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상의료 운동본부

조회 수 2457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Extra Form
"민영의보 법정 본인부담금 보장은 안돼"

2008년 03월 24일 (월) 06:01 연합뉴스

김성이 복지측 입장천명..경제부처와 충돌 예고 (서울=연합뉴스) 서한기 기자 = 경제부처를 주축으로 민간의료보험 활성화 차원에서 민영의보의 보장범위를 확대해야 한다는 주장이 거세지고 있는데 맞서 국민건강을 책임지고 있는 보건복지가족부가 강력한 제동을 걸고 나섰다.

김성이 복지부 장관의 핵심 측근은 24일 "김 장관은 민영의보가 법정 본인부담금까지 보장해서는 `절대 안 된다'는 확고한 생각을 갖고 있다"고 말했다.

김 장관 측의 이 같은 언급은 새 정부에서 공보험과 사보험 간의 정보공유 등 민간의료보험 활성화를 적극 추진하겠다는 경제부처의 방침과는 다른 것이어서 앞으로 상당한 충돌이 예상된다.

김 장관 측은 전체 의료비 중 환자의 법정 본인부담금까지 민영의보가 보장하게 되면 과잉 의료이용과 이에 따른 과잉 진료로 인해 건강보험에서 나가는 전체 급여비 지출규모가 눈덩이처럼 불어나면서 공보험의 근간이 흔들릴 수 있다는 우려를 갖고 있다.

이럴 경우 건강보험의 보장성도 덩달아 훼손될 수 있다는 판단이다.

실제로 참여정부 시절 의료서비스 산업화를 위해 범정부 차원에서 민영의보의 보장영역을 확대하려는 논의가 활발하게 전개되기도 했었다.

하지만 충분히 검토하지 않고 섣불리 확대할 경우 기초적인 의료서비스조차 받지 못하는 취약계층이 늘면서 사회적 위화감만 조성할 뿐이라는 시민사회단체의 강력한 반발에 부딪혀 무산됐었다.

참여정부는 지난 2006년 10월 당시 국무총리 주재로 의료산업선진화위원회를 열어 실손형 민영의보의 보장영역을 법정 본인부담금을 제외한 '비급여 중심'으로 제한하기로 확정하고 가까운 시일에 보험업법 개정 작업에 들어가기로 했던 것.

실손형 민영의보에 가입한 고객은 첨단의료기술 등 국민건강보험이 적용되지 않는 비급여 항목에 대해서만 보장받을 수 있도록 하고, 법정 본인부담분은 보장받을 수 없도록 하겠다는 것이었다.

이는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에서도 민영의보가 법정 본인부담금을 보장하지 못하도록 권고하고 있는 점을 고려한 조치였다.

현재 의료서비스를 이용할 때 환자가 내는 의료비는 크게 급여와 비급여 부문으로 나뉜다. 급여부문은 전 국민이 가입한 건강보험공단에서 65% 가량을 보장하고 있고, 나머지 법정 환자 본인부담금과 비급여(고가 의료장비 이용료 등)는 환자가 내고 있다.

실손형 민영의보는 환자가 내는 치료비 가운데 급여부분을 제외한 비급여와 법정 본인부담금을 실제 들어간 액수만큼 보장해주는 보험상품으로 2005년 8월부터 개인 판매가 허용됐었다. 그러나 생명보험업계는 수익에 대한 확신이 서지 않아 보험상품 출시를 미루며 민영의보 시장 진출을 꺼렸었다.

다만 손해보험사들은 종신보험 또는 질병.상해보험에 특약을 얹는 형태로 현재 민영의보 상품을 취급하고 있다.

하지만 새 정부에서 민간의료보험 활성화에 나서겠다는 경제부처의 응원에 힘입어 삼성.대한.교보.녹십자생명 등 일부 생명보험사들이 벌써 상반기 중에 실손형 민영의보 상품을 내놓키로 하는 등 보험업계의 발걸음이 빨라지고 있다.

shg@yna.co.kr (끝) 주소창에 '속보'치고 연합뉴스 속보 바로 확인 <모바일로 보는 연합뉴스 7070 Nate/magicⓝ/show/ez-i> <저작권자(c)연합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
?

List of Articles
번호 사이트 글쓴이 날짜
365 의·약사 출신 국회의원들 복지위行 '험난' 수정 건강연대 2008.05.20
364 의·약사 등 141명, 진보신당 지지 선언 수정 건강연대 2008.04.04
363 은근슬쩍 시행된 입원료 인상, 알고 계셨나요? 무상의료운동본부 2016.07.13
362 윤증현 장관 "신규 영리병원만 허용해야" 건강연대 2009.04.08
361 유형별 수가협상, 산으로 가나 수정 건강연대 2008.10.21
360 유인. 알선 허용 찬성? "치협 왜 이러나" 수정 건강연대 2008.08.18
359 유시민 "의료보험 민영화 강행하면 정권 기반 무너질 위험" 수정 건강연대 2008.04.22
358 월부터 임의비급여 처방 가능해진다 수정 건강연대 2008.07.15
357 원격진료 반대 여론 확산…“의료영리화 발판” 무상의료운동본부 2013.10.31
356 울산시의사회 "저수가체제 영리병원 의미 없다" 수정 건강연대 2009.05.29
355 운하백지화국민행동 천만인 서명운동 24일 돌입 수정 건강연대 2008.04.25
354 외국영리병원 로비논란 속 제주 계획대로 'GO' 수정 건강연대 2008.08.22
353 외국손님 어서 오세요, (주)대한민국병원으로 수정 건강연대 2008.12.16
352 올 병원계 노사 새 쟁점 '의료기관평가' 수정 건강연대 2008.05.13
351 오정구 보건소 '이주노동자 인권상' 수상 건강연대 2008.12.23
350 오매불망 기다린 영리병원이 성형과 피부미용 병원 '싼얼병원'? 무상의료운동본부 2013.06.07
349 영리의료법인 놓고 부처간 '엇박자' 수정 건강연대 2008.05.14
348 영리병원·일반인 개설약국·원격진료가 몰려온다- 국회 서비스산업발전기본법 토론회서 우석균 실장 주장 무상의료운동본부 2013.11.13
347 연명치료 중단 '존엄사법' 국회 제출 수정 건강연대 2009.01.12
346 여론 불리하면 나타나는 ‘광고 정치’ 또 등장 수정 건강연대 2008.07.15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 25 Next
/ 25

서비스 링크

X
Login

브라우저를 닫더라도 로그인이 계속 유지될 수 있습니다. 로그인 유지 기능을 사용할 경우 다음 접속부터는 로그인할 필요가 없습니다. 단, 게임방, 학교 등 공공장소에서 이용 시 개인정보가 유출될 수 있으니 꼭 로그아웃을 해주세요.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