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상의료 운동본부

조회 수 1780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Extra Form
[뉴스룸에서―라동철] 스프라이셀 적정가격은

'스프라이셀'은 미국계 다국적제약회사인 BMS사가 개발한 백혈병치료제다. 기존 치료제 글리벡에 내성(耐性)이 생긴 환자에게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진 신약이다. 만성골수성백혈병 환자들에게는 생명줄과도 같은 의약품이다.

이 약은 지난해 1월 식품의약품안전청으로부터 시판허가를 받았지만 시중에 유통되지 못하고 있다. 건강보험 적용 의약품 등재과정에서 비싼 약값이 발목을 잡고 있다. 제약사가 당초 건강보험공단에 제시한 가격은 한 알당 6만9135원이다. 매일 두 알씩 복용해야 하기 때문에 하루치 약값만 약 14만원. 건강보험의 적용을 받기 때문에 환자는 약값의 10%만 부담한다. 그래도 약값이 월 40만원이니 여유가 없는 환자 입장에서는 입이 떡 벌어질 지경이다.

약값이 고가로 책정되면 환자들도 힘들지만 가뜩이나 취약한 건강보험 재정도 부담이 커지게 된다. 건보공단과 제약사 간에 팽팽한 신경전이 펼쳐질 수밖에 없는 이유다. 양측간 협상은 지난 1월 최종 결렬됐다. 이제는 보건복지가족부 산하 약제급여조정위원회가 직권등재 절차를 밟고 있다. 스프라이셀은 환자 진료에 꼭 필요한 필수의약품이기 때문에 양측의 협상이 결렬되더라도 정부가 직권으로 약값을 결정해 보험등재해야 한다.

스프라이셀은 약값을 줄여 건강보험 재정을 안정시키고 국민 부담을 덜어주자는 취지에서 약제비적정화방안이 시행된 후 처음으로 조정위에 올라온 의약품이다.

BMS측은 약값을 한 알에 6만2000원까지 낮추겠다고 물러섰지만 공단이 제시한 최저가 5만1000원과는 여전히 차이가 작지 않다.

결국 지난달 14일 열린 1차 조정위원회는 제약사와 공단이 이견만 노출한 채 소득없이 끝났고 지난 11일 열린 2차 조정위는 백혈병 환자 등의 회의장 진입으로 무산됐다. 백혈병환자들과 의료시민단체들은 제약사측의 제시 가격이 터무니없다는 입장이다. 고평가된 글리벡 가격을 기준으로 약값을 제시했다는 것이다.

글리벡은 국내에서 한 알에 2만3045원이지만 미 연방정부 공급가격은 1만9135원, 미 국방부와 보건소 등 이른바 '빅4' 공급가는 1만2490원이다. 경제규모나 1인당 국민소득이 훨씬 큰 미국보다 우리나라에서 약값이 더 비싼 건 이치에 맞지 않다. 불합리한 기준을 근거로 약값을 제시하는데도 보건당국은 적절히 대응하지 못하고 있다. 의료시민단체들은 정부나 공단이 구체적인 약값 산정기준도 마련하지 못한 채 다국적제약사들의 주장에 휘둘리고 있다며 불만이다.

스프라이셀 약값 결정은 약제비적정화방안의 성공 가능성을 가늠하는 시험대로 여겨지고 있다. 첫 단추를 잘 꿰야 한다. 스프라이셀의 약값을 성급하게 결정했다가는 이후 출시될 다른 의약품 가격 협상에도 좋지 않은 선례가 될 수 있다.

"약값 조정을 제대로 하려면 구체적인 약값 산정기준을 갖고 접근해야 합니다. 지금 당장은 어렵더라도 환자들이 지불가능한 선에서 약값이 결정되는 게 더 중요합니다." 한국백혈병환우회 안기종 사무국장은 백혈병 환자들의 심정을 이같이 대변했다.

가장 유념해야 할 것은 의약품에 대한 실질적인 접근권을 보장해 달라는 백혈병 환자들의 목소리다. 보건당국은 환자의 생명을 놓고 흥정하는 다국적제약사에 당당히 대응해 약값 조정을 합리적으로 이끌어 내야 한다.

라동철 사회부 차장 rdchul@kmib.co.kr 2008년 04월 16일 (수) 18:54 국민일보
?

List of Articles
번호 사이트 글쓴이 날짜
405 "미국식 의보제도로는 절대 안 간다" 수정 webmaster 2008.04.21
404 의료계 내부서도 '당연지정제 폐지' 우려 제기돼 수정 webmaster 2008.04.21
403 국회·정부 "의료계 목소리 충분히 귀 기울이겠다" 한목소리 수정 webmaster 2008.04.21
402 건보공단·심평원 새 수장은? 인선작업 본격화 수정 건강연대 2008.04.21
401 의협 "공룡 건보공단, 광역별로 나눠 운영" 수정 건강연대 2008.04.21
400 21일, 시민사회단체 기자회견…"국민 생명 맞바꾼 쇠고기 협상" 철회 촉구 수정 건강연대 2008.04.22
399 건보재정 올해도 '빨간불'… 1433억 적자 전망 수정 건강연대 2008.04.22
398 적자행진 지방의료원, 의료산업화에 밀려 뒷전 수정 건강연대 2008.04.22
397 환율변동 따른 치료재료 상한가, '3개월 유예' 수정 건강연대 2008.04.22
396 노바티스, 차세대 백혈병약 '타시그나' 급여 신청 수정 건강연대 2008.04.22
395 대운하에 수장된 건강보험 당연지정제 의제화 수정 건강연대 2008.04.22
394 권영길 “당연지정제 폐지, 의료 야만국으로 가는 길” 수정 건강연대 2008.04.22
393 유시민 "의료보험 민영화 강행하면 정권 기반 무너질 위험" 수정 건강연대 2008.04.22
392 광우병 미국소 원료 화장품.의약품 허용되나 수정 건강연대 2008.04.23
391 운하백지화국민행동 천만인 서명운동 24일 돌입 수정 건강연대 2008.04.25
390 백혈병치료제 '스프라이셀' 약값 28일 결정될 듯 수정 건강연대 2008.04.25
389 ‘식코’ 의료보험민영화 이슈에 공동체 상영신청 빗발 최고관리자 2008.04.25
388 "한국 가서 치료받으면 비행기표값은 뽑아요" 수정 건강연대 2008.04.25
387 18대 국회 복지위 '반 의료계' 정서 강할 듯 수정 건강연대 2008.04.28
386 “건보체계, 네덜란드처럼 개편시 대혼란 발생" 수정 건강연대 2008.04.28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 25 Next
/ 25

서비스 링크

X
Login

브라우저를 닫더라도 로그인이 계속 유지될 수 있습니다. 로그인 유지 기능을 사용할 경우 다음 접속부터는 로그인할 필요가 없습니다. 단, 게임방, 학교 등 공공장소에서 이용 시 개인정보가 유출될 수 있으니 꼭 로그아웃을 해주세요.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