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상의료 운동본부

조회 수 2111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Extra Form
[데일리메디] 손학규 대표 "건강보험 당연지정제 유지"
정부 시장주의 의료정책에 일침…"의료양극화 심화될 것"

통합민주당 손학규 대표가 정부의 건강보험 당연지정제 폐지 움직임에 대해 강한 목소리로 비난하고 나섰다.

손학규 대표는 31일 오전 당산동 당사에서 열린 선거대책위원회를 주도하며 "현 정부의 건강보험 당연지정제 폐지 추진은 복지 양극화를 심화시킬 것"이라고 주장했다.

당연지정제 폐지는 민간의료보험의 수요 창출과 함께 대다수 의료기관이 고액 민간의료보험에 가입한 부유층을 상대하고 저소득층을 기피할 우려가 높으므로 폐지해서는 안된다는 주장이다.

환자들 뿐만 아니라 의료기관들 역시 양극화가 심화돼, 결국 환자들의 의료기관 이용 문턱이 높아질 수 밖에 없다는게 손 대표의 주장이다.

손학규 대표는 "건강보험 당연지정제가 폐지되면 부자병원과 가난한 병원이 생기기 않을 것이란 보장이 어디있느냐"며 "환자와 의료기관 모두에게 양극화를 심화시킬 것"이라고 피력했다.

손 대표는 그 대안으로 건강바우처 제도와 생애주기에 따른 특정질환 건강검진을 제시했다.

건강바우처 제도는 의료급여 환자 및 차상위계층 환자에게 지방자치단체가 진료쿠폰을 발행하고 환자가 민간 1차 의료기관을 선택해 진료를 받을 수 있도록 하는 사회보장 시스템.

이 제도는 환자가 여러 의료기관을 이용할 수 있는 의료선택권을 보장할 수 있어 저소득층에 대한 의료혜택의 폭과 질을 높일 수 있다는 장점 때문에 그동안 여러차례 논의돼 왔다.

특히 건강바우처 제도는 일전에도 의료계에서 몇 차례 걸쳐 정부에 도입을 요구했을 정도로 의료계의 공감을 얻고 있는 상황이다.

손학규 대표는 "무조건적 당연지정제 폐지보다는 보다 현실적인 보장성 강화를 모색해야 한다"며 "건강바우처 제도는 좋은 대안이 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생애주기에 따른 특정질환 건강검진 역시 당연지정제 폐지 대신 검토해야할 제도로 꼽았다.

그에 따른 구체적 방안을 제시하지 않았지만 국민 전체 건강증진을 위해 현재 신생아에 한해 국한적으로 시행되고 있는 생애주기 건강검진 대상자를 확대하는 방향이 유력하다는 분석이다.

손 대표는 "정부가 진정으로 국민건강을 걱정한다면 당연지정제 폐지 대신 건강검진 사업 확대를 통한 건강 관리에 초점을 맞출 필요가 있다"고 역설했다.

박대진기자 (djpark@dailymedi.com) 기사등록 : 2008-03-31 12:11
?

List of Articles
번호 사이트 글쓴이 날짜
325 "아프지마?"...약값도 줄줄이 인상 수정 건강연대 2009.04.03
324 국회 입법조사처 분석 "의료채권 발행 원활할 지 미지수" 수정 건강연대 2009.03.27
323 건강공단 “개인질병 공개 안된다” 수정 건강연대 2009.03.23
322 [뉴스분석]경만호 의협회장 당선의미와 전망 수정 건강연대 2009.03.23
321 “영리병원은 잘못된 실험! 강행 땐 金도정 퇴진운동” 수정 건강연대 2009.03.23
320 비영리병원 '우수성', 발표문에서 제외 수정 건강연대 2009.03.20
319 '영리병원 허용문제' 다시 수면 위로‥ 수정 건강연대 2009.03.18
318 "미국인 21% 병원.약값못내 고생 경험" 수정 건강연대 2009.03.12
317 대형영리병원 설립 "서민환자 갈 곳 없다" 수정 건강연대 2009.03.10
316 “의협 회장 후보들 공약, 의사 공멸의 길 택했다” 수정 건강연대 2009.03.10
315 병원-학교 ‘주식회사 허용’ 이달말 결론 수정 건강연대 2009.03.02
314 건약, 약제급여평가위원회 선임 '문제많다' 수정 건강연대 2009.02.23
313 보건노조, 의료민영화 3대 악법 반대 수정 건강연대 2009.02.23
312 병원 의료채권 발행 자금조달 허용 수정 건강연대 2009.02.09
311 복지부, 97개 규제완화…의사-환자간 원격의료 허용 수정 건강연대 2009.02.03
310 ‘변형된 포괄수가제’ 도입 필요하다 수정 건강연대 2009.02.02
309 병협, 제도 개선방안 연구용역 발주…DRG 대응책 예고 수정 건강연대 2009.01.23
308 개정 의료법 공포…시장규제 빗장 풀렸다 수정 건강연대 2009.01.22
307 제주도, 내국인 영리법인병원 허용 재추진 수정 건강연대 2009.01.22
306 대형병원의 '무한 확장' 국회서 다뤄지나 수정 건강연대 2009.01.20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 25 Next
/ 25

서비스 링크

X
Login

브라우저를 닫더라도 로그인이 계속 유지될 수 있습니다. 로그인 유지 기능을 사용할 경우 다음 접속부터는 로그인할 필요가 없습니다. 단, 게임방, 학교 등 공공장소에서 이용 시 개인정보가 유출될 수 있으니 꼭 로그아웃을 해주세요.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