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상의료 운동본부

조회 수 1937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Extra Form
[디지털청년의사] “태국식 영리병원, 한국 의료현실과 맞지 않아”
보건노조, 재정부 '영리병원 허용' 언급에 강력 반발


기획재정부가 ‘영리의료법인’ 허용에 대한 입장을 밝히자, 전국보건의료노조가 강하게 반발하고 나섰다.

기획재정부는 지난 11일 ‘주요국의 서비스산업 육성 동향 및 정책적 시사점’이라는 자료 중 “태국이 영리의료법인 허용으로 인해 의료산업에 대한 투자를 촉진했다”는 사례를 들며 영리의료법인 허용을 밝힌 바 있다.

이에 보건노조는 성명을 통해 “우리나라는 민간병원 비율이 90%며, 현재 대다수가 수익 위주의 병원 운영을 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라며 “이러한 상황에서 영리의료법인이 전면 허용되면, 국민 건강보다 투자자의 이익을 위해 병원을 운영하는 것은 뻔한 일”이라고 비판했다.

태국의 사례가 우리나라 보건의료체계와는 근본적으로 맞지 않는다는 점도 분명히 했다.

보건노조는 “재정부는 태국식 영리병원의 외형만 소개하지 말고 공공의료와 무상의료가 실현되고 있는 태국의 의료제도부터 먼저 알리고, 외국환자 유치에 따른 부작용도 균형감 있게 검토해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현재 태국은 ▲30바트(1,000원)만 있으며 모든 병원에서 치료를 받을 수 있고 ▲96%의 국민에게 이 제도가 확대됐으며 ▲230만 명에 달하는 외국인 이주노동자들에게도 국민의료보장제도를 누리도록 하는 등 실질적인 ‘무상의료’가 실현되고 있어 국내와 상황이 완전히 다르다는 것.

또한 대부분 병원이 민간병원인 우리나라와 달리 태국은 344개인 민간병원보다 훨씬 많은 총 900여 개의 국영병원을 보유하고 있다는 점도 차이점으로 지적했다.

보건노조는 “무상의료제도와 공공의료가 실현되는 태국차 의료개방에 따른 많은 부작용이 발생하고 있다”며 “최근 외국인 환자들이 점점 더 많은 의료 시설과 자원을 사용하기 때문에 내국인 환자들이 이용할 수 있는 의료 서비스의 양이 줄어들고 의료 서비스의 질이 급속도로 악화되고 있다”고 강조했다.

또 “의료인력 수급에 있어서 대도시 민간병원에서 일하려는 의사들이 많아짐에 따라 중소도시와 농촌 지역 의료 인력이 부족한 실정”이라며 “의사를 비롯해 다수의 의료 인력이 국립병원에서 민간병원으로 자리를 옮기고 있고, 그 결과 중소도시와 농촌지역의 의료 인력이 부족해졌다”고 덧붙였다.

보건노조는 “무상의료와 공공의료가 절대다수인 태국에서조차 많은 부작용이 일어나고 있는 영리병원 허용과 해외환자 유치사업을 건강보험의 보장성이 60% 남짓하고 공공의료 비율이 10% 수준인 한국에서 그대로 참고하겠다는 것은 어불성설”이라고 비판했다.


곽성순 기자 kss@docdocdoc.co.kr 등록 : 2008-05-13 07:14
<저작권자(c) 청년의사 무단전재-재배포금지.>
?

List of Articles
번호 사이트 글쓴이 날짜
205 국회, 과잉약제비 환수 ‘의·병협에 굴욕’ 수정 건강연대 2008.12.16
204 중앙병원 진료과목 폐쇄 "산재환자 의료 질 저하" 수정 건강연대 2008.12.17
203 정부, 내년 일반인도 의료기관 개설 허용 추진 수정 건강연대 2008.12.17
202 "무조건 종합병원 딱지부터 떼라?…'산재의료서비스'철학은 어디에?" 수정 건강연대 2008.12.18
201 인터뷰|나순자 보건의료노조 위원장 수정 건강연대 2008.12.22
200 협상결렬된 의원급 의료수가, 2.1% 인상 결정 건강연대 2008.12.23
199 오정구 보건소 '이주노동자 인권상' 수상 건강연대 2008.12.23
198 ‘님비’에 방치되는 국립서울병원 ' 수정 건강연대 2008.12.26
197 [매경]국민 88% "의료는 국가 책임" 수정 건강연대 2008.12.30
196 "삼성반도체 백혈병과 관계없다…특정암 발병률은 5배 높아" 수정 건강연대 2008.12.30
195 시민사회, ‘48시간 비상국민행동’ 돌입 한미FTA 비준-언론법안 개정 저지…“직권상정하면 정권심판 투쟁” 수정 건강연대 2008.12.30
194 보건·의료부문 입법 쟁점현안은? 수정 건강연대 2009.01.05
193 의료기관 본인부담금 정률제 시행 뒤 방문횟수 수정 건강연대 2009.01.05
192 국회 "의료법 개정안, 대형병원만 배불릴 것" - 입법조사처 보고서 발표 수정 건강연대 2009.01.05
191 대전 유일 산재종합병원, 특화병원으로 전환 수정 건강연대 2009.01.06
190 경제위기일수록 ’건보혜택 확대’ 마땅 수정 건강연대 2009.01.06
189 가자, 복도서 수술하고 병원에도 포탄 떨어져 '생지옥' 수정 건강연대 2009.01.07
188 공공의료 정보화사업 대폭 축소 수정 건강연대 2009.01.07
187 "질병 사망자 46% `피할 수 있는 사망'" 수정 건강연대 2009.01.07
186 '해외환자 유치' 정부 뜻대로 성공할까 수정 건강연대 2009.01.08
Board Pagination Prev 1 ...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Next
/ 25

서비스 링크

X
Login

브라우저를 닫더라도 로그인이 계속 유지될 수 있습니다. 로그인 유지 기능을 사용할 경우 다음 접속부터는 로그인할 필요가 없습니다. 단, 게임방, 학교 등 공공장소에서 이용 시 개인정보가 유출될 수 있으니 꼭 로그아웃을 해주세요.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