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상의료 운동본부

조회 수 2079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Extra Form
[데일리팜] "의협 슈퍼판매 주장, 약사직능 능멸행위"
서울시약, "의료계 비리 파헤칠 것" 맞불

서울시약사회(회장 조찬휘)가 약사회를 겨냥한 잇따른 대한의사협회(회장 주수호)의 강경 발언에 대해 제동을 걸고 나섰다.

시약사회는 21일 ‘의사협회는 국민 기만극을 즉각 중단하라’는 성명서를 내고, “여론을 호도하고 왜곡하는 의사협회의 무분별한 망동에 심각한 우려와 함께 엄중한 경고를 보내지 않을 수 없다”고 경고했다.

시약사회는 의사협회에 정면 대응할 것임을 강조하면서, 환자 알권리 충족을 위해 처방전 2매 발행을 요구하는 한편, 정부에 대해 ▲처방전 리필제도 ▲전문약 일반약 전환 대폭 확대 ▲성분명처방 사업 조속 도입을 요구했다.

특히, 시약사회는 의사협회의 일반약 슈퍼판매 주장을 ‘약사직능 능멸행위’로 규정하고, “의협은 국민건강의 대의를 외면한 채 자신들의 이익만을 추구하며 성분명 처방 시범사업과 의료사고법 제정을 방해하고 저지해 왔다”며 “이같은 저의를 감추려고 대중여론을 선동하면서 일반의약품의 슈퍼판매와 선택 분업을 주장하고 나섰다”고 주장했다.

이어 시약사회는 “후진국가들도 수용하는 의약분업조차 제대로 수용하지 못하면서, 의약품의 슈퍼판매를 주장하고 획책하는 의사협회의 얄팍한 속셈은 소비자단체와 각 정당들이 분명히 파악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또, “일부 의약품의 슈퍼판매가 국민건강을 사지로 내모는 정책임을 규정하며, 의협이 계속 이 주장을 전개할 경우 국민을 기만해 온 의료계의 각종 사기극을 앞장서 파헤칠 것”이라고 시약사회는 덧붙였다.

다음은 성명서 전문.
-의사협회는 국민 기만극을 즉각 중단하라-

의약분업 출범 초기부터 의료기관 파업 등 극한투쟁만을 일삼아온 의료계는 국민건강의 대의를 외면한 채 자신들의 이익만을 추구하며 성분명처방 시범사업과 의료사고법 제정을 방해하고 저지해 왔다.

또한 의협은 이 같은 저의를 감추려고 대중여론을 선동하면서 일반의약품의 슈퍼판매와 선택분업을 주장하고 나섰다.

우리 서울특별시약사회는 여론을 호도하고 왜곡하는 의사협회의 무분별한 망동에 심각한 우려와 함께 엄중한 경고를 보내지 않을 수 없다.

후진국가들도 수용하는 의약분업이란, 보건의료시스템 조차 제대로 수용 못하면서 의약품의 슈퍼판매를 주장하고 획책하는 의사협회의 얄팍한 속셈은 이제 현명한 소비자단체와 각 정당들이 분명히 파악하고 있다.

이에 우리 서울특별시약사회는 2만여 회원의 의지를 대내외에 천명함과 동시에 같은 길을 걷는 전문직능인으로서 최후의 우정 어린 충고를 의사협회에 전한다.

-. 우리는 의협의 지속적이고 반복적인 약사직능 능멸행위에 강한 유감을 표명하며 우리의 인내에 한계가 있음을 분명히 밝혀둔다.

-. 우리는 일부 의약품의 슈퍼판매가 국민건강을 사지로 내모는 정책임을 규정하며 의협이 계속 이 주장을 전개할 경우 국민을 기만해온 의료계의 각종 사기극을 앞장서 파헤칠 것이다.

-. 의협은 국민의 환자 알권리 충족을 위해 법에 명시된 대로 처방전 2매를 즉시 발행하라.

-.정부는 국민의료비 절감과 보험재정 절약을 위해 만성질환에 대한 처방전리필제도를 즉시 시행하라.

-. 정부는 하루속히 안정성이 확보된 의약품의 일반약 전환을 대폭 확대하여 약국이 국민의 셀프메디케이션을 도울 수 있는 기반을 마련토록 하라.

-. 정부는 의협의 무분별한 주장에 휘둘리지 말고 확고한 소신으로 성분명처방 시범사업을 확대, 조속히 성분명처방이 도입되도록 최선의 노력을 경주할 것을 촉구한다.

2008. 4. 21
서울특별시약사회

데일리팜 한승우 기자 (yamaha47@dreamdrug.com)
?

List of Articles
번호 사이트 글쓴이 날짜
445 ‘입원시킨 환자수’가 의사 실적…없는 병도 만드는 영리병원 무상의료운동본부 2014.03.05
444 의료민영화뒤 공공의료 낙후 “기다리다 죽는다” 무상의료운동본부 2014.02.28
443 “의료영리화정책은 좋은 일자리 파괴하는 정책” 무상의료운동본부 2014.02.04
442 정부 ‘의료 영리화’ 추진 문제점… 병원 자회사 설립 허용하면 결국 환자 대상 돈벌이 무상의료운동본부 2014.02.04
441 박근혜 정책, '의료 영리화'로 보는 이유는… 무상의료운동본부 2014.01.24
440 의료민영화 아니라고? 서울대·연대병원 ‘자회사’도 위법 논란 무상의료운동본부 2014.01.03
439 박근혜 정부도 의료 민영화 반대? 새빨간 거짓말- [정책쟁점 일문일답] 미국식 의료 체계 향한 치명적 일탈 멈춰야 무상의료운동본부 2014.01.03
438 “영리병원, 장관이 나서 막을 것” 무상의료운동본부 2013.12.20
437 ‘병원 영리화·대기업 체인병원· 기업약국’ 해석 놓고 충돌 무상의료운동본부 2013.12.20
436 한국 닮은 ‘일본 특구 영리병원’ 서비스 질 제고·경제 기여 실패 무상의료운동본부 2013.12.20
435 ‘영리 자회사’ 통해 의료 민영화 ‘우회로’ 연 정부…배후엔 ‘의산복합체’ 무상의료운동본부 2013.12.20
434 의료민영화 후, 2020년 어느 날, 건강들 하십니까 무상의료운동본부 2013.12.20
433 선별급여 도입·본인부담상한 개편안 국무회의 통과 무상의료운동본부 2013.12.03
432 홍준표 지사, 진주의료원 폐업대책 '무상의료' 약속파기 무상의료운동본부 2013.11.19
431 누구를 위한 원격의료인가 무상의료운동본부 2013.11.18
430 버티는 경남도-무기력한 국회·복지부…갑갑한 진주의료원 무상의료운동본부 2013.11.13
429 영리병원·일반인 개설약국·원격진료가 몰려온다- 국회 서비스산업발전기본법 토론회서 우석균 실장 주장 무상의료운동본부 2013.11.13
428 정부 논란 많은 원격진료 본격 사업화.. 의료기기 성능 개발 및 군부대 원격진료 등 추진 무상의료운동본부 2013.11.12
427 현오석 장관 행보에 원격진료·영리병원 '들썩' 무상의료운동본부 2013.11.11
426 [뉴스&뷰] 보이지 않는 ‘원격의료 카르텔’이라도 있나 정부-기업-병원이 규제 완화 한목소리…누구를 위한 시장인지 의문 무상의료운동본부 2013.11.07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 25 Next
/ 25

서비스 링크

X
Login

브라우저를 닫더라도 로그인이 계속 유지될 수 있습니다. 로그인 유지 기능을 사용할 경우 다음 접속부터는 로그인할 필요가 없습니다. 단, 게임방, 학교 등 공공장소에서 이용 시 개인정보가 유출될 수 있으니 꼭 로그아웃을 해주세요.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