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상의료 운동본부

조회 수 2323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Extra Form
"당연지정제, 사유재산침해 개정필요"

2008년 04월 15일 (화) 19:01 뉴시스

【서울=메디컬투데이/뉴시스】 제17대 대통령직 인수위원회는 지속가능한 의료보장체계 구축을 위해 건강보험 재정 안정화를 손꼽고, 현재 건강보험의 여러 문제를 지적했다.

특히 요양기관당연지정제에 대해서는 그동안 사유재산제도의 침해 등 많은 문제점을 노출돼 개정이 필요하다는 점을 분명히 했다.

15일 인수위 백서 <성공 그리고 나눔>에 따르면, 5대 국정지표의 하나인 '능동적 복지' 가운데 '평생복지기반 마련' 전략의 일환으로 건강보험 재정 안정화를 강조했다.

인수위는 고령화, 질병구조 변화, 신기술, 신약 등 의료비용의 급격한 상승 등 현행 제도하에서는 국민건강보험을 지속 유지하기 어렵고 보건의료정책 재원조달 대부분이 건보 재정에 의존해 집행돼 건보 재정은 급속히 증가할 수 밖에 없다고 지적했다.

이에 매년 급증하는 건보료 인상에도 불구, 건강보험의 질적 성장은 그 한계에 봉착하고 있어 수요자와 공급자 모두 불만이라는 것. 때문에 향후 건보재정의 급속한 증가 억제와 국민들의 보건의료 만족도 향상을 위해서 의료보장체계 전면 개혁을 역설했다.

대책 수립에 앞서 인수위는 건보재정의 급속한 증가 원인을 분석, '요양기관 당연지정제'와 관련 "그동안 사유재산제도의 침해 등 많은 문제점이 노출됐다"며 "국민에게 불편함이 없는 방향으로 개정할 필요가 있고 이는 단계적으로 추진될 것"이라고 밝혔다.

또한 건강보험의 관리·운영의 비효율성을 지적하며 향후 관리·운영 체계에 경쟁적 요소를 도입해 관리·운영 비용을 효율화시킬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인수위는 건보재정의 급속한 증가원인을 분석, 올해 상반기 중 재정급증 원인과 정책결정 구조에 대한 정밀분석도 추진, 12월까지 종합계획을 수립해 임기내 실천하는 단계적 추진계획을 발표한다.

한편 인수위는 '활기찬 시장경제' 국정지표 중 서비스산업 선진화 전략 중 하나로 신성장동력으로 의료산업 육성을 꼽고 각종 규제개혁을 추진한다고 밝혔다.

우선 의료채권제 도입, 영리의료법인 도입 검토, 프리랜서 의사 등 다양한 의료헙을 허용키로 했다. 또한 의료기관 평가제도에 대한 규제완화, 소비자 선택에 의한 의료전달체계 도입 등 시장의 왜곡을 가져올 수 있는 정부규제를 철폐하고 민간주도의 의료정보산업 활성화를 주요 논의 대상을 삼겠다는 구상이다.

인수위는 올해 12월까지 이같은 내용을 골자로 한 의료산업 육성계획을 수립해 ▲병원중심의 첨단 보건·의료산업 육성체계 구축 ▲지역별·질환별 특성을 감안한 첨단 보건의료 복합단지 조성 ▲의약품 해외시장 진출 촉진 ▲품질향상 위한 제약 인프라 지원 ▲질 높은 건강기능식품 및 안전식품 개발 등 지원방침을 확정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석유선기자 sukiza@mdtoday.co.kr <저작권자ⓒ '한국언론 뉴스허브' 뉴시스통신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List of Articles
번호 사이트 글쓴이 날짜
445 진주의료원 사태 ③ 폐업만이 능사?…대안은(完) 무상의료운동본부 2013.03.18
444 진주의료원 노조 집회…"무슨 죄 있다고 내쫓냐" 무상의료운동본부 2013.03.13
443 진주의료원 강제 퇴원 환자, "고통 극심" 무상의료운동본부 2013.10.02
442 진료비 과당징수 '임의비급여' 여전히 최다 수정 건강연대 2008.08.07
441 지방의료원, 만성적자에 일부 과 진료중단 수정 webmaster 2008.04.18
440 중앙병원 진료과목 폐쇄 "산재환자 의료 질 저하" 수정 건강연대 2008.12.17
439 중국 의료기업, 국내 첫 외국 영리병원 제주에 설립 추진 무상의료운동본부 2013.05.20
438 주치의 제도, 의료비 증가-누수 모두 잡을 것 수정 webmaster 2008.05.09
437 제주서 무산된 영리병원 전면 백지화되나 수정 건강연대 2008.07.29
436 제주도, 내국인 영리법인병원 허용 재추진 수정 건강연대 2009.01.22
435 제주도 주민들 "웰컴, 영리병원" 수정 건강연대 2008.06.24
434 제주도 영리병원 설립 무산…김 지사 "다음 기회로" 수정 건강연대 2008.07.28
433 제주대 교수 49인 "영리병원 허용 반대" 수정 건강연대 2008.07.07
432 제네릭 의약품 허가제도 변화 예고 수정 webmaster 2008.04.18
431 제18대 국회, 보건의약인 당선 영광의 주인공은 수정 건강연대 2008.04.10
430 정부의 변함없는 송도 '영리병원' 추진 의지 무상의료운동본부 2012.07.13
429 정부가 형평성 운운하며 영리자회사 설립의 근거로 들었던 서울대병원 영리자회사 '헬스커넥트'가 위법! 무상의료운동본부 2014.07.01
428 정부vs시민단체 "의료산업화냐 민영화냐" 수정 건강연대 2008.06.17
427 정부, 요양기관 당연지정제 완화정책 포기 수정 건강연대 2008.04.29
426 정부, 내년 일반인도 의료기관 개설 허용 추진 수정 건강연대 2008.12.17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 25 Next
/ 25

서비스 링크

X
Login

브라우저를 닫더라도 로그인이 계속 유지될 수 있습니다. 로그인 유지 기능을 사용할 경우 다음 접속부터는 로그인할 필요가 없습니다. 단, 게임방, 학교 등 공공장소에서 이용 시 개인정보가 유출될 수 있으니 꼭 로그아웃을 해주세요.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