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상의료 운동본부

조회 수 2234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Extra Form
[연합뉴스] 광우병 미국소 원료 화장품.의약품 허용되나

미국산 쇠고기 수입이 전면 개방됨에 따라 보건당국이 미국산 소의 태반 등을 의약품 및 화장품 원료로 허용할지 여부를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미국산 소에 대한 원료 제한이 없어질 경우 미국산 쇠고기를 먹지 않는 소비자들도 미국 소의 체성분에 노출될 수 있어 허용 여부가 주목된다.

식품의약품안전청 관계자는 23일 "미국산 쇠고기 수입이 전면 개방됨에 따라 의약품과 화장품 원료로 미국산 소 사용을 허용해야 할지 고민 중"이라고 밝혔다.

현재 우리나라는 광우병(BSE)이 유행하는 영국 및 북아일랜드산 소를 원료로 한 의약품, 의약외품과 그 원료의 수입을 금지하고 있으며 미국 등 나머지 발생국의 소와 양, 염소, 물소, 사슴 등 반추동물 유래 의약품 등 및 해당 원료 수입시 수출국 정부가 발행하는 미감염증명서를 제출하도록 돼있다.

화장품의 경우 국산 화장품에 대해서는 광우병 발생국가에서 생산된 반추동물의 뼈, 척수 등 '특정위험물질'을 사용할 수 없도록 하고 있다. 다만 수입 화장품에는 원료 통제를 할 수 없어 광우병 발생국에서 생산된 소 유래 원료가 함유돼 있을 수 있다.

식약청 관계자는 "농식품부와 미국의 자세한 협정 내용을 알지 못해 수입 제한조치를 해제할지 결정할 수 없는 단계"라며 "당분간은 현행대로 미감염 증명서를 첨부해야 한다"고 말했다.

미국산 소에 대해 미감염증명서 제출 의무 등이 해제될 경우 국내 소비자들은 의약품과 의약외품, 화장품을 통해 감염 여부가 불확실한 소의 '특정위험부위'에 노출될 우려가 커지게 된다.

특히 식품의 경우 원산지가 표시돼 있어 소비자에게 선택권이 보장되지만 의약품, 화장품의 경우 소비자들이 미국산 소 유래 원료가 사용됐는지 알 수 없는 실정이다.

실제로 영국이 광우병 파문 이후 발간한 '광우병 조사보고서'(The BSE Inquiry)에 따르면 광우병에 걸린 소에서 유래한 의약품과 화장품 등을 통해서도 실제 감염될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우리나라에서도 2000년대 초반 백신의 원료로 광우병 위험지역에서 자란 소가 이용됐다는 내용이 드러나 파문이 일기도 했다.

소 혈청은 각종 세포치료제나 항체 등 생물학적 제제 생산에 널리 쓰이며 화장품의 경우에도 태반 등이 다양한 화장품에 널리 쓰이고 있다.
?

List of Articles
번호 사이트 글쓴이 날짜
285 의사 82% "당연지정제 폐지해도 보험환자 진료" 수정 건강연대 2008.07.03
284 의료영리화 반대 네티즌 "여기로 모여라" 수정 건강연대 2008.07.07
283 이 대통령, 새 복지부 장관에 전재희 내정 수정 건강연대 2008.07.07
282 4대보험료 건보공단서 통합징수 수정 건강연대 2008.07.07
281 제주대 교수 49인 "영리병원 허용 반대" 수정 건강연대 2008.07.07
280 건보노조 "건강보험·국민연금 체납 심평원장 사퇴" 수정 건강연대 2008.07.07
279 과잉진료 막기 위해서는 총액예산제 도입해야" 수정 건강연대 2008.07.07
278 복지부 "국내 영리병원 전국화 가능하다 수정 건강연대 2008.07.14
277 "병원 갈 돈도 줄이자" 올해 건보재정 흑자전망 수정 건강연대 2008.07.15
276 월부터 임의비급여 처방 가능해진다 수정 건강연대 2008.07.15
275 건약 "임의비급여 합법화 '즉각 철회'" 수정 건강연대 2008.07.15
274 여론 불리하면 나타나는 ‘광고 정치’ 또 등장 수정 건강연대 2008.07.15
273 민영의보 본인부담금 보장 축소한다 수정 건강연대 2008.07.16
272 경기도, 국내 첫 주치의제 시범사업 실시 수정 건강연대 2008.07.21
271 김 지사 28일 영리병원 여론조사 관련 기자회견 수정 건강연대 2008.07.28
270 제주도 영리병원 설립 무산…김 지사 "다음 기회로" 수정 건강연대 2008.07.28
269 제주서 무산된 영리병원 전면 백지화되나 수정 건강연대 2008.07.29
268 손해보험업계, 28일 긴급 사장단 회의…"정책추진 즉각 중단" 수정 건강연대 2008.07.29
267 김태환 지사 "여건 성숙되면 영리병원 추진" 수정 건강연대 2008.07.29
266 심평원장 해임서명 보이콧…노사갈등 증폭 수정 건강연대 2008.08.04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 25 Next
/ 25

서비스 링크

X
Login

브라우저를 닫더라도 로그인이 계속 유지될 수 있습니다. 로그인 유지 기능을 사용할 경우 다음 접속부터는 로그인할 필요가 없습니다. 단, 게임방, 학교 등 공공장소에서 이용 시 개인정보가 유출될 수 있으니 꼭 로그아웃을 해주세요.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