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상의료 운동본부

조회 수 1539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Extra Form
[데일리팜] 민주, 의료산업화 반대…한나라, 묵묵부답
보건노조, 주요 정당·출마자 설문…민영보험 쟁점화

'영리병원 도입', '민간의보 활성화' 등 보건의료분야 주요 쟁점과 관련한 총선정책 질의에 한나라당이 시종일관 묵묵부답으로 일관해 눈총을 샀다.

보건의료노조(위원장 홍명옥)는 지난 대선에서 시민사회단체가 요구했던 ‘의료 3불-3행 정책’의 정책수용도를 수치화 한 결과, 민노당과 진보신당이 공동 1위를 차지했고 창조한국당·민주당·자유선진당 순으로 나타났다고 8일 밝혔다.

‘의료 3불 정책’은 의료공공성 강화를 위해 폐기해야 할 의료기관 영리화, 민간의보 활성화, 의료시장 개방 등을 말하고, ‘의료 3행 정책’은 반드시 도입해야 할 전 국민 주치의제, 연간 진료비 최고부담 100만원, 병원이 공공성과 질 강화 등을 일컫는다.

보건노조는 지난달 19일부터 지난 7일까지 ‘제18대 총선, 유권자가 알아야 할 각 당 정책과 후보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주요정당과 245개 선거구에 출마한 모든 후보에게 ‘의료 3불-3행 정책’에 대한 수용여부를 질의하고, 정책수용도를 점수화 해 이번에 공개했다.

정당별 수치를 보면 민노당과 진보신당이 12점으로 공동 1위를 차지했고, 창조한국당 11점, 통합민주당 10점, 자유선진당 -4점 등의 순으로 뒤를 이었다.

그러나 “한나라당은 아예 답변을 거부하면서 총선이후 답변을 주겠다는 무성의한 태도로 일관했다”고 보건노조는 설명했다.

각 정당의 수용도를 살펴보면 민주당과 민노당, 진보신당은 ‘영리의료법인 도입’, ‘민간의보 활성화’, ‘의료서비스 개방강화’에 ‘적극반대’ 한다고 응답했다.

창조한국당도 ‘의료서비스 개방부분’에 대해서만 ‘반대’라고 답했고, 다른 항목은 3개 정당과 동일했다.

반면 자유선진당은 ‘의료 3불 정책’에 ‘찬성’한다고 응답해 대립각을 세웠다.

‘의료 3행 정책’에서는 민노당과 진보신당, 창조한국당은 ‘전국민주치의제’와 ‘연간진료비 최고부담 100만원 이내’, ‘병원의 공공성과 질 강화’에 모두 ‘적극 찬성’ 한다고 응답했고, 민주당은 ‘병원의 공공성과 질 강화’는 ‘적극 찬성’, 다른 두 항목에 대해서는 ‘찬성’ 입장을 보였다.

자유선진당은 ‘병원의 공공성과 질 강화’에는 ‘찬성’한다고 답했지만, ‘전국민주치의제’와 ‘연간진료비 최고부담 100만원 이내’ 정책에는 ‘반대한다’고 응답했다.

보건노조는 “자신의 건강과 우리나라 보건의료체계의 공공적 발전에 관심이 있다면 보건의료 정책과 관련한 각 당의 입장을 확인하고 정당명부 투표에 적극 임해 줄 것을 당부한다”고 밝혔다.

조합원들에 대해서도 “교대근무자가 많아 근무시간 때문에 선거 불참자가 많다는 내부 설문결과가 있었다”면서 “이번에는 반드시 신성한 참정권을 행사 해 줄 것을 4만 조합원과 50만 보건의료 종사자들에게 거듭 요청한다”고 덧붙였다.

데일리팜 최은택 기자 (etchoi@dreamdrug.com)
2008-04-08 09:07:20
?

List of Articles
번호 사이트 글쓴이 날짜
485 환자식대가 건보재정 적자의 원인? 수정 건강연대 2008.04.29
484 환자·가족 "진주의료원, 강제휴업 말아주세요" 호소 무상의료운동본부 2013.03.18
483 환율변동 따른 치료재료 상한가, '3개월 유예' 수정 건강연대 2008.04.22
482 홍준표 지사, 진주의료원 폐업대책 '무상의료' 약속파기 무상의료운동본부 2013.11.19
481 홍준표 도지사, 진주의료원 폐업은 부동산 재테크? 무상의료운동본부 2013.03.18
480 홍준표 경남도지사의 '강성노조 해방구' 규탄 성명(보건의료노조) 무상의료운동본부 2013.03.18
479 협상결렬된 의원급 의료수가, 2.1% 인상 결정 건강연대 2008.12.23
478 현오석 장관 행보에 원격진료·영리병원 '들썩' 무상의료운동본부 2013.11.11
477 헌재, "건강보험 당연지정제는 합헌" 재강조 수정 건강연대 2008.04.04
476 허가범위 초과 처방 '임의비급여' 합법화 file 수정 건강연대 2008.05.13
475 해외환자 유치 활성화방안, 외국인에만 적용 수정 건강연대 2008.06.16
474 한미FTA, 국내 제약사에 쓰나미? 수정 webmaster 2008.04.18
473 한나라당·정부 "MB임기 중 의료보험 민영화 안한다" 수정 건강연대 2008.06.19
472 한나라당 원희목 당선자 "국민중심 정책생산 할 터" 수정 건강연대 2008.04.10
471 한나라당 ‘쇠고기 혼돈상태’…정책위장도 협상내용 ‘깜깜’ 수정 건강연대 2008.05.06
470 한나라 승리한 18대 국회 보건복지위는 ? 수정 건강연대 2008.04.10
469 한나라 '과반'국회, 민간보험·영리병원 탄력받나 수정 건강연대 2008.04.10
468 한국 닮은 ‘일본 특구 영리병원’ 서비스 질 제고·경제 기여 실패 무상의료운동본부 2013.12.20
467 하반기 의료계 최대 이슈 '원격의료' 수정 비아카 2010.08.06
466 투자의료법인 설립 전망…의료공공성 보장 '병원회사' 허용 검토 수정 건강연대 2008.04.28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 25 Next
/ 25

서비스 링크

X
Login

브라우저를 닫더라도 로그인이 계속 유지될 수 있습니다. 로그인 유지 기능을 사용할 경우 다음 접속부터는 로그인할 필요가 없습니다. 단, 게임방, 학교 등 공공장소에서 이용 시 개인정보가 유출될 수 있으니 꼭 로그아웃을 해주세요.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