야" 무상의료운동본부 2017.01.23
476 국회 공청회 기습시위 "규제프리존 반대" 무상의료운동본부 2016.11.01
475 "박근혜-최순실법 그 자체"…의료계 '민영화법' 반발 무상의료운동본부 2016.10.31
474 박근혜 정부는 성과급으로 의료민영화 완수하려 하는가. 무상의료운동본부 2016.09.22
473 "원희룡 지사, 헬스케어타운 분양사기의혹 입장 밝혀야" 무상의료운동본부 2016.07.18
472 막강한 '건정심'의 권한 알고 계신가요? 무상의료운동본부 2016.07.13
471 은근슬쩍 시행된 입원료 인상, 알고 계셨나요? 무상의료운동본부 2016.07.13
470 더민주도 의료 민영화, 웬 병원 인수 합병? 무상의료운동본부 2016.05.16
469 건보공단 보장율 60% 쥐꼬리…17조 흑자속 서민건강 '나 몰라라' 무상의료운동본부 2015.10.06
468 녹지국제병원, '승인취소' 산얼병원과 판박이 무상의료운동본부 2015.05.18
467 朴 정부, 끝내 영리 병원 1호 밀어붙이나? 무상의료운동본부 2015.05.18
466 건강보험료 계속 오르는데, 보장 줄어드는 이유 무상의료운동본부 2014.12.17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 25 Next
/ 25

서비스 링크

X
Login

브라우저를 닫더라도 로그인이 계속 유지될 수 있습니다. 로그인 유지 기능을 사용할 경우 다음 접속부터는 로그인할 필요가 없습니다. 단, 게임방, 학교 등 공공장소에서 이용 시 개인정보가 유출될 수 있으니 꼭 로그아웃을 해주세요.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