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상의료 운동본부

조회 수 1470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Extra Form
[쿠키 건강] 의료산업을 비롯한 서비스산업 선진화를 위해 각종 규제 및 정책조정체계의 정비가 필요하며, 특히 의료기관의 경우 당연지정제를 손봐야 한다는 의견이 제시됐다.

한국개발연구원(KDI) 김주훈, 차문중 선임연구위원은 ‘서비스산업의 선진화를 위한 정책과제’ 보고서를 통해 “의료산업이 속한 보건복지서비스와 교육서비스의 경우 비중이 높아졌음에도 불구하고 부가가치 비중을 저하됐다”고 밝혔다.

보고서에 따르면 통계청이 조사한 ‘서비스업의 업종별 고용 및 부가가치 구성비 추이’에서 보건복지 분야의 경우 고용은 93년 2.3%에서 98년 3.4%, 06년 4.5%로 꾸준히 증가했으나 부가가치는 오히려 93년 2.9%, 98년 2.8%, 06년 2.3%로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한국은행이 집계한 ‘서비스업의 업종별 부가가치 증가율’에서도 보건복지 분야는 90∼97년 부가가치 증가율(연평균)이 6.0%였으나 98∼06년은 3.3%로 2.7% 줄어든 것으로 조사됐다.

이 같은 결과에 대해 보고서는 “서비스산업의 부가가치 비중이 떨어진 것에는 여러가지 이유가 있겠지만 기존업체들의 영업활동에 대해 경쟁원리의 적용이 거부되고 있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이어 “의료기관의 경우도 영리법인화를 비롯해 법무법인의 광고활동 허용, 보육산업의 자유로운 가격책정 등이 거부되고 있는데 그 이유는 다양하지만 공통점은 결과적으로 구성원간 경쟁이 억제된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고 지적했다.

아울러 서비스산업 발전을 위한 주요 정책과제로 ▲전문인력의 공급 확대 ▲규제개혁 및 정책조정체계의 정비 ▲서비스업체의 대형화와 전문화 등이 실현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특히 보고서는 규제개혁 및 정책조정체계 정비와 관련해 “의료기관이 국민건강보험의 요양기관으로 강제 지정되는 요양기관 당연지정제도로 인한 문제점이 대두된다”며 “당연지정제도로 모든 의료기관에 단일 수가체계가 적용됨으로써 다양한 의료서비스 개발 유인이 억제되고 의료기관의 질 관리에도 어려움이 발생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이밖에 보고서는 “서비스업은 제조업 등 일부 업종을 제외한 거의 전 산업에 걸쳐 있으므로 소관부처들도 폭넓게 분포돼 있다”며 “따라서 규제의 적용 등에 대한 부처 간 신속한 의견조율이 필요하다”는 견해를 피력했다.

국민일보 쿠키뉴스 제휴사/메디포뉴스 김도환 기자(dhkim@medifonews.com)
?

List of Articles
번호 사이트 글쓴이 날짜
405 보건의료종사자 점심시간, 평균 22분42초 무상의료운동본부 2013.08.21
404 [경향사설]국회의 진주의료원 재개원 요구에 담긴 의미 무상의료운동본부 2013.07.15
403 오매불망 기다린 영리병원이 성형과 피부미용 병원 '싼얼병원'? 무상의료운동본부 2013.06.07
402 안철수 "진주의료원 폐업 과정 문제 있어" 무상의료운동본부 2013.05.27
401 보건의약단체 "진주의료원 빨리 정상화해야" 무상의료운동본부 2013.05.22
400 [보건의료노조 성명] 진주의료원의 총체적 관리운영 부실이 드러났다! 무상의료운동본부 2013.05.21
399 '진주의료원 위기는 노조 탓' 홍준표 주장, 거짓이었다 무상의료운동본부 2013.05.21
398 중국 의료기업, 국내 첫 외국 영리병원 제주에 설립 추진 무상의료운동본부 2013.05.20
397 민변 등 "환자 강제퇴원 종용 홍준표 지사 고발" 무상의료운동본부 2013.05.06
396 진주의료원 폐업, 반대가 훨씬 높은 여론조사 또 나와 무상의료운동본부 2013.05.06
395 진주의료원 정상화 촉구 국회 결의안 통과 무상의료운동본부 2013.04.30
394 진주의료원 한달 폐업유보... 철탑농성 8일만에 해제 무상의료운동본부 2013.04.23
393 진주의료원 휴업 조치 '법·조례·정관' 다 어겼다? 무상의료운동본부 2013.04.04
392 [한겨레신문 사설] 진주의료원, 폐업 대신 대화로 문제 풀어야 무상의료운동본부 2013.03.29
391 [서울신문 사설] 진주의료원 폐업은 마지막 수단이어야 무상의료운동본부 2013.03.29
390 복지부, 경남도 진주의료원 폐업 추진에 제동 무상의료운동본부 2013.03.27
389 복지부 “진주의료원 폐업, 신중히 추진해야” 무상의료운동본부 2013.03.27
388 [참여연대 참여자치연대 공동성명]홍준표 경남도지사, 진주의료원 폐업 아닌 정상화에 힘써라! 무상의료운동본부 2013.03.25
387 "진주의료원 적자는 공익적 활동 때문…국가가 보전해야” 무상의료운동본부 2013.03.25
386 '진주의료원 살리기' 희망 안고 걸었다 무상의료운동본부 2013.03.25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 25 Next
/ 25

서비스 링크

X
Login

브라우저를 닫더라도 로그인이 계속 유지될 수 있습니다. 로그인 유지 기능을 사용할 경우 다음 접속부터는 로그인할 필요가 없습니다. 단, 게임방, 학교 등 공공장소에서 이용 시 개인정보가 유출될 수 있으니 꼭 로그아웃을 해주세요.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