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상의료 운동본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수신

각 언론사 보건복지부, 사회부담당 및 보건의료전문 담당

 

 

발신

의료민영화저지와 무상의료실현을 위한 운동본부(02-2677-9982)

 

 

전송일시

2014117() 2

 

 

제목

대한치과의사협회 입법 로비 의혹 수사에 대한 무상의료운동본부 논평

 

 

문의

김경자 무상의료운동본부 공동집행위원장 (010-3713-2772)

김재헌 무상의료운동본부 사무국장 (010-7726-2792)

 

 

[무상의료운동본부 논평]

 

의료상업화의 첨병 사무장병원을 막는 유일한 법안,

‘11개소 법정당하다.

 

- 입법 로비 의혹, 공정한 검찰수사를 촉구한다 -

 

 

지난 1031일 검찰이 대한치과의사협회(이하 치협)을 압수수색하였다. 이는 새정치민주연합 의원들을 상대로 치협이 입법로비를 했다는 혐의였다. 이에 앞서 711, ‘어버이 연합이라는 단체가 새정치연합 전, 현직 의원 11명을 의료법 개정을 조건으로 불법 정치자금을 받았다고 고발한 바 있다.

 

이번 수사로 도마 위에 오른 법안은 바로 의료법 제338, 소위 ‘11개소 법이라고 불리우는 조항이다. 이것은 한 사람의 의료인은 하나의 의료기관 만을 개설, 운영할 수 있다는 내용으로 지난 201112월 양승조 의원이 대표 발의하고 여야가 합의하고 국회 통과된 법이다.

 

우선, 이 법안은 로비 의혹을 떠나서 의료민영화와 상업화를 반대해 온 국민 다수의 지지를 얻고 있는 법안임을 강조하고자 한다.

 

의료법에는 개정 전부터 한 명의 의료인은 하나의 의료기관 만을 개설하도록 명시하고 있었다. 개정 전 의료법 제338항은 의료인은 하나의 의료기관만 개설할 수 있다이다. 그런데 문제는 2003년 한 판례에서 경영과 의료를 분리해서 판단한 사례를 악용하면서 발생하였다. 90년대 후반부터 의료기관의 상업화 현상이 그 도를 넘어서면서 일부 병의원과 네트워크 의료기관들이 사무장을 통한 경영간섭으로 의료를 상업화하는 일들이 나타나면서 그 법적 근거로 이 판례를 악용하기 시작한 것이다.

 

그 극단적인 사례로 한 네트워크 치과의 1인 경영지배 체제와 과잉진료가 언론의 조명을 받고 당시 큰 사회적 문제로 대두되었다. 사실상 경영권을 행사하는 경우 의료진의 진료권은 제한을 받지 않을 수 없는 현실에서, 수익을 극대화하기 위한 과잉진료가 발생할 수밖에 없는 구조적인 문제가 결국 1인 경영지배 네트워크 치과의 문제로 대두된 것이다. 당시 언론과 방송을 통해 과잉진료와 불법진료 의혹이 불거지면서 전국민의 공분을 샀으며, 국회 국감에서까지 다뤄지고 보건복지부 장관이 이에 대한 대처를 약속하는 사안이었다.

 

그런 의미에서 당시 개정된 의료법의 내용은 의료인은 어떠한 명목으로도 둘 이상의 의료기관을 개설 운영할 수 없다라고 ‘11개소 법의 내용을 명확하게 규정한 것이었다. 이 법안을 계기로 많은 편법적인 네트워크 병의원과 사무장병원들의 운영방식이 바뀌었으며, 이에 반발한 한 정형외과 병원은 건강보험공단을 상대로 소송을 냈다가 패소한 일도 있었다.

 

말 그대로 ‘11개소 법은 한 명의 의료인에게 하나의 의료기관만 개설하도록 제한함으로써 극단적인 의료상업화에 일단 제동을 걸 수 있는 법적 장치를 마련한 것이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어버이 연합이 불법 로비 의혹을 빌미로 이 법안의 근간을 흔드는 것은 이후에 닥쳐올 사무장 병원들의 복귀와 의료상업화의 광풍을 불러들이는 것으로서, 비양심적인 의료인과 의료자본의 농간에 놀아나는 것임을 명심해야 할 것이다.

 

그리고, 이번 치협에 대한 검찰의 압수수색이 그동안 정부의 의료민영화 정책추진에 대해 타 보건의료 직능 단체과 함께 반대에 앞장 선 치협 집행부에 대한 정치적 압력이라는 의혹이 있다. 이것이 만일 사실이라면 의료민영화 반대에 앞장서 온 무상의료운동본부는 이를 좌시하지 않을 것임을 분명히 밝히는 바이다.

 

 

 

의료민영화저지와 무상의료실현을 위한 운동본부

가난한 이들의 건강권확보를 위한 연대회의, 건강권실현을 위한 보건의료단체연합(건강사회를 위한 약사회, 건강사회를 위한 치과의사회, 노동건강연대, 인도주의실천의사협의회, 참의료실현청년한의사회), 건강세상네트워크, 기독청년의료인회, 광주전남보건의료단체협의회, 대전시립병원 설립운동본부, 한국의료복지사회적협동조합연합회, 건강보험하나로시민회의,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 한국노동조합총연맹, 전국보건의료산업노동조합, 공공운수노조·연맹, 국민건강보험노동조합, 전국의료산업노동조합연맹, 전국농민회총연맹, 한국농업경영인중앙연합회, 전국여성농민회총연합, 전국여성연대, 빈민해방실천연대(민노련, 전철연), 전국빈민연합(전노련, 빈철련), 노점노동연대, 참여연대, 서울YMCA 시민중계실, 천주교빈민사목위원회, 참교육을 위한 전국학부모회, 평등교육 실현을 위한 전국학부모회, 사회진보연대, 노동자연대, 장애인배움터 너른마당, 일산병원노동조합, 학교급식전국네트워크, 약사의 미래를 준비하는 모임

?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561 성명 <공동성명> 한화생명 등 민간보험회사는 우리 개인 건강정보를 동의 없이 활용할 수 없다 file 무상의료운동본부 2022.01.19 226
560 성명 0807 [성명] 코로나19 확산하는 상황에서 검사·치료비 중단 등 방역완화 안 된다. 무상의료운동본부 2023.09.04 152
559 보도자료 0822 [기자회견] 영리 플랫폼에 의한 의료민영화, 비대면 진료 법제화 추진 중단하라 file 무상의료운동본부 2023.09.04 207
558 2004년 보도성명 자료모음 file webmaster 2008.04.21 22162
557 2005년 보도성명 자료모음 file webmaster 2008.04.21 5321
556 2006년 보도성명 자료모음 file webmaster 2008.04.21 5260
555 2007년 보도성명 자료모음 file webmaster 2008.04.21 5364
554 보도자료 20090415기획재정부 장관과의 공개 토론회 제안 건강연대 2010.01.12 5335
553 보도자료 20090428의료민영화 관련 보궐후보자 설문 file 건강연대 2010.01.12 5238
552 성명 20090508리베이트를 양성화 시키는 것이 필수약제의 공급방안이 될 수 없다! 건강연대 2010.01.12 5807
551 성명 20090508서비스선진화성명 건강연대 2010.01.12 5863
550 보도자료 20090512복지부의 의료민영화 추진 규탄 기자회견 건강연대 2010.01.12 5369
549 보도자료 20090616건정심_글리벡기자회견 건강연대 2010.01.12 7927
548 성명 20090703약대증원철회 건강연대 2010.01.12 5668
547 성명 20090720제주영리병원중단 건강연대 2010.01.12 5717
546 보도자료 20090728_1000만인서명운동발대식 건강연대 2010.01.12 5206
545 보도자료 20090728제주영리병원추진규탄 건강연대 2010.01.12 5519
544 성명 20090729적십자병원축소,폐원 반대 건강연대 2010.01.12 5620
543 보도자료 20090730쌍용차 사태의 인도적인 지원촉구를 위한 건강연대 기자회견 건강연대 2010.01.12 6096
542 보도자료 20091006_의료민영화저지범국본결성식 건강연대 2010.01.12 5476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 29 Next
/ 29

서비스 링크

X
Login

브라우저를 닫더라도 로그인이 계속 유지될 수 있습니다. 로그인 유지 기능을 사용할 경우 다음 접속부터는 로그인할 필요가 없습니다. 단, 게임방, 학교 등 공공장소에서 이용 시 개인정보가 유출될 수 있으니 꼭 로그아웃을 해주세요.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