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상의료 운동본부

조회 수 2091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Extra Form
[데일리메디] "성분명처방, 환자 선택권 박탈 행위"
의협 박정하 의무이사, "건보재정 절감도 확인된바 없다"

"성분명처방 제도 도입으로 인한 국민건강보험 재정 절감은 확인된 바 없다. 하지만 환자들이 질병 치료에 있어서 선택권을 박탈당한 것은 명확하다"

대한의사협회(회장 주수호) 박정하 의무이사는 15일 기자와 만난자리에서 '성분명처방 제도'에 강한 불신감을 나타냈다.

그는 "성분명처방을 밀어붙인 기관이 국민을 호도하고 있다. 제도 시행에 앞서 재정절감을 표면으로 내세웠지만, 결국은 생동성 시험으로 약값만 몇 배 올랐다"며 "제도의 특성을 모르고 있는 국민들이 비싼 약값을 부담하는 상황이 벌어지고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내달 중순 공청회에서 '생동성 조작 의혹 576개 의약품 품목'을 공개해 성분명처방 제도의 실상을 밝히겠다고 했다.

그에 따르면 공청회에서 공개할 의약품 품목에 대한 모든 준비가 끝났으며, 반대여론 조성에 함께할 시민단체 등과 공조를 모색 중이다.

앞서 의협은 이번 공청회를 '성분명처방 반대 여론'의 전초기지로 삼고자, 다양한 방안을 마련하고 있다.

박정하 의무이사는 "성분명처방의 가장 심각한 문제점은 국민들이 제도의 특성을 모르고 있다는 것"이라며 "향후 성분명처방이 돌아올 수 없는 강을 건나가게 되면, 국민들의 불만과 불편을 어떤식으로 해결할 수 있겠냐"고 반문했다.

'성분명처방 제도' 도입 목적으로 관계 기관이 주장했던 생동성 시험의 부실 운영 실태가 내달 공청회에서 밝혀질 것이란 의견도 내비쳤다.

성분명의 재정절감 효과가 확인되지 않은 만큼 '환자의 진료 선태권 확보' 및 '생동성 시험의 부실함'을 집중 부각시는 방향으로 대국민 홍보도 강화할 방침이다.

박 의무이사는 "성분명 처방으로 이유 없이 약값만 올라 환자 부담이 많아졌다. 더 심각한 것은 환자들이 진료 의사를 선택할 수 있는 기본적인 권리마저 빼앗기게 됐다"며 "결국 제도를 개선한다는 것이 뿌리는 나두고 멀쩡한 가지만 치는 격이 됐다"고 말했다.

그는 "일부 직종의 목을 죈다고 해서 약제비가 절감되는 것은 아니"라며 "이로 인해 또다른 직종의 이익만 대변하는 꼴이 됐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음상준기자 (esj1147@dailymedi.com)
?

List of Articles
번호 사이트 글쓴이 날짜
485 환자식대가 건보재정 적자의 원인? 수정 건강연대 2008.04.29
484 환자·가족 "진주의료원, 강제휴업 말아주세요" 호소 무상의료운동본부 2013.03.18
483 환율변동 따른 치료재료 상한가, '3개월 유예' 수정 건강연대 2008.04.22
482 홍준표 지사, 진주의료원 폐업대책 '무상의료' 약속파기 무상의료운동본부 2013.11.19
481 홍준표 도지사, 진주의료원 폐업은 부동산 재테크? 무상의료운동본부 2013.03.18
480 홍준표 경남도지사의 '강성노조 해방구' 규탄 성명(보건의료노조) 무상의료운동본부 2013.03.18
479 협상결렬된 의원급 의료수가, 2.1% 인상 결정 건강연대 2008.12.23
478 현오석 장관 행보에 원격진료·영리병원 '들썩' 무상의료운동본부 2013.11.11
477 헌재, "건강보험 당연지정제는 합헌" 재강조 수정 건강연대 2008.04.04
476 허가범위 초과 처방 '임의비급여' 합법화 file 수정 건강연대 2008.05.13
475 해외환자 유치 활성화방안, 외국인에만 적용 수정 건강연대 2008.06.16
474 한미FTA, 국내 제약사에 쓰나미? 수정 webmaster 2008.04.18
473 한나라당·정부 "MB임기 중 의료보험 민영화 안한다" 수정 건강연대 2008.06.19
472 한나라당 원희목 당선자 "국민중심 정책생산 할 터" 수정 건강연대 2008.04.10
471 한나라당 ‘쇠고기 혼돈상태’…정책위장도 협상내용 ‘깜깜’ 수정 건강연대 2008.05.06
470 한나라 승리한 18대 국회 보건복지위는 ? 수정 건강연대 2008.04.10
469 한나라 '과반'국회, 민간보험·영리병원 탄력받나 수정 건강연대 2008.04.10
468 한국 닮은 ‘일본 특구 영리병원’ 서비스 질 제고·경제 기여 실패 무상의료운동본부 2013.12.20
467 하반기 의료계 최대 이슈 '원격의료' 수정 비아카 2010.08.06
466 투자의료법인 설립 전망…의료공공성 보장 '병원회사' 허용 검토 수정 건강연대 2008.04.28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 25 Next
/ 25

서비스 링크

X
Login

브라우저를 닫더라도 로그인이 계속 유지될 수 있습니다. 로그인 유지 기능을 사용할 경우 다음 접속부터는 로그인할 필요가 없습니다. 단, 게임방, 학교 등 공공장소에서 이용 시 개인정보가 유출될 수 있으니 꼭 로그아웃을 해주세요.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