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상의료 운동본부

조회 수 2316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Extra Form
[데일리메디] "건보 당연지정제 고수는 싸구려 인기 영합주의"
의협, 政 방침에 강력 성토…"국민 심판 받을 것"

정부가 '당연지정제 유지 방침'을 밝힌 데 대해 대한의사협회(회장 주수호)가 강력 비판하고 나섰다.

의협은 29일 '정부의 요양기관 당연지정제 고수에 대한 대한의사협회 입장'이라는 성명서에서 "국내 모든 의료기관이 요양기관으로 강제지정 돼 이른바 '붕어빵 의료'가 국민에게 획일적으로 제공되 있는 점이 문제다"라며 "시장경제의 원리에 맞게, 건보 체계 내에서의 획일·보편적 진료를 행하도록 강제하는 강제지정제를 철폐해 환자의 선택권을 보장해야 한다"고 강하게 성토했다.

의협은 "건강보험 당연지정제의 폐지 및 계약제로의 전환은 반드시 필요하며, 필수 의료행위만을 건강보험 대상으로 해야 한다"며 "요양기관 강제지정제를 선택계약제로 바꿔 의료기관이 건강보험의 계약 의료기관이 될 것인지, 자유로운 기관이 될 것인지를 선택하게 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필수진료로 건강보험을 개편했을 때 보험에 참여하는 의료기관을 안정적으로 확보키 위해 세제혜택 등의 지원방안을 강구해야 한다는 입장도 내비쳤다.

또 모럴 헤저드를 방지키 위해 필수 건강보험을 국가에서 관리하는 한편 다양한 의료욕구에 대해서는 시장경제라는 욕구 조절장치를 도입해야 건전한 의료체계를 구축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의협은 "이번 정권 교체는 지난 정부의 소위 '떼 법'과 '정서법' 등에 염증을 느낀 대다수 국민의 선택에서 비롯됐다"며 "현 정권마저 전문가단체의 합리적 판단을 무시하고 선정적이고 '싸구려 인기 영합주의'에 편승해 나간다면 지난 10년 간의 좌파정권보다도 못하다는 국민의 혹독한 심판을 면키 어려울 것"이라고 비판했다.

그러면서 일부 왜곡된 시각을 가진 사람들에 의해 만들어진 '당연지정제'가 유지되는 것이 무조건적 선이며, 완화하는 것이 악 인양 호도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고 했다.

의협은 "의사들의 희생을 바탕으로 만들어진 한국의 보건의료의 토대를 무시하고 의료사회주의자들이 주창하고 있는 '당연지정제'를 고수한다면 현 정권 또한 한국의료를 영원한 퇴보의 나락으로 떨어트리게 된다"며 "의협은 '당연지정제 유지'에 심히 유감을 표명하며, 국민의 건강권을 위해 무엇이 최선인지에 대한 토론과 민의를 수렴할 것을 강력히 촉구한다"고 말했다.

음상준기자 (esj1147@dailymedi.com)
?

  1. No Image

    "건강관리 서비스, 국민위한 보건정책 아니다"

    "건강관리 서비스, 국민위한 보건정책 아니다" 시민건강연구소, 검토 보고서 발표…"법안 폐기" 촉구 건강관리서비스는 국민 건강증진을 위한 보건정책이 아닌 경제적 효과를 기대하는 산업정책이라는 한 연구소의 검토보고서가 나왔다. 이조차 경제·산업적 효...
    Date2010.08.06 By비아카 수정
    Read More
  2. No Image

    "건강보험 보장성 확대, 보험료 확대만으론 한계"

    [디지털청년의사] "건강보험 보장성 확대, 보험료 확대만으론 한계" 생보협 정진택 상무 “공·사보험간 역할 정립해 사회보장기능 강화" 건강보험의 보장성을 확대하는 데 있어서 현행 건강보험제도만으로 한계가 따르게 때문에 민영의료보험을 활성화시켜야 한...
    Date2008.05.06 Bywebmaster 수정
    Read More
  3. No Image

    "건보 당연지정제 고수는 싸구려 인기 영합주의"

    [데일리메디] "건보 당연지정제 고수는 싸구려 인기 영합주의" 의협, 政 방침에 강력 성토…"국민 심판 받을 것" 정부가 '당연지정제 유지 방침'을 밝힌 데 대해 대한의사협회(회장 주수호)가 강력 비판하고 나섰다. 의협은 29일 '정부의 요양기관 당연지정제 ...
    Date2008.04.30 By건강연대 수정
    Read More
  4. No Image

    "건보 민영화는 안하지만 영리병원은 도입한다"?

    "건보 민영화는 안하지만 영리병원은 도입한다"? 민영화-대운하, 포기? 변형 추진? http://www.pressian.com/scripts/section/article.asp?article_num=20080620135829
    Date2008.06.20 By건강연대 수정
    Read More
  5. No Image

    "건보제도 획기적 개선" 수가협상 난항 예고

    "건보제도 획기적 개선" 수가협상 난항 예고 민노총, 보장성 강화 및 지불제도개선 등 요구키로 http://www.medigatenews.com/Users2/News/NewsView.html?dbName=News&ID=54592&spType=1&nSection=1
    Date2008.09.01 By건강연대 수정
    Read More
  6. No Image

    "공‧사보험 역할, 국민들한테 묻는다"

    "공‧사보험 역할, 국민들한테 묻는다" 공단, 보장성 확대 전제 보험료 인상 국민수용성 조사 실시 생명보험사의 실손형 개인의료보험 상품 출시로 인해 국민건강보험과 개인의료보험의 역할에 대한 국민적 관심이 고조됨에 따라 향후 건보공단이 공보험...
    Date2008.08.19 By건강연대 수정
    Read More
  7. No Image

    "공단재정운영위는 사과하라"

    동북아메디컬포럼, 의협에 패널티 주라니 말도 안돼 건정심 수가결정에 대한 간섭은 건보법 위반한 월권 http://www.kmatimes.com/news/articleView.html?idxno=50142
    Date2008.10.28 By건강연대 수정
    Read More
  8. No Image

    "내년도 유형별 수가 연구자 찾기 힘드네"

    [데일리팜] "내년도 유형별 수가 연구자 찾기 힘드네" 공개모집 불구 지원자 1명…김진현 교수 이상 적임자 못찾아 건강보험공단이 내년도 병·의원 및 약국 등의 유형별 수가 연구를 위한 연구용역을 발주했지만 지원자가 서울대 김진현 교수 1명에 그친 것으로...
    Date2008.04.21 Bywebmaster 수정
    Read More
  9. No Image

    "당연지정제 유지는 善이고, 완화는 惡인가"

    "당연지정제 유지는 善이고, 완화는 惡인가" 주수호 의협회장 "이분법적 시각 매우 잘못된 것" 비판 당연지정제 폐지 연구결과 5월말 나와…"국민동의 얻는데 총력" 새정부에서는 현재의 당연지정제를 폐지하지 않겠다는 김성이 장관의 공식 발표에도 불구하고 ...
    Date2008.04.30 By건강연대 수정
    Read More
  10. No Image

    "당연지정제 폐지, 서민에게 의료재앙"

    [메디게이트] "당연지정제 폐지, 서민에게 의료재앙" 통합민주당, 의협 규제개혁안 정면 비판 통합민주당이 2일 의협과 이명박 정부 인수위원회의 당연지정제 폐지 혹은 완화 주장에 대해 "서민에게 의료재앙이 될 것"이라며 강력하게 비판했다. 유종필 대변인...
    Date2008.04.02 By건강연대 수정
    Read More
  11. No Image

    "당연지정제 폐지될까 겁내는 의사 더 많다"

    [디지털청년의사] "당연지정제 폐지될까 겁내는 의사 더 많다" 醫-政, 당연지정제 존폐 놓고 입장차 재확인 복지부 "이념적 논쟁말고 실용적으로 접근해야" 대한의사협회와 정부가 당연지정제 폐지를 둘러싸고 입장차를 재확인했다. 지난 2일 열린 의협 창립 1...
    Date2008.05.06 Bywebmaster 수정
    Read More
  12. No Image

    "당연지정제, 사유재산침해 개정필요"

    "당연지정제, 사유재산침해 개정필요" 2008년 04월 15일 (화) 19:01 뉴시스 【서울=메디컬투데이/뉴시스】 제17대 대통령직 인수위원회는 지속가능한 의료보장체계 구축을 위해 건강보험 재정 안정화를 손꼽고, 현재 건강보험의 여러 문제를 지적했다. 특히 요...
    Date2008.04.16 By건강연대 수정
    Read More
  13. "대통령님, Sicko보고 제대로 좀 하세요"

    "대통령님, SICKO 보고 제대로 좀 하세요" 보건의료시민사회단체, 2일 오전 기자회견 개최…영화 무료초대권 전달 퍼포먼스 등 2008년 04월 02일 (수) 이현정 기자 jinro97@gunchinews.com 미국의료제도의 폐해를 다룬 다큐멘터리 영화 『SICKO』의 개봉일을 ...
    Date2008.04.03 By건강연대 수정
    Read More
  14. No Image

    "대통령님, 의료 영리법인 허용해 주세요"

    [데일리메디] "대통령님, 의료 영리법인 허용해 주세요" 김철수 회장, 28일 청와대 회의 참석…민영보험 활성화 등 건의 김철수 대한병원협회장이 이명박 대통령에게 민영보험 활성화와 주식회사형 병원 허용을 요청했다. 김철수 회장은 지난 28일 청와대에서 ...
    Date2008.04.29 By건강연대 수정
    Read More
  15. No Image

    "무조건 종합병원 딱지부터 떼라?…'산재의료서비스'철학은 어디에?"

    100억 규모의 수중치료 시설을 갖춘 인천 중앙병원은 지난 8월 1일 종합병원에서 전문병원으로 그 등급이 떨어졌다. 정부 정책 때문이다. 6개 산재병원 가운데 5개 병원을 차례로 전문 병원으로 만들어 특화된 진료를 하겠다는 것이 정부 계획이다. 이미 발표...
    Date2008.12.18 By건강연대 수정
    Read More
  16. No Image

    "미국식 의보제도로는 절대 안 간다"

    "미국식 의보제도로는 절대 안 간다" [단독 인터뷰] 김성이 보건복지가족부 장관 지난 3월 출범한 이명박 정부는 보건복지 분야에서 ‘능동적 복지’라는 국정지표를 내걸었다. ‘능동적 복지’는 시장의 기능과 효율을 강조한 것으로, 앞서 참여정부가 공공적인 ...
    Date2008.04.21 Bywebmaster 수정
    Read More
  17. No Image

    "미국인 21% 병원.약값못내 고생 경험"

    작년 치과 한번도 안간 사람 34% 미국에서 경기침체로 작년에 병원비나 약값이 없어 곤란을 겪은 경험이 있다는 응답이 21%로 최고를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여론조사기관인 갤럽이 질병관리회사인 `헬스웨이즈'와 공동으로 실시한 여론조사에 따르면 실직등...
    Date2009.03.12 By건강연대 수정
    Read More
  18. No Image

    "민간 보험, 건보재정 악화 안되게 해야"

    "민간 보험, 건보재정 악화 안되게 해야" (서울=연합뉴스) 하채림 기자 = 김성이 보건복지가족부장관은 29일 "의료보장에 있어 건강보험이 주된 부분이고 그밖에 보충적 차원에서 민간보험을 생각할 수 있다"면서 민간 의료보험을 (도입)하더라도 건강보험재정...
    Date2008.04.29 By건강연대 수정
    Read More
  19. No Image

    "민간 의료기관은 당연지정제 제외"

    [데일리메디] "민간 의료기관은 당연지정제 제외" 의협, 2월 진흥원에 '규제개선 방안' 제출…'심사기준 계약제' 건의 대한의사협회(회장 주수호)가 민간의료기관의 '건강보험 당연지정제' 제외를 주장했다. 의협은 지난 2월 건강보험 당연지정제를 비롯해 수가...
    Date2008.04.02 By건강연대 수정
    Read More
  20. No Image

    "민간의료보험 활성화, 의료 불평등 초래"

    "민간의료보험 활성화, 의료 불평등 초래" 2008년 04월 07일 (월) 09:55 뉴시스 【서울=메디컬투데이/뉴시스】 새 정부가 추진의사를 밝힌 '민간의료보험 활성화' 정책이 궁극적으로 국민들의 의료비 부담을 늘리고, 의료서비스 접근의 불평등을 초래할 것이란...
    Date2008.04.07 By건강연대 수정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 25 Next
/ 25

서비스 링크

X
Login

브라우저를 닫더라도 로그인이 계속 유지될 수 있습니다. 로그인 유지 기능을 사용할 경우 다음 접속부터는 로그인할 필요가 없습니다. 단, 게임방, 학교 등 공공장소에서 이용 시 개인정보가 유출될 수 있으니 꼭 로그아웃을 해주세요.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