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상의료 운동본부

조회 수 2277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Extra Form
새정부, 의료채권 발행 반대여론 정면돌파
법제처 심의 거쳐 국회 법안 제출…시민단체 반발 예고

이명박 정부는 참여정부의 바통을 이어받아 비영리 의료법인이 의료채권을 발행, 자금조달을 할 수 있도록 법을 제정할 방침이다.

그러나 시장을 중시하는 새정부와 의료공공성 훼손을 우려하는 시민단체가 이 법안 처리과정에서 정면 충돌할 가능성이 높아 논란이 불가피할 전망이다.

법제처는 25일 국무회의에 2008년도 정부입법계획을 보고했다.

정부입법계획에 따르면 정부는 오는 6월 개원하는 18대 국회에 ‘의료채권 발행법’ 제정안을 상정한다.

의료채권 발행법안은 보건복지부가 지난해 10월 입법예고해 공청회, 규제개혁위원회 규제심의를 마친 상태다.

이 법안은 의료기관을 운영하는 비영리법인이 자금난을 겪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의료채권 발행을 허용할 수 있도록 하자는 게 요지다.

의료채권을 발행할 수 있는 기관은 비영리법인이며, 개인이 개설한 의료기관과 공공보건의료기관은 제외된다.

또 법안은 의료채권으로 조달한 자금을 △의료기관 설립 △의료장비 및 의료시설 확충 △인력개발 및 충원 △대통령령으로 정한 부대사업에만 사용토록 제한했다.

의료채권 총액은 최종 대차대조표상 순자산액(총자산-총부채)의 4배를 초과하지 못하며, 법인이 이미 발행한 의료채권을 상환하기 위해 발행하는 의료채권액은 의료채권의 총액에 산입하지 않는다.

다만 이럴 때에는 새로 발행한 의료채권의 납입기일로부터 6개월 안에 이미 발행한 의료채권을 상환해야 한다.

이와 함께 의료채권을 발행한 법인이 합병할 경우 합병 후 존속하는 법인이나 합병에 따라 설립된 법인은 합병으로 소멸된 법인의 의료채권자에 대한 권리와 의무를 승계토록 했다.

정부는 의료채권 발행을 활성화하기 위해 조세특례제한법에 따라 조세를 감면할 수있는 근거도 마련했다.

의료채권으로 조달한 자금을 의료업 외의 다른 목적으로 사용하거나 의료채권청약서의 중요내용을 고의로 누락하는 등의 위법사항이 적발되면 5년 이하의 징역이나 5천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해지게 된다.

복지부는 조만간 법제처 심의를 거쳐 6월 18대 국회가 개원하면 법안을 제출할 예정이다.

하지만 의료채권 발행법안에 대해 보건노조를 포함한 시민단체들은 “의료기관에 채권 발행 권리를 주는 것은 결국 주식회사병원으로 가는 길을 열어주는 것”이라고 반발하고 있어 국회 심의과정에서 논란이 재연될 것으로 보인다.

안창욱기자 (dha826@medigatenews.com)
기사등록수정 일시 : 2008-03-26 / 12:06:50
?

List of Articles
번호 사이트 글쓴이 날짜
485 간호대 정원 늘려왔지만 병원 간호사는 안늘어나는 이유 무상의료운동본부 2018.02.23
484 '단톡방'까지 만들어 동선 공유..'근로 감독' 조직적 방해 무상의료운동본부 2018.02.20
483 문재인케어, 보수언론 헤치고 의료시장화 넘어야 무상의료운동본부 2017.08.17
482 문재인 케어에서 빠져 있는 것 무상의료운동본부 2017.08.17
481 "주인없는 규제프리존법·서발법, 폐기 당연" 윤소하 의원, 맹비난..."탄핵당한 대통령 정책 승계, 구태정치" 무상의료운동본부 2017.04.27
480 규제프리존법 "세계 최초의 정경유착법" 무상의료운동본부 2017.02.16
479 "재벌특혜 규제프리존법, 임시국회서 반드시 폐기를" 무상의료운동본부 2017.02.16
478 건보 누적흑자 20조원…시민단체 “저소득 보장 확대를” 무상의료운동본부 2017.02.07
477 무상의료운동본부 "호텔롯데, 보바스병원 인수 철회해야" 무상의료운동본부 2017.01.23
476 국회 공청회 기습시위 "규제프리존 반대" 무상의료운동본부 2016.11.01
475 "박근혜-최순실법 그 자체"…의료계 '민영화법' 반발 무상의료운동본부 2016.10.31
474 박근혜 정부는 성과급으로 의료민영화 완수하려 하는가. 무상의료운동본부 2016.09.22
473 "원희룡 지사, 헬스케어타운 분양사기의혹 입장 밝혀야" 무상의료운동본부 2016.07.18
472 막강한 '건정심'의 권한 알고 계신가요? 무상의료운동본부 2016.07.13
471 은근슬쩍 시행된 입원료 인상, 알고 계셨나요? 무상의료운동본부 2016.07.13
470 더민주도 의료 민영화, 웬 병원 인수 합병? 무상의료운동본부 2016.05.16
469 건보공단 보장율 60% 쥐꼬리…17조 흑자속 서민건강 '나 몰라라' 무상의료운동본부 2015.10.06
468 녹지국제병원, '승인취소' 산얼병원과 판박이 무상의료운동본부 2015.05.18
467 朴 정부, 끝내 영리 병원 1호 밀어붙이나? 무상의료운동본부 2015.05.18
466 건강보험료 계속 오르는데, 보장 줄어드는 이유 무상의료운동본부 2014.12.17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 25 Next
/ 25

서비스 링크

X
Login

브라우저를 닫더라도 로그인이 계속 유지될 수 있습니다. 로그인 유지 기능을 사용할 경우 다음 접속부터는 로그인할 필요가 없습니다. 단, 게임방, 학교 등 공공장소에서 이용 시 개인정보가 유출될 수 있으니 꼭 로그아웃을 해주세요.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