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상의료 운동본부

조회 수 1855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Extra Form
[디지털청년의사] 의료계, 한나라·MB정부에 연이어 뒤통수?
비례대표 공천배제 이어 당연지정제 완화도 좌절…"의협 정치력 부족"


지난 대선과 총선에서 한나라당을 전폭 지지, 정권교체가 이뤄지는 데 한 몫을 했던 의사협회가 직능단체 몫으로 배정되는 비례대표에서 탈락한 데 이어 이번에는 당연지정제 폐지로 새정부에게 뒤통수를 맞았다.

의협 주수호 회장의 최대 과제였던 당연지정제 폐지에 대해 논의조차 해보지 못하고 새정부에게 철저하게 무시를 당하게 된 것.

이에 따라 의료계 일각에서는 집행부의 정치력 부재를 지적하는 목소리가 적지 않게 흘러나오고 있다.

30일 E대학 모 교수는 "정부가 바뀌었다고 해서 당연지정제를 폐지하기는 쉽지 않을 것"이라며 "당연지정제 폐지가 의사들에게 오히려 불리할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집행부가 구체적인 대안도 없이 성급하게 밀어부친 면이 없지 않다"고 지적했다.

그는 "당연지정제를 폐지하기보다는 규제완화 차원에서 지정신청제로 하자고 주장하는 게 바람직했다"며 "정부가 명확하게 입장을 밝힌 만큼 당연지정제 폐지는 이제 사실상 물건너 간 것이나 다름없다"고 주장했다.

인천에서 개원하고 있는 K원장은 "당연지정제 폐지가 시작도 해보지 못하고 끝이 나버린 것 같아 아쉬울 따름"이라며 "새정부는 분명 참여정부와 다를 것이라고 기대했건만 전문가 단체인 의료계와 토론조차 하지 않고 기존 방식대로 가겠다고 밝힌 것을 보니 이 정부에도 기대할 게 없는 것 같다"고 토로했다.

K원장은 "당연지정제 폐지는 주수호 회장의 최대 공약이었는데 집행부에서 이를 위해 뭐했나 모르겠다"며 "이는 의료정책에 대한 의협의 역량이 모자람을 보여주는 것"이라고 꼬집었다.

경기도에서 개원하고 있는 P원장도 "의료계가 내부 문제로 서로 헐뜯는 사이 당연지정제 폐지에 대한 사회여론은 더욱 악화되고 있었다"며 "의료계가 단결하지 못하고 계속 분열된다면 새정부에서도 얻어낼 수 있는 게 하나도 없을 것"이라고 지적했다.

그는 또 "전문가 단체의 의견을 들어보려 하지 않은 새정부에 거는 기대가 너무 컸던 게 아닌지 걱정"이라며 "하지만 한나라당 비례대표 선출 문제 등 여러가지를 볼 때 회장을 비롯한 의협 집행부의 정치력이 부족하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그러나 의협은 당연지정제 유지가 새정부의 확고한 정책방향이 아닐 것으로 내다봤다.

의협의 한 관계자는 "정부가 의료산업화를 육성하기 위해 내놓은 게 바로 민영보험 활성화와 영리법인 허용"이라며 "이는 당연지정제 폐지를 떼어놓고 생각할 수 없는 정책임에도 불구하고 현 체제를 유지하면서 의료산업화를 활성화하겠다는 것은 말이되지 않는다"고 반박했다.

그는 "장관조차 보건의료에 대한 이해가 적은 탓에 이같은 모순을 깨닫지 못하고 발언을 한 것 같다"며 "김성이 장관이 교체된 후 완화 쪽으로 가닥을 잡지 않겠느냐"고 전망했다.

특히 그는 "대운하 정책으로 공격을 받고 있는 MB정부 입장에서는 당연지정제를 완화하겠다는 발언을 하기 어려웠을 것"이라며 "아직 이를 포기하거나 단념하기에는 이르다"고 강조했다.

이에 따라 그는 "5월말 당연지정제 폐지에 대한 연구결과가 나오면 이를 토대로 토론회 등을 열어 사회적 동의를 얻는 데 노력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를 위해 의협은 정기적으로 요양기관 당연지정제에 대한 내부 대책회의를 열고 있다.


유지영 기자 molly97@docdocdoc.co.kr 2008-04-30 08:22
?

  1. No Image

    유형별 수가협상, 산으로 가나

    [청년의사] 유형별 수가협상, 산으로 가나 공단-의약단체 협상결과 재정운영위서 의결 연기 가입자단체 수가협상 결과 반발…의협 "현행 수가계약제 폐지" 건강보험공단과 의약단체간 자율계약 방식으로 합의가 이뤄진 내년도 수가인상안이 공단 재정운영위원회...
    Date2008.10.21 By건강연대 수정
    Read More
  2. No Image

    윤증현 장관 "신규 영리병원만 허용해야"

    의료서비스 산업의 선진화 정책을 주도하고 있는 윤증현 기획재정부 장관이 영리의료법인 도입을 허용하더라도 당연지정제는 유지돼야 한다는 입장을 밝혔다. 또한 영리법인병원을 허용하더라도 신규 영리법인병원만 허용하고 기존 비영리의료법인의 영리법인 ...
    Date2009.04.08 By건강연대
    Read More
  3. No Image

    은근슬쩍 시행된 입원료 인상, 알고 계셨나요?

    링크 게시판입니다. 여기에는 글을 안적어도 되고, 필요하면 요약만 해두시면 됩니다.
    Date2016.07.13 By무상의료운동본부
    Read More
  4. No Image

    의·약사 등 141명, 진보신당 지지 선언

    [데일리팜] 의·약사 등 141명, 진보신당 지지 선언 "이명박 정부, 의료·병원자본 대변" 비판 의·약사 등 보건의료인 141명이 18대 총선에서 진보신당을 지지한다고 공식 선언했다. 이들은 4일 지지선언문을 통해 “민중의 건강과 생명, 사회경제적 권리 실현을 ...
    Date2008.04.04 By건강연대 수정
    Read More
  5. No Image

    의·약사 출신 국회의원들 복지위行 '험난'

    의·약사 출신 국회의원들 복지위行 '험난' http://www.dailymedi.com/news/opdb/index.php?cmd=view&dbt=article&code=92285&cate=class1
    Date2008.05.20 By건강연대 수정
    Read More
  6. No Image

    의료계 "제주 의료특구 특별법 문제 있다"

    대한의사협회가 제주특별자치도의 의료특구 조성을 위한 특별법에 대해 상대적으로 부정적인 입장을 나타냈다. 의협은 국무총리실이 의뢰한 ‘제주특별자치도 설치 및 국제자유도시 조성을 위한 특별법 일부개정법률(안)’에 대한 회신을 통해 "자율권 보장을 넘...
    Date2010.03.24 By건강연대 수정
    Read More
  7. No Image

    의료계 '당연지정제 제자리' 반발

    [디지털보사] 의료계 '당연지정제 제자리' 반발 좌파정권보다 못해…환자선택권 없는 '붕어빵 진료' 가속 의협·서울시의 등 잇단 성명, 전문가단체와 협의해야 의료계가 새 정부 일각에서 추진해온 건강보험 당연지정제 폐지를 백지화하고 '제자리 걸음'를 천명...
    Date2008.04.30 By건강연대 수정
    Read More
  8. No Image

    의료계 고심 끝 결국 "영리병원 반대" 카드 던져

    고심 끝 결국 "영리병원 반대" 카드 던져 의료계, 정부 의료산업 정책과 배치…건강관리서비스 등 작용 노동집약적 산업구조를 가진 의료산업은 일자리 문제를 해소할 카드로 부상했다. 전국 1%의 수재가 의과대학으로 몰리는 현상은 의료산업화의 청신호로 여...
    Date2010.08.04 By비아카 수정
    Read More
  9. No Image

    의료계 내부서도 '당연지정제 폐지' 우려 제기돼

    [디지털청년의사] 의료계 내부서도 '당연지정제 폐지' 우려 제기돼 "오히려 의사들 손해 볼 수 있다"…의협 정총서 신중론 부각 의료계 내부에서 대한의사협회가 ‘건강보험 당연지정제 폐지’ 문제에 집중하는 것으로 비춰지는 게 부담스럽다는 목소리가 제기돼 ...
    Date2008.04.21 Bywebmaster 수정
    Read More
  10. No Image

    의료계 출신 국회의원들 "상생하자"

    [데일리메디] 의료계 출신 국회의원들 "상생하자" 김충환·백원우·유승희 의원 등 "신뢰감 형성" 당부 20일 대한의사협회(회장 주수호) '제60차 정기대의원총회'에 참석한 국회의원 당선자들은 의료계와의 상생을 강조했다. 이 날 정기총회에 참석한 한나라당 ...
    Date2008.04.21 Bywebmaster 수정
    Read More
  11. No Image

    의료계, 한나라·MB정부에 연이어 뒤통수?

    [디지털청년의사] 의료계, 한나라·MB정부에 연이어 뒤통수? 비례대표 공천배제 이어 당연지정제 완화도 좌절…"의협 정치력 부족" 지난 대선과 총선에서 한나라당을 전폭 지지, 정권교체가 이뤄지는 데 한 몫을 했던 의사협회가 직능단체 몫으로 배정되는 비례...
    Date2008.04.30 By건강연대 수정
    Read More
  12. No Image

    의료규제 법안들 국회 통과 '산 넘어 산'

    의료관광 부작용 예의주시…채권 등 부정적 기류 정부가 의료관광을 비롯한 의료 서비스 선진화를 위한 규제 개혁을 고삐를 당기고 있지만 넘어야 할 산이 많다는 지적이다. 정부는 최근 청와대에서 이명박 대통령 주재로 민관 합동회의를 갖고 '서비스산업 선...
    Date2009.05.13 By건강연대 수정
    Read More
  13. No Image

    의료급여환자 본인부담, 작년 2400억 절약

    의료급여환자 본인부담, 작년 2400억 절약 【서울=메디컬투데이/뉴시스】 의료급여 본인부담제 실시로 지난해 2400억 원의 비용절감 효과를 거둔 것으로 나타났다. 김성이 보건복지가족부 장관은 지난 27일에 열린 국무위원 재정전략회의에서 '본인부담제 및 ...
    Date2008.04.28 By건강연대 수정
    Read More
  14. No Image

    의료기관 본인부담금 정률제 시행 뒤 방문횟수

    의원 등에서 외래 진료를 받을 때 내는 본인부담금을 정액제에서 진료비의 30%를 내는 정률제로 바꾼 뒤, 환자 본인부담금은 오르고 의원·약국의 방문 횟수는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두고 의료비가 조금만 올라도 부담을 느끼는 저소득층의 의료 이용이...
    Date2009.01.05 By건강연대 수정
    Read More
  15. No Image

    의료민영화 아니라고? 서울대·연대병원 ‘자회사’도 위법 논란

    링크 게시판입니다. 여기에는 글을 안적어도 되고, 필요하면 요약만 해두시면 됩니다.
    Date2014.01.03 By무상의료운동본부
    Read More
  16. No Image

    의료민영화 위해 법까지 무시하는 보건복지부

    링크 게시판입니다. 여기에는 글을 안적어도 되고, 필요하면 요약만 해두시면 됩니다.
    Date2014.04.10 By무상의료운동본부
    Read More
  17. No Image

    의료민영화 후, 2020년 어느 날, 건강들 하십니까

    링크 게시판입니다. 여기에는 글을 안적어도 되고, 필요하면 요약만 해두시면 됩니다.
    Date2013.12.20 By무상의료운동본부
    Read More
  18. No Image

    의료민영화뒤 공공의료 낙후 “기다리다 죽는다”

    링크 게시판입니다. 여기에는 글을 안적어도 되고, 필요하면 요약만 해두시면 됩니다.
    Date2014.02.28 By무상의료운동본부
    Read More
  19. No Image

    의료민영화정책, ‘우회적 방식’으로 전환하나!

    범국본은 지난해 12월 정부가 ‘천천히 가자’라는 입장을 밝혀 많은 국민들이 이제 영리병원이 도입되지 않는 것으로 알고 있는 상태이며, 현재 의료민영화와 관련해 쟁점이 되는 법안들의 내용은 국민들에게는 낮선 주제들로 그 세부적인 내용이 의료민영화와 ...
    Date2010.03.15 By건강연대 수정
    Read More
  20. No Image

    의료법 개정 논란 '갈수록 증폭'

    의료법 개정 논란 '갈수록 증폭' 의료계·시민단체 등 모두 반발 보건의료노조 '의료영리화 저지' 투쟁 보건복지가족부가 입법예고한 '의료법 일부개정안'을 둘러싼 논란이 확전 양상을 보이고 있어 추이가 주목 복지부 주장대로 지난해 국회에 제출됐던 의료법...
    Date2008.06.19 By건강연대 수정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Next
/ 25

서비스 링크

X
Login

브라우저를 닫더라도 로그인이 계속 유지될 수 있습니다. 로그인 유지 기능을 사용할 경우 다음 접속부터는 로그인할 필요가 없습니다. 단, 게임방, 학교 등 공공장소에서 이용 시 개인정보가 유출될 수 있으니 꼭 로그아웃을 해주세요.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