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상의료 운동본부

조회 수 1700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Extra Form
'반(反) 의료계' 국회의원들, 복지위 컴백?

【서울=메디컬투데이/뉴시스】

17대 마지막 임시국회가 이달 말 열릴 예정이지만, 이미 의료계에서는 18대 국회의 상임위 구성에 더 큰 관심을 보이고 있다.

특히 이번 총선에서 의사출신 4명, 약사 3명, 치과의사 2명, 한의사 1명, 간호사 1명 등 보건의료계 인사 11명이 국회에 입성했다.

하지만 의료계의 또다른 관심은 이들보다 '안티' 세력의 움직임에 더욱 주목하고 있다.

의사단체로부터 소위 '반(反) 의료계' 인사로 지목받고 있는 통합민주당 김성순 국회의원 당선인은 18대 국회에서 16개 상임위 중 보건복지위원회와 건설교통위원회 두 곳을 염두해 두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김성순 당선인 관계자는 18일 "국회 복지위와 건교위 중 한 곳을 생각하고 있다"면서 "5월30일 이후 국회 입성 후 당내 조율을 거쳐 최종 상임위가 결정될 것"이라고 말했다.

김 당선인은 지난 9일 끝난 18대 총선에서 서울 송파병에 출마해 한나라당 이계경 후보를 누르고 당선됐다.

그는 지난 16대 국회에서 국방위와 복지위를 번갈아가며 맡았고, 복지위에서는 당시 민주당 간사로 활약하기도 했다.

김 당선인이 '반 의료계' 인사로 낙인찍힌 결정적인 계기는 2000년 당시 연도별 허위·부당청구 상위 10개 요양기관 명단을 최초로 실명공개, 해당 기관이 강력 반발하는 등 사회적으로 큰 파장을 일으키면서부터다.

이후에도 김 당선인은 기회가 있을 때마다 부당청구 병원·약국에 대한 건보공단의 적발 내용등을 공개해 의료계로부터 지탄을 받았다.

이와 관련 김 당선자측 관계자는 "아마 '반 의료계' 인사로 낙인 찍힌 게 부당청구 병의원에 대한 16대 국회 활동 탓인 것 같다"면서 "하지만 이는 전체 병의원이 아닌 부당청구 병의원에 대한 문제제기일 뿐이었다"고 말했다.

또 한편에서 주목받고 있는 의원은 역시 같은당 강기정 의원. 17대에 이어 재선에 성공한 강 의원은 통합민주당 내 대표적인 강경파로 꼽힌다.

김성순 당선인이 16대 국회에서 허위·부당청구 의료기관 명단을 최초로 공개해 논란의 중심에 섰다면, 강 의원은 이들 의료기관의 실명을 공개하는 법안을 발의해 결국 본회의까지 통과시키는데 주도적인 역할을 한 인물이다.

바뀐 법에 따라 앞으로는 요양급여비용을 허위 청구해 행정처분을 받은 요양기관에 대해 그 처분내용과 해당 기관의 명칭 등이 공개된다.

강 의원도 통합민주당 간사 역할을 맡아왔다는 점에서 김 당선인과 여러모로 유사해 의료계의 '기피 의원'으로 꼽히고 있다.

강 의원 역시 17대 국회의 경험을 살려 복지위에서 활동하는 방안을 비롯해 여러안을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이밖에도 17대 복지위 소속 의원 중 재선에 성공한 한나라당 김충환·전재희 의원과 민주당 김춘진·백원우·양승조 의원 등의 향후 거취도 주목받고 있다.

김태형 기자 kth@mdtoday.co.kr
?

List of Articles
번호 사이트 글쓴이 날짜
65 원격진료 반대 여론 확산…“의료영리화 발판” 무상의료운동본부 2013.10.31
64 선택진료제 사라지나…복지부, 폐지 혹은 축소안 논의 무상의료운동본부 2013.11.01
63 [경향의 눈]‘원격진료’라는 판타지 무상의료운동본부 2013.11.05
62 "응답하라 문형표"…참여연대, 공개질의서 발송.“4대 중증질환 공약후퇴 논란·영리법원 찬성 등에 대한 입장 밝혀야” 무상의료운동본부 2013.11.06
61 [사설]선택진료제, 완전 폐지가 바람직하다 무상의료운동본부 2013.11.06
60 [뉴스&뷰] 보이지 않는 ‘원격의료 카르텔’이라도 있나 정부-기업-병원이 규제 완화 한목소리…누구를 위한 시장인지 의문 무상의료운동본부 2013.11.07
59 현오석 장관 행보에 원격진료·영리병원 '들썩' 무상의료운동본부 2013.11.11
58 정부 논란 많은 원격진료 본격 사업화.. 의료기기 성능 개발 및 군부대 원격진료 등 추진 무상의료운동본부 2013.11.12
57 영리병원·일반인 개설약국·원격진료가 몰려온다- 국회 서비스산업발전기본법 토론회서 우석균 실장 주장 무상의료운동본부 2013.11.13
56 버티는 경남도-무기력한 국회·복지부…갑갑한 진주의료원 무상의료운동본부 2013.11.13
55 누구를 위한 원격의료인가 무상의료운동본부 2013.11.18
54 홍준표 지사, 진주의료원 폐업대책 '무상의료' 약속파기 무상의료운동본부 2013.11.19
53 선별급여 도입·본인부담상한 개편안 국무회의 통과 무상의료운동본부 2013.12.03
52 의료민영화 후, 2020년 어느 날, 건강들 하십니까 무상의료운동본부 2013.12.20
51 ‘영리 자회사’ 통해 의료 민영화 ‘우회로’ 연 정부…배후엔 ‘의산복합체’ 무상의료운동본부 2013.12.20
50 한국 닮은 ‘일본 특구 영리병원’ 서비스 질 제고·경제 기여 실패 무상의료운동본부 2013.12.20
49 ‘병원 영리화·대기업 체인병원· 기업약국’ 해석 놓고 충돌 무상의료운동본부 2013.12.20
48 “영리병원, 장관이 나서 막을 것” 무상의료운동본부 2013.12.20
47 박근혜 정부도 의료 민영화 반대? 새빨간 거짓말- [정책쟁점 일문일답] 미국식 의료 체계 향한 치명적 일탈 멈춰야 무상의료운동본부 2014.01.03
46 의료민영화 아니라고? 서울대·연대병원 ‘자회사’도 위법 논란 무상의료운동본부 2014.01.03
Board Pagination Prev 1 ...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Next
/ 25

서비스 링크

X
Login

브라우저를 닫더라도 로그인이 계속 유지될 수 있습니다. 로그인 유지 기능을 사용할 경우 다음 접속부터는 로그인할 필요가 없습니다. 단, 게임방, 학교 등 공공장소에서 이용 시 개인정보가 유출될 수 있으니 꼭 로그아웃을 해주세요.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