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상의료 운동본부

조회 수 1560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Extra Form
제네릭 의약품 허가제도 변화 예고
식약청 "제약업계, 특허소송 정면돌파가 살 길"

【헬스코리아뉴스】한미FTA 비준안 발효시점이 다가옴에 따라 현재 운영되고 있는 제네릭 의약품의 품목허가 제도에도 큰 변화가 예상된다.

식품의약품안전청 이동희 통상협상지원 TF팀장은 17일 서울 여의도에서 열린 제86회 보건산업진흥포럼에서 '허가-특허연계 국내제도 도입방안'을 설명하며 제네릭 의약품에 대한 허가제도 개선방침을 시사했다.

현행 제도는 오리지널 의약품 특허권자가 식약청에 따로 특허등록을 할 필요가 없으며 제네릭 의약품은 특허권 침해 여부와 상관없이 식약청에 품목허가를 신청하고 심사 후 취득할 수 있다. 그러나 식약청 허가를 받았다 하더라도 추후 소송에서 특허를 침해한 것으로 판명되면 허가가 취소된다.

반면 새 제도가 도입되면 오리지널 의약품 특허권자는 의약품 품목허가 후 20일 이내에 특허정보 등재를 신청해야 한다. 신청하지 않을 경우 제네릭 신청자의 통지를 받지 못하는 등 불이익을 받을 수 있다.

식약청은 특허정보 등재신청을 받으면 물질, 조성물, 제형, 용도에 대한 특허를 등재하고 특허목록을 공고하게 되며 여기에 등재된 오리지널 약물은 한미 FTA 비준안에 의해 특허권의 보호를 받게 된다.

업계는 바로 이 특허등재목록이 새 제도 도입 후 큰 파장을 불러올 것으로 관측하고 있다.

여기에 등재된 오리지널 의약품의 제네릭을 시판하기 위해서는 신청인이 품목허가 신청 사실을 해당 특허권자에게 직접 통보해야 하기 때문. 이를 통보받은 특허권자는 30일 이내에 특허침해 소송을 제기하고 식약청에 이 사실을 알려야 한다.

식약청은 이를 통보받은 후 후속 신청인(제네릭 제조업체) 측에 조건부 허가를 내리고 특허 무효 또는 특허 비침해 등의 심결이 나올 때까지 해당 제네릭의 제조·수입을 금지한다. 일단 시판허가를 내줬던 현행제도와는 다른 대목이다.

결국 이와 관련한 소송이 증가할 수 밖에 없지만 식약청은 오히려 소송을 통해 특허권을 무효화시키는 방안을 업계에 제시하고 있다. 특허권 강화라는 악재를 정면돌파로 극복하라는 메시지로 풀이된다.

이 팀장은 이 날 강연에서 "적극적 특허쟁송을 통해 특허권을 무효화시킨 퍼스트 제네릭에 대해서는 180일의 독점권을 주는 등 보상체계를 마련할 것"이라고 밝혔다.

2008년 04월 18일 (금) 07:26:29 임호섭 의약산업전문기자 admin@hkn24.com
?

List of Articles
번호 사이트 글쓴이 날짜
485 "건강관리 서비스, 국민위한 보건정책 아니다" file 수정 비아카 2010.08.06
484 "건강보험 보장성 확대, 보험료 확대만으론 한계" 수정 webmaster 2008.05.06
483 "건보 당연지정제 고수는 싸구려 인기 영합주의" 수정 건강연대 2008.04.30
482 "건보 민영화는 안하지만 영리병원은 도입한다"? 수정 건강연대 2008.06.20
481 "건보제도 획기적 개선" 수가협상 난항 예고 수정 건강연대 2008.09.01
480 "공‧사보험 역할, 국민들한테 묻는다" 수정 건강연대 2008.08.19
479 "공단재정운영위는 사과하라" 수정 건강연대 2008.10.28
478 "내년도 유형별 수가 연구자 찾기 힘드네" 수정 webmaster 2008.04.21
477 "당연지정제 유지는 善이고, 완화는 惡인가" 수정 건강연대 2008.04.30
476 "당연지정제 폐지, 서민에게 의료재앙" 수정 건강연대 2008.04.02
475 "당연지정제 폐지될까 겁내는 의사 더 많다" 수정 webmaster 2008.05.06
474 "당연지정제, 사유재산침해 개정필요" 수정 건강연대 2008.04.16
473 "대통령님, Sicko보고 제대로 좀 하세요" 수정 건강연대 2008.04.03
472 "대통령님, 의료 영리법인 허용해 주세요" 수정 건강연대 2008.04.29
471 "무조건 종합병원 딱지부터 떼라?…'산재의료서비스'철학은 어디에?" 수정 건강연대 2008.12.18
470 "미국식 의보제도로는 절대 안 간다" 수정 webmaster 2008.04.21
469 "미국인 21% 병원.약값못내 고생 경험" 수정 건강연대 2009.03.12
468 "민간 보험, 건보재정 악화 안되게 해야" 수정 건강연대 2008.04.29
467 "민간 의료기관은 당연지정제 제외" 수정 건강연대 2008.04.02
466 "민간의료보험 활성화, 의료 불평등 초래" 수정 건강연대 2008.04.07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 25 Next
/ 25

서비스 링크

X
Login

브라우저를 닫더라도 로그인이 계속 유지될 수 있습니다. 로그인 유지 기능을 사용할 경우 다음 접속부터는 로그인할 필요가 없습니다. 단, 게임방, 학교 등 공공장소에서 이용 시 개인정보가 유출될 수 있으니 꼭 로그아웃을 해주세요.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