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상의료 운동본부

조회 수 1736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Extra Form
"민간 보험, 건보재정 악화 안되게 해야"

(서울=연합뉴스) 하채림 기자 = 김성이 보건복지가족부장관은 29일 "의료보장에 있어 건강보험이 주된 부분이고 그밖에 보충적 차원에서 민간보험을 생각할 수 있다"면서 민간 의료보험을 (도입)하더라도 건강보험재정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방향으로 하겠다"고 밝혔다.

김 장관은 이날 기자들과 만나 모든 병의원, 약국이 건강보험 환자 진료를 의무화하는 '당연지정제'를 유지하겠다는 정부 방침을 명확히 했다.

그는 또 "당연지정제를 완화하면 일부 고급 의료서비스를 선택할 수 있는 기대효과가 있지만 의료이용이 차별화되고 국민의료비 상승 등의 부작용이 크다"고 당연지정제 유지 배경을 설명했다.

다음은 김성이 복지부장관과 일문일답.

▲당연지정제 유지 방침에 대해 다른 국무위원도 모두 동의했나
--대통령께서도 국민의 건강권이 우선이라고 말씀하셨다. 전 국무위원도 이에 동의를 했다. 우리 부처만의 입장이 아니라는 것을 말씀드린다.

▲일부 진료과목이나 항목에 대해서는 제한적으로 당연지정제가 폐지되는 것은 아닌가
--그렇지 않다. 30년간 유지돼 온 건강보험 시스템을 세계가 부러워하고 있다. 미국과 유럽에서도 한국 모델이 성공적이라고 평가한다. 우리는 이 체제를 발전보강하는 데는 관심이 있지 체제를 변경하는 데는 관심이 없다. 우리나라 건강보험은 적은 비용으로 많은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앞으로 우리 건강보험이 세계적인 모델이 되고, 그 자체가 상품이 될 수도 있다. 다른 나라에도 도움을 줄 수 있으리라고 본다.

▲건강보험 본인부담금을 보장하는 민영보험 도입에 대한 논의가 계속되고 있는데.

--의료보장에 있어 건강보험이 주이고 그밖에 보충적 차원에서 민간보험은 생각할 수 있다. 그러나 가장 먼저 고려할 것은 국민의 건강권과 재정안정성이다. 국민의 건강권과 건강보험재정 안정 원칙하에서 민간보험은 부수적으로 논의될 수 있다.

본인 부담금을 보장하는 민간 보험이 도입되면 의료 서비스 수요가 늘어나는 등 '도덕적 해이' 문제가 생길 수 있다. 민간 의료보험을 논의하더라도 공보험 재정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방향으로 추진하겠다는 것이다. 이미 암보험 등 다양한 민간 의료보험들이 시장에 나와 있다. 이런 상품에 어떤 것을 허용할 것인가에 대해서는 현재 부처간 협의가 진행 중이다.

▲갑작스럽게 당연지정제에 대한 기자회견을 자처한 이유는
--그간에 여러 부처에서 간간히 발표된 자료 때문에 국민들이 건강보험이 훼손되는 게 아닌지 염려하고 있다고 알고 있다. 어제 아침 국가재정전략회의에서 당연지정제에 대한 논의를 했고 유지 방침을 확실히했다. 하루라도 빨리 국민들에게 이런 결과를 알려드리려고 이 자리를 마련했다. 다른 이유는 없다.

tree@yna.co.kr
?

List of Articles
번호 사이트 글쓴이 날짜
25 창조한국당, ‘의료보험민영화 저지 정책연대’ 제안 수정 건강연대 2008.04.07
24 천주교 정의평화위, '진주의료원 폐업 철회' 기도회 무상의료운동본부 2013.03.19
23 촛불집회, 광우병 넘어 의료민영화까지 '활활' 수정 건강연대 2008.06.16
22 출장검진업체-병원, 보험가입자 담보로 한 '검은 커넥션' 드러나 수정 천문호 2008.10.16
21 치과분야 보장성 확대운동 ‘본격 시동’ 수정 건강연대 2008.05.26
20 투자의료법인 설립 전망…의료공공성 보장 '병원회사' 허용 검토 수정 건강연대 2008.04.28
19 하반기 의료계 최대 이슈 '원격의료' 수정 비아카 2010.08.06
18 한국 닮은 ‘일본 특구 영리병원’ 서비스 질 제고·경제 기여 실패 무상의료운동본부 2013.12.20
17 한나라 '과반'국회, 민간보험·영리병원 탄력받나 수정 건강연대 2008.04.10
16 한나라 승리한 18대 국회 보건복지위는 ? 수정 건강연대 2008.04.10
15 한나라당 ‘쇠고기 혼돈상태’…정책위장도 협상내용 ‘깜깜’ 수정 건강연대 2008.05.06
14 한나라당 원희목 당선자 "국민중심 정책생산 할 터" 수정 건강연대 2008.04.10
13 한나라당·정부 "MB임기 중 의료보험 민영화 안한다" 수정 건강연대 2008.06.19
12 한미FTA, 국내 제약사에 쓰나미? 수정 webmaster 2008.04.18
11 해외환자 유치 활성화방안, 외국인에만 적용 수정 건강연대 2008.06.16
10 허가범위 초과 처방 '임의비급여' 합법화 file 수정 건강연대 2008.05.13
9 헌재, "건강보험 당연지정제는 합헌" 재강조 수정 건강연대 2008.04.04
8 현오석 장관 행보에 원격진료·영리병원 '들썩' 무상의료운동본부 2013.11.11
7 협상결렬된 의원급 의료수가, 2.1% 인상 결정 건강연대 2008.12.23
6 홍준표 경남도지사의 '강성노조 해방구' 규탄 성명(보건의료노조) 무상의료운동본부 2013.03.18
Board Pagination Prev 1 ...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Next
/ 25

서비스 링크

X
Login

브라우저를 닫더라도 로그인이 계속 유지될 수 있습니다. 로그인 유지 기능을 사용할 경우 다음 접속부터는 로그인할 필요가 없습니다. 단, 게임방, 학교 등 공공장소에서 이용 시 개인정보가 유출될 수 있으니 꼭 로그아웃을 해주세요.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