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상의료 운동본부

조회 수 2020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Extra Form













"보장성 확대 치과의사 반대 이유 없다"
[인터뷰] 건강세상네트워크 조경애 대표







src="http://www.gunchinews.com/image2006/default/newsdaybox_top.gif"
width=11>
face=돋움 color=#666666>2008년 08월 28일 (목) style="FONT-SIZE: 8pt; LETTER-SPACING: 0px"> href="http://www.gunchinews.com/blog/rjunsa">강민홍
기자
href="http://www.gunchinews.com/news/mailto.html?mail=rjunsa@gunchinews.com"> src="http://www.gunchinews.com/image2006/default/btn_sendmail.gif" border=0>
rjunsa@gunchinews.com
src="http://www.gunchinews.com/image2006/default/newsdaybox_dn.gif"
width=11>


최근 4명의 국회의원이 노인틀니 보험급여화 관련 법안을 발의하는 등 '치과분야 건강보험 보장성 확대'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특히, 건강세상네트워크(대표 조경애 이하 건세네)는 '치과 분야 보장성 확대'를 올해의 중점사업으로 삼고, "국민이 보험료를 매달
2,500원 더 내서, 치과의료서비스의 보장성을 획기적으로 개선"하려는 노력을 벌이고 있어 항간에 큰 반향을 일으키고 있다.


건세네가 추진하고 있는 보장성 확대 항목은 ▲아동청소년 주치의제 도입 ▲성인 스케일링 급여화 ▲노인 틀니 급여화 3가지다.


치과계로선 건세네가 치과 보장성 확대 운동을 범시민사회단체 차원으로 확대하는 한편, 연말 있을 건강보험공단과 의약단체간의 수가협상 과정에서
이를 관철시키려 하는 것에 대해 '기대반 우려반'의 시선을 보내고 있다.


이에 본지에서는 건세네 조경애 대표를 만나, 추진배경 등을 들어봤다.


 
















  src="http://www.gunchinews.com/news/photo/200808/10865_12318_3135.jpg"
border=1>
 
 
  
 
치과 보장성 확대를 추진하게 된
배경은?

이명박 정권이 들어선 이후 의료민영화, 시장화 등은 지속적으로
이슈화되고 있지만, 보장성 확대와 관련해서는 어떠한 정책도 나오지 않고 있다.


의료시장화도 막아야 하지만, 보장성 강화를 위한 노력도 병행돼야 한다. 어떤 식으로든 공보험을 강화해야 하고, 공보험에 대한 국민의 신뢰를
높여야 한다.


현재 보장율은 60% 수준인데, 이를 80∼90% 수준으로 올리려면 보험료를 지금의 1.5배 더 내면 된다. 그러나 이는 단기적으로는
힘들고 장기적으로 전국민인 합의를 이뤄나가야 가능한 일이다.


그래서 당장 국민들의 지지를 얻으면서 할 수 있는 부분이 무엇인가를 고민했고, 조사 결과 국민들이 치과분야의 보장성 강화에 대해 요구가
매우 높다는 것을 알게 됐다.


한꺼번에 너무 많은 것을 이루려고 하는
것아닌가?

지금까지는 하나하나 항목을 급여화 하는 방식으로 접근했다. 그러다 보니 계속해서 우선순위에서 밀리는
등 힘들었다.


한가지 항목을 급여화시키는 것도 힘든데, 대폭 보장성을 확대하려고 하니 어떻게 할 것인가 고민이 많았다. 그래서 보험료를 더 내서
획기적으로 개선해 보자는 방향으로 접근하게 된 것이다.


일부에서 하나씩 순차적으로 풀자는 의견도 있지만, 3개를 반드시 같이 갖고 간다는 입장이다.


올해 스케일링과 노인틀니 급여화는 무조건 관철시키고, 아동·청소년 주치의제는 적정수가 연구, 시범사업 등 구체적인 실행 로드맵에 대한
합의까지 이루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치계에서는 우려의 목소리가 높다.
현재 치과의 건강보험
보장율은 20%대에 머물고 있다. 치과의료서비스의 공공성이 그만큼 낮은 것이다.


보장율이 20% 밖에 안되니, 평균 보장율인 60%대로 끌어올리자고 요구하는데, 이를 반대한다면 그것은 비판의 대상이 될 수밖에
없다.


내가 알기로는 치협은 의료상업화 등을 반대하는 입장을 견지하고 있는 것으로 알고 있다. 시장화를 반대한다는 것은 치과의료의 공공성을
유지해야 한다는 입장을 갖고 있는 것이라 할 수 있다.


그런데 치과의료서비스의 공공성을 확보하기 위한 방법은 건강보험 보장성을 확대하는 것으로 나타난다. 때문에 치협이 반대한다면, 의료상업화를
반대한다는 입장과 모순이 되는 것이다.


치과의사들에게 '희생'을 강요하는 것이 아니고, 실제 치과의사가 손해볼 것도 없다.


치과만 주치의제 도입은 좀 그렇지 않나?
이번 우리의
요구에서 '아동·청소년 주치의제 도입'이 핵심이다. 치과 입장에서도 파이가 커지는 것인데, 반대할 이유가 없는 것아닌가?


우리는 예방중심의 주치의제를 하자는 것이다. 구체적 항목들은 향후 협의가 가능하다. 치과는 1차의료가 85% 이상을 차지하니, 말 그대로
1차 의료기관으로서의 기능을 그대로 하면 되는 것이다.


또한 우리는 치과만 주치의제 하자는 게 아니다. 의과도 해야 하는데, 그 쪽은 준비가 많이 필요하니, 중장기적으로 접근하겠다는
계획이다.
















  src="http://www.gunchinews.com/news/photo/200808/10865_12319_3148.jpg"
border=1>
 
 
  
 
치과의사 설득이 필요하다고
보는데?

홍보를 많이 해야하는데, 올림픽 특수 등으로 가려져 있는 것이
사실이다. 치협한테도 비공식적으로 면담을 요청해 놓은 상태다.


8월 30∼31일 치협에서 그랜드워크샵을 해서 치과계 내부 합의를 이룬다고 하니, 그 이후 만나 얘기할 수 있지 않겠는가?


우리도 적정한 수가가 얼마인가 등을 연구해야 하니까 치협의 협조가 필요하다.


정부 입장은 어떻던가?
보장성 강화를 위해 보험료를 더
내겠다는 입장에 대해 괜찮다는 반응을 보이고 있다. 공식적인 자리에서 정부 관계자가 입장을 표명한 것은 최근 전현희 의원이 개최한
토론회에서였는데, 그 때 임종규 건강보험정책과장이 '환영한다'는 뜻을 전달한 바 있다.


당시 임종규 과장은 "보험료를 인상하는 것은 정치적으로 부담이 있는데, 가입자들이 자발적으로 더 내준다면야 반대할 이유가 없다"고
했다.


향후 계획은?
올해 말 내년도 보험료·수가 협상을 할
때 보장성 확대에 대한 논의를 같이 하게 된다. 그 때 제출하기 위해 가입자 단체들이 보장성 확대 요구안을 협의하게 되는데, 민주노총 등 가입자
단체들을 설득해 치과보장성 확대로 가입자 입장을 단일화할 계획이다.


 

?

  1. No Image

    "한계 넘은 의사 매도, 좌시할 수 없었다"

    "한계 넘은 의사 매도, 좌시할 수 없었다" 박노현 서울대병원 기조실장 "잘못 바로잡아야 한다는 판단에서 소송" http://www.dailymedi.com/news/opdb/index.php?cmd=view&dbt=article&code=95791&cate=class2
    Date2008.09.01 By건강연대 수정
    Read More
  2. "보장성 확대 치과의사 반대 이유 없다"

    "보장성 확대 치과의사 반대 이유 없다" [인터뷰] 건강세상네트워크 조경애 대표 2008년 08월 28일 (목) 강민홍 기자 rjunsa@gunchinews.com 최근 4명의 국회의원이 노인틀니 보험급여화 관련 법안을 발의하는 등 '치과분야 건강보험 보장성 확대'에 대한 사...
    Date2008.09.01 By건강연대 수정
    Read More
  3. No Image

    외국영리병원 로비논란 속 제주 계획대로 'GO'

    외국영리병원 로비논란 속 제주 계획대로 'GO' 제주특별자치도가 외국영리병원 유치 등 '동북아 의료허브' 구축에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으나 민주당 김재윤 의원이 외국영리법인의 병원개설 인허가 로비 의혹으로 검찰에 소환될 처지에 놓이면서 귀추가 주목된...
    Date2008.08.22 By건강연대 수정
    Read More
  4. No Image

    4대보험 징수통합, "판은 벌어졌는데 패는 안도네"

    4대보험 징수통합, "판은 벌어졌는데 패는 안도네" 정부 추진방침 공투본 반발, 노조 '답보' 정부 '내부논의 활발' 최근 정부는 4대 사회보험의 징수를 국민건강보험공단으로 통합하는 방안을 발표, 사회보험징수통합추진기획단까지 꾸렸지만 각 공단 노조와의...
    Date2008.08.22 By건강연대 수정
    Read More
  5. No Image

    급증 의료비, 심평원 잘못 탓(?)

    급증 의료비, 심평원 잘못 탓(?) 경제성평가 미흡…'진료비 실적 미시자료 공개' 주장 http://www.bosa.co.kr/umap/sub.asp?news_pk=124492
    Date2008.08.22 By건강연대 수정
    Read More
  6. No Image

    서울대병원 '표준진료지침' 개발 착수 합의

    서울대병원 '표준진료지침' 개발 착수 합의 임·단협 마무리···임금은 3% 인상키로 서울대병원이 국내 의료 표준화의 기반을 마련하기 위해 표준진료지침을 개발키로 했다. http://www.dreamdrug.com/Users/News/newsView.html?ID=101297&nSection=3
    Date2008.08.22 By건강연대 수정
    Read More
  7. No Image

    서울대병원 임단협 사실상 타결

    서울대병원 임단협 사실상 타결 기본급 정률3%-정액 2만원, 교통비보조 등 인상 직원 정년도 2010년 부터 57세에서 58세로 연장 원칙에 합의 조인식 절차만 남겨 서울대병원의 올해 노사단체협상이 사실상 타결된 것으로 알려졌다. 서울대병원 노사 양측 관계...
    Date2008.08.21 By건강연대 수정
    Read More
  8. No Image

    의료보장체계 선진화, "민간보험보다 공보험 효과적"

    의료보장체계 선진화, "민간보험보다 공보험 효과적" 권순만 교수, "민간보험, 소득재분배 없고 건강상태 따라 보험료 책정" [메디컬투데이 정혜원 기자] 중증질환자로의 건강보험 자원을 재배분 해 질병에 따른 가계 파탄을 막을 수 있다면 사회적 자본은 ...
    Date2008.08.19 By건강연대 수정
    Read More
  9. No Image

    "공‧사보험 역할, 국민들한테 묻는다"

    "공‧사보험 역할, 국민들한테 묻는다" 공단, 보장성 확대 전제 보험료 인상 국민수용성 조사 실시 생명보험사의 실손형 개인의료보험 상품 출시로 인해 국민건강보험과 개인의료보험의 역할에 대한 국민적 관심이 고조됨에 따라 향후 건보공단이 공보험...
    Date2008.08.19 By건강연대 수정
    Read More
  10. No Image

    변웅전 위원장 유력…신상진·원희목 주목

    변웅전 위원장 유력…신상진·원희목 주목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구성 앞두고 직능출신 고루 배치될 듯 3선의 자유선진당 변웅전 의원이 18대 국회 전반기 보건복지가족위원회 위원장직에 유력하다는 분석이다. 직능 출신 의원들의 복지위 입성은 의료계와 약계, ...
    Date2008.08.19 By건강연대 수정
    Read More
  11. No Image

    복지vs성장, 기로에 선 '무한반복' 의료민영화

    복지vs성장, 기로에 선 '무한반복' 의료민영화 정부 '사실무근' 해명에도 논란 가열, "앞에선 반대, 결국 허용" 이명박 정부 출범과 함께 논란의 중심에 선 ‘의료민영화 정책’이 잠잠해질 기미를 보이지 않고 있다. 당연지정제 폐지 논란으로 시작된 의료민영...
    Date2008.08.18 By건강연대 수정
    Read More
  12. No Image

    복지위 정족수 24명…4명 확대

    복지위 정족수 24명…4명 확대 의사·약사·간호사·영양사 등 전문직 집중배치 의원 171명 동의얻어 관련법 개정안 마련 국회 보건복지위원회가 이명박 정부 조직개편으로 인해 '보건복지가족위원회'로 명칭이 변경되고 의원정수도 24명으로 4명 증원될 것으로 보...
    Date2008.08.18 By건강연대 수정
    Read More
  13. No Image

    국회 보건복지위원 윤곽 드러나…박근혜 의원 확정적

    원희목-전혜숙 의원, 복지위 원투펀치 되나 국회 보건복지위원 윤곽 드러나…박근혜 의원 확정적 공전을 거듭하고 있는 국회가 원 구성 협상을 앞두고 있는 가운데 보건복지가족위원회의 윤곽이 드러나고 있다. 17일 국회에 따르면 보건복지위원장은 자유선진당...
    Date2008.08.18 By건강연대 수정
    Read More
  14. No Image

    '제주 영리병원 로비 의혹' 복지부로 불똥튀나

    '제주 영리병원 로비 의혹' 복지부로 불똥튀나 檢, 계좌추적 등 조사 확대…김재윤 의원 "野 정치인 표적수사" 반발 최근 검찰은 외국 영리의료법인 인허가 청탁 로비 의혹에 휩싸이고 있는 민주당 김재윤 의원이 복지부 공무원을 상대로 로비를 펼쳤을 가능성...
    Date2008.08.18 By건강연대 수정
    Read More
  15. 유인. 알선 허용 찬성? "치협 왜 이러나"

    유인·알선 허용 찬성? "치협 왜 이러나" 건치, 강경대응 나설 듯…치과 건보 확대운동 전면화도 2008년 08월 14일 (목) 강민홍 기자 rjunsa@gunchinews.com 대한치과의사협회(이하 치협)가 외국인 환자 유치를 위한 유인·알선 허용을 조건부로 받아들이겠다는 ...
    Date2008.08.18 By건강연대 수정
    Read More
  16. No Image

    감사원, 제네릭 약가 단일화 권고…파장 예고

    감사원, 제네릭 약가 단일화 권고…파장 예고 약제비 적정화 방안 감사…"신약 등재절차 일관성 유지 http://www.dreamdrug.com/Users/News/newsView.html?ID=100824&nSection=1
    Date2008.08.07 By건강연대 수정
    Read More
  17. No Image

    의료산업화·성분명·일반약 슈퍼판매 '촉각'

    의료산업화·성분명·일반약 슈퍼판매 '촉각' 전재희 장관, 산적한 보건의료계 현안 해결사 되나 http://www.dreamdrug.com/Users/News/newsView.html?ID=100818&nSection=1
    Date2008.08.07 By건강연대 수정
    Read More
  18. No Image

    보건복지가족부 전재희 체제 출범

    보건복지가족부 전재희 체제 출범 6일 취임식 갖고 국민위한 보건복지정책 추진 약속 http://www.dreamdrug.com/Users/News/newsView.html?ID=100810&nSection=1
    Date2008.08.07 By건강연대 수정
    Read More
  19. No Image

    진료비 과당징수 '임의비급여' 여전히 최다

    진료비 과당징수 '임의비급여' 여전히 최다 정미경 의원, 의료기관 상반기만 58억원 환자에 돌려줘 http://www.dreamdrug.com/Users/News/newsView.html?ID=100813&nSection=3
    Date2008.08.07 By건강연대 수정
    Read More
  20. No Image

    블루오션 직업 '의료관광전문가' 뜬다

    블루오션 직업 '의료관광전문가' 뜬다 의료관광 활성화 정책에 전문인력 양성 필수 현재 우리나라는 물론, 싱가포르, 태국, 인도를 비롯한 아시아와 중동 국가들이 지역을 대표하는 의료관광 허브를 목표로 적극적인 정책을 펼치고 있는 가운데 의료 관광 전문...
    Date2008.08.07 By건강연대 수정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 25 Next
/ 25

서비스 링크

X
Login

브라우저를 닫더라도 로그인이 계속 유지될 수 있습니다. 로그인 유지 기능을 사용할 경우 다음 접속부터는 로그인할 필요가 없습니다. 단, 게임방, 학교 등 공공장소에서 이용 시 개인정보가 유출될 수 있으니 꼭 로그아웃을 해주세요.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