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상의료 운동본부

조회 수 2111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Extra Form
[데일리메디] 손학규 대표 "건강보험 당연지정제 유지"
정부 시장주의 의료정책에 일침…"의료양극화 심화될 것"

통합민주당 손학규 대표가 정부의 건강보험 당연지정제 폐지 움직임에 대해 강한 목소리로 비난하고 나섰다.

손학규 대표는 31일 오전 당산동 당사에서 열린 선거대책위원회를 주도하며 "현 정부의 건강보험 당연지정제 폐지 추진은 복지 양극화를 심화시킬 것"이라고 주장했다.

당연지정제 폐지는 민간의료보험의 수요 창출과 함께 대다수 의료기관이 고액 민간의료보험에 가입한 부유층을 상대하고 저소득층을 기피할 우려가 높으므로 폐지해서는 안된다는 주장이다.

환자들 뿐만 아니라 의료기관들 역시 양극화가 심화돼, 결국 환자들의 의료기관 이용 문턱이 높아질 수 밖에 없다는게 손 대표의 주장이다.

손학규 대표는 "건강보험 당연지정제가 폐지되면 부자병원과 가난한 병원이 생기기 않을 것이란 보장이 어디있느냐"며 "환자와 의료기관 모두에게 양극화를 심화시킬 것"이라고 피력했다.

손 대표는 그 대안으로 건강바우처 제도와 생애주기에 따른 특정질환 건강검진을 제시했다.

건강바우처 제도는 의료급여 환자 및 차상위계층 환자에게 지방자치단체가 진료쿠폰을 발행하고 환자가 민간 1차 의료기관을 선택해 진료를 받을 수 있도록 하는 사회보장 시스템.

이 제도는 환자가 여러 의료기관을 이용할 수 있는 의료선택권을 보장할 수 있어 저소득층에 대한 의료혜택의 폭과 질을 높일 수 있다는 장점 때문에 그동안 여러차례 논의돼 왔다.

특히 건강바우처 제도는 일전에도 의료계에서 몇 차례 걸쳐 정부에 도입을 요구했을 정도로 의료계의 공감을 얻고 있는 상황이다.

손학규 대표는 "무조건적 당연지정제 폐지보다는 보다 현실적인 보장성 강화를 모색해야 한다"며 "건강바우처 제도는 좋은 대안이 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생애주기에 따른 특정질환 건강검진 역시 당연지정제 폐지 대신 검토해야할 제도로 꼽았다.

그에 따른 구체적 방안을 제시하지 않았지만 국민 전체 건강증진을 위해 현재 신생아에 한해 국한적으로 시행되고 있는 생애주기 건강검진 대상자를 확대하는 방향이 유력하다는 분석이다.

손 대표는 "정부가 진정으로 국민건강을 걱정한다면 당연지정제 폐지 대신 건강검진 사업 확대를 통한 건강 관리에 초점을 맞출 필요가 있다"고 역설했다.

박대진기자 (djpark@dailymedi.com) 기사등록 : 2008-03-31 12:11
?

List of Articles
번호 사이트 글쓴이 날짜
485 간호대 정원 늘려왔지만 병원 간호사는 안늘어나는 이유 무상의료운동본부 2018.02.23
484 '단톡방'까지 만들어 동선 공유..'근로 감독' 조직적 방해 무상의료운동본부 2018.02.20
483 문재인케어, 보수언론 헤치고 의료시장화 넘어야 무상의료운동본부 2017.08.17
482 문재인 케어에서 빠져 있는 것 무상의료운동본부 2017.08.17
481 "주인없는 규제프리존법·서발법, 폐기 당연" 윤소하 의원, 맹비난..."탄핵당한 대통령 정책 승계, 구태정치" 무상의료운동본부 2017.04.27
480 규제프리존법 "세계 최초의 정경유착법" 무상의료운동본부 2017.02.16
479 "재벌특혜 규제프리존법, 임시국회서 반드시 폐기를" 무상의료운동본부 2017.02.16
478 건보 누적흑자 20조원…시민단체 “저소득 보장 확대를” 무상의료운동본부 2017.02.07
477 무상의료운동본부 "호텔롯데, 보바스병원 인수 철회해야" 무상의료운동본부 2017.01.23
476 국회 공청회 기습시위 "규제프리존 반대" 무상의료운동본부 2016.11.01
475 "박근혜-최순실법 그 자체"…의료계 '민영화법' 반발 무상의료운동본부 2016.10.31
474 박근혜 정부는 성과급으로 의료민영화 완수하려 하는가. 무상의료운동본부 2016.09.22
473 "원희룡 지사, 헬스케어타운 분양사기의혹 입장 밝혀야" 무상의료운동본부 2016.07.18
472 막강한 '건정심'의 권한 알고 계신가요? 무상의료운동본부 2016.07.13
471 은근슬쩍 시행된 입원료 인상, 알고 계셨나요? 무상의료운동본부 2016.07.13
470 더민주도 의료 민영화, 웬 병원 인수 합병? 무상의료운동본부 2016.05.16
469 건보공단 보장율 60% 쥐꼬리…17조 흑자속 서민건강 '나 몰라라' 무상의료운동본부 2015.10.06
468 녹지국제병원, '승인취소' 산얼병원과 판박이 무상의료운동본부 2015.05.18
467 朴 정부, 끝내 영리 병원 1호 밀어붙이나? 무상의료운동본부 2015.05.18
466 건강보험료 계속 오르는데, 보장 줄어드는 이유 무상의료운동본부 2014.12.17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 25 Next
/ 25

서비스 링크

X
Login

브라우저를 닫더라도 로그인이 계속 유지될 수 있습니다. 로그인 유지 기능을 사용할 경우 다음 접속부터는 로그인할 필요가 없습니다. 단, 게임방, 학교 등 공공장소에서 이용 시 개인정보가 유출될 수 있으니 꼭 로그아웃을 해주세요.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