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상의료 운동본부

조회 수 2091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Extra Form
[데일리메디] "성분명처방, 환자 선택권 박탈 행위"
의협 박정하 의무이사, "건보재정 절감도 확인된바 없다"

"성분명처방 제도 도입으로 인한 국민건강보험 재정 절감은 확인된 바 없다. 하지만 환자들이 질병 치료에 있어서 선택권을 박탈당한 것은 명확하다"

대한의사협회(회장 주수호) 박정하 의무이사는 15일 기자와 만난자리에서 '성분명처방 제도'에 강한 불신감을 나타냈다.

그는 "성분명처방을 밀어붙인 기관이 국민을 호도하고 있다. 제도 시행에 앞서 재정절감을 표면으로 내세웠지만, 결국은 생동성 시험으로 약값만 몇 배 올랐다"며 "제도의 특성을 모르고 있는 국민들이 비싼 약값을 부담하는 상황이 벌어지고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내달 중순 공청회에서 '생동성 조작 의혹 576개 의약품 품목'을 공개해 성분명처방 제도의 실상을 밝히겠다고 했다.

그에 따르면 공청회에서 공개할 의약품 품목에 대한 모든 준비가 끝났으며, 반대여론 조성에 함께할 시민단체 등과 공조를 모색 중이다.

앞서 의협은 이번 공청회를 '성분명처방 반대 여론'의 전초기지로 삼고자, 다양한 방안을 마련하고 있다.

박정하 의무이사는 "성분명처방의 가장 심각한 문제점은 국민들이 제도의 특성을 모르고 있다는 것"이라며 "향후 성분명처방이 돌아올 수 없는 강을 건나가게 되면, 국민들의 불만과 불편을 어떤식으로 해결할 수 있겠냐"고 반문했다.

'성분명처방 제도' 도입 목적으로 관계 기관이 주장했던 생동성 시험의 부실 운영 실태가 내달 공청회에서 밝혀질 것이란 의견도 내비쳤다.

성분명의 재정절감 효과가 확인되지 않은 만큼 '환자의 진료 선태권 확보' 및 '생동성 시험의 부실함'을 집중 부각시는 방향으로 대국민 홍보도 강화할 방침이다.

박 의무이사는 "성분명 처방으로 이유 없이 약값만 올라 환자 부담이 많아졌다. 더 심각한 것은 환자들이 진료 의사를 선택할 수 있는 기본적인 권리마저 빼앗기게 됐다"며 "결국 제도를 개선한다는 것이 뿌리는 나두고 멀쩡한 가지만 치는 격이 됐다"고 말했다.

그는 "일부 직종의 목을 죈다고 해서 약제비가 절감되는 것은 아니"라며 "이로 인해 또다른 직종의 이익만 대변하는 꼴이 됐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음상준기자 (esj1147@dailymedi.com)
?

List of Articles
번호 사이트 글쓴이 날짜
485 "건강관리 서비스, 국민위한 보건정책 아니다" file 수정 비아카 2010.08.06
484 "건강보험 보장성 확대, 보험료 확대만으론 한계" 수정 webmaster 2008.05.06
483 "건보 당연지정제 고수는 싸구려 인기 영합주의" 수정 건강연대 2008.04.30
482 "건보 민영화는 안하지만 영리병원은 도입한다"? 수정 건강연대 2008.06.20
481 "건보제도 획기적 개선" 수가협상 난항 예고 수정 건강연대 2008.09.01
480 "공‧사보험 역할, 국민들한테 묻는다" 수정 건강연대 2008.08.19
479 "공단재정운영위는 사과하라" 수정 건강연대 2008.10.28
478 "내년도 유형별 수가 연구자 찾기 힘드네" 수정 webmaster 2008.04.21
477 "당연지정제 유지는 善이고, 완화는 惡인가" 수정 건강연대 2008.04.30
476 "당연지정제 폐지, 서민에게 의료재앙" 수정 건강연대 2008.04.02
475 "당연지정제 폐지될까 겁내는 의사 더 많다" 수정 webmaster 2008.05.06
474 "당연지정제, 사유재산침해 개정필요" 수정 건강연대 2008.04.16
473 "대통령님, Sicko보고 제대로 좀 하세요" 수정 건강연대 2008.04.03
472 "대통령님, 의료 영리법인 허용해 주세요" 수정 건강연대 2008.04.29
471 "무조건 종합병원 딱지부터 떼라?…'산재의료서비스'철학은 어디에?" 수정 건강연대 2008.12.18
470 "미국식 의보제도로는 절대 안 간다" 수정 webmaster 2008.04.21
469 "미국인 21% 병원.약값못내 고생 경험" 수정 건강연대 2009.03.12
468 "민간 보험, 건보재정 악화 안되게 해야" 수정 건강연대 2008.04.29
467 "민간 의료기관은 당연지정제 제외" 수정 건강연대 2008.04.02
466 "민간의료보험 활성화, 의료 불평등 초래" 수정 건강연대 2008.04.07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 25 Next
/ 25

서비스 링크

X
Login

브라우저를 닫더라도 로그인이 계속 유지될 수 있습니다. 로그인 유지 기능을 사용할 경우 다음 접속부터는 로그인할 필요가 없습니다. 단, 게임방, 학교 등 공공장소에서 이용 시 개인정보가 유출될 수 있으니 꼭 로그아웃을 해주세요.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