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상의료 운동본부

조회 수 1780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Extra Form
[뉴스룸에서―라동철] 스프라이셀 적정가격은

'스프라이셀'은 미국계 다국적제약회사인 BMS사가 개발한 백혈병치료제다. 기존 치료제 글리벡에 내성(耐性)이 생긴 환자에게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진 신약이다. 만성골수성백혈병 환자들에게는 생명줄과도 같은 의약품이다.

이 약은 지난해 1월 식품의약품안전청으로부터 시판허가를 받았지만 시중에 유통되지 못하고 있다. 건강보험 적용 의약품 등재과정에서 비싼 약값이 발목을 잡고 있다. 제약사가 당초 건강보험공단에 제시한 가격은 한 알당 6만9135원이다. 매일 두 알씩 복용해야 하기 때문에 하루치 약값만 약 14만원. 건강보험의 적용을 받기 때문에 환자는 약값의 10%만 부담한다. 그래도 약값이 월 40만원이니 여유가 없는 환자 입장에서는 입이 떡 벌어질 지경이다.

약값이 고가로 책정되면 환자들도 힘들지만 가뜩이나 취약한 건강보험 재정도 부담이 커지게 된다. 건보공단과 제약사 간에 팽팽한 신경전이 펼쳐질 수밖에 없는 이유다. 양측간 협상은 지난 1월 최종 결렬됐다. 이제는 보건복지가족부 산하 약제급여조정위원회가 직권등재 절차를 밟고 있다. 스프라이셀은 환자 진료에 꼭 필요한 필수의약품이기 때문에 양측의 협상이 결렬되더라도 정부가 직권으로 약값을 결정해 보험등재해야 한다.

스프라이셀은 약값을 줄여 건강보험 재정을 안정시키고 국민 부담을 덜어주자는 취지에서 약제비적정화방안이 시행된 후 처음으로 조정위에 올라온 의약품이다.

BMS측은 약값을 한 알에 6만2000원까지 낮추겠다고 물러섰지만 공단이 제시한 최저가 5만1000원과는 여전히 차이가 작지 않다.

결국 지난달 14일 열린 1차 조정위원회는 제약사와 공단이 이견만 노출한 채 소득없이 끝났고 지난 11일 열린 2차 조정위는 백혈병 환자 등의 회의장 진입으로 무산됐다. 백혈병환자들과 의료시민단체들은 제약사측의 제시 가격이 터무니없다는 입장이다. 고평가된 글리벡 가격을 기준으로 약값을 제시했다는 것이다.

글리벡은 국내에서 한 알에 2만3045원이지만 미 연방정부 공급가격은 1만9135원, 미 국방부와 보건소 등 이른바 '빅4' 공급가는 1만2490원이다. 경제규모나 1인당 국민소득이 훨씬 큰 미국보다 우리나라에서 약값이 더 비싼 건 이치에 맞지 않다. 불합리한 기준을 근거로 약값을 제시하는데도 보건당국은 적절히 대응하지 못하고 있다. 의료시민단체들은 정부나 공단이 구체적인 약값 산정기준도 마련하지 못한 채 다국적제약사들의 주장에 휘둘리고 있다며 불만이다.

스프라이셀 약값 결정은 약제비적정화방안의 성공 가능성을 가늠하는 시험대로 여겨지고 있다. 첫 단추를 잘 꿰야 한다. 스프라이셀의 약값을 성급하게 결정했다가는 이후 출시될 다른 의약품 가격 협상에도 좋지 않은 선례가 될 수 있다.

"약값 조정을 제대로 하려면 구체적인 약값 산정기준을 갖고 접근해야 합니다. 지금 당장은 어렵더라도 환자들이 지불가능한 선에서 약값이 결정되는 게 더 중요합니다." 한국백혈병환우회 안기종 사무국장은 백혈병 환자들의 심정을 이같이 대변했다.

가장 유념해야 할 것은 의약품에 대한 실질적인 접근권을 보장해 달라는 백혈병 환자들의 목소리다. 보건당국은 환자의 생명을 놓고 흥정하는 다국적제약사에 당당히 대응해 약값 조정을 합리적으로 이끌어 내야 한다.

라동철 사회부 차장 rdchul@kmib.co.kr 2008년 04월 16일 (수) 18:54 국민일보
?

List of Articles
번호 사이트 글쓴이 날짜
485 환자식대가 건보재정 적자의 원인? 수정 건강연대 2008.04.29
484 환자·가족 "진주의료원, 강제휴업 말아주세요" 호소 무상의료운동본부 2013.03.18
483 환율변동 따른 치료재료 상한가, '3개월 유예' 수정 건강연대 2008.04.22
482 홍준표 지사, 진주의료원 폐업대책 '무상의료' 약속파기 무상의료운동본부 2013.11.19
481 홍준표 도지사, 진주의료원 폐업은 부동산 재테크? 무상의료운동본부 2013.03.18
480 홍준표 경남도지사의 '강성노조 해방구' 규탄 성명(보건의료노조) 무상의료운동본부 2013.03.18
479 협상결렬된 의원급 의료수가, 2.1% 인상 결정 건강연대 2008.12.23
478 현오석 장관 행보에 원격진료·영리병원 '들썩' 무상의료운동본부 2013.11.11
477 헌재, "건강보험 당연지정제는 합헌" 재강조 수정 건강연대 2008.04.04
476 허가범위 초과 처방 '임의비급여' 합법화 file 수정 건강연대 2008.05.13
475 해외환자 유치 활성화방안, 외국인에만 적용 수정 건강연대 2008.06.16
474 한미FTA, 국내 제약사에 쓰나미? 수정 webmaster 2008.04.18
473 한나라당·정부 "MB임기 중 의료보험 민영화 안한다" 수정 건강연대 2008.06.19
472 한나라당 원희목 당선자 "국민중심 정책생산 할 터" 수정 건강연대 2008.04.10
471 한나라당 ‘쇠고기 혼돈상태’…정책위장도 협상내용 ‘깜깜’ 수정 건강연대 2008.05.06
470 한나라 승리한 18대 국회 보건복지위는 ? 수정 건강연대 2008.04.10
469 한나라 '과반'국회, 민간보험·영리병원 탄력받나 수정 건강연대 2008.04.10
468 한국 닮은 ‘일본 특구 영리병원’ 서비스 질 제고·경제 기여 실패 무상의료운동본부 2013.12.20
467 하반기 의료계 최대 이슈 '원격의료' 수정 비아카 2010.08.06
466 투자의료법인 설립 전망…의료공공성 보장 '병원회사' 허용 검토 수정 건강연대 2008.04.28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 25 Next
/ 25

서비스 링크

X
Login

브라우저를 닫더라도 로그인이 계속 유지될 수 있습니다. 로그인 유지 기능을 사용할 경우 다음 접속부터는 로그인할 필요가 없습니다. 단, 게임방, 학교 등 공공장소에서 이용 시 개인정보가 유출될 수 있으니 꼭 로그아웃을 해주세요.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