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상의료 운동본부

조회 수 5851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수정 삭제

건강연대(조경애 운영위원장)는 2일 국회 정론관에서 곽정숙 민주노동당 국회의원과 공동으로 기자회견을 열고 의료채권법, 경제자유특구법, 보험업법 등 의료민영화와 관련한 법들의 4월 국회 처리 반대 의사를 밝혔다.

보건의료노조 나순자 위원장은 기자회견에서 “지금 병원은 비영리 법원이며 이익이 났을 경우 자금이 외부로 누출될 수 없도록 병원에 재투자하게 돼있는데 의료채권법이 통과되면 외부 자금이 병원으로 투자되고 병원은 수익을 내서 이윤을 투자자들에게 보장해야 한다”며 “의료채권법이 영리법원의 전 단계”라고 주장했다.


나순자 위원장은 “건강을 돈 벌이 수단으로만 봐서는 안 된다는 것이 우리들의 확고한 생각인데 의료채권법이 도입되면 병원은 인건비를 줄이거나 환자들에게 돈을 많이 받아서 돈을 버는 일을 하게 될 것”이라며 의료채권법 도입 이후를 전망했다.


또 “정부는 의료채권법으로 중소병원을 살리겠다고 하는데 사람들은 오히려 수익성이 더 큰 대형 병원에 투자하게 될 것”이라며 병원 양극화도 심화될 것이라고 예측했다.


임석영 행동하는 의사회 대표는 “국회는 국민의 뜻에 따라 입법하는 것이 기본 의무”라고 전제하고 “의료민영화는 안 된다는 것이 지난 해 내내 확인된 국민의 뜻”이라고 강조했다.


덧붙여 “제주도 개발 특별법안이 추진되면서 제주도에서 병원 개설에 대한 허가기준 완화, 의약품, 의료기기 수입 조건 완화 등이 포함됐다가 좌절됐는데 그것을 경제자유특구법으로 재추진하는 것은 불필요한 사회적 논란을 불러일으킬 것”이라고 지적했다.


이장호 공공서비스 노조 수석부위원장은 공성진 한나라당 의원이 발의한 보험업법 개정안에 대해 “환자들의 질병 정보를 공개하는 것을 포함한 보험업법 개정은 세상 어느 나라에도 없는 법”이라며 “공성진 의원이 보험사기를 막기 위해 보험업법을 개정해야 한다고 하면서 보험 사기로 인한 보험회사 피해액이 2조 2000억원이라고 하는 것은 근거 없이 부풀린 것”이라고 비판했다.


곽정숙 의원은 “윤증현 기획재정부 장관이 언론 인터뷰에서 ‘의약품을 슈퍼에서 판매하면 제약사의 매출이 오를 것’이라고 말한 것은 국민의 생명과 건강이 걸린 의료 문제를 복지가 아닌 비즈니스 차원에서 바라보고 있다”고 비판하고 의료 민영화 추진 즉각 철회를 요구했다.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56 2014년 2차 정책위원회 워크샾 file 무상의료운동본부 2014.03.31 7084
255 2016년 무상의료운동본부 대표자회의 개최 file 무상의료운동본부 2016.08.19 4294
254 2일차 진주의료원 폐업 철회 점심 선전전(종각, 홍대입구, 대학로) file 무상의료운동본부 2013.04.24 7381
253 3일차 진주의료원 폐업 철회 점심 선전전(종각, 홍대입구, 대학로) file 무상의료운동본부 2013.04.26 7536
252 3차 광화문 촛불집회 file 무상의료운동본부 2013.04.26 7291
251 4. 7 세계 보건의 날, 시민사회노동단체 공동기자회견 file 건강연대 2009.04.08 5570
250 43차 촛불문화제 [광우병과 의료민영화] file 건강연대 2008.06.16 7943
249 4월15일의료민영화 관련 시민사회단체토론회 file 건강연대 2009.04.16 6508
248 4차 워크샾: 한국사회 복지에서 건강보험의 위상 file 무상의료운동본부 2014.07.03 4488
247 4차 워크샾: 한국사회 복지에서 건강보험의 위상 file 무상의료운동본부 2014.08.05 3592
246 <식코> 상영은 멈추지 않는다. file webmaster 2008.04.17 7168
245 MB 의료민영화악법 저지 시민사회단체 정당 대표 100인선언 기자회견 file 건강연대 2009.06.24 5854
244 [1인 시위] 건강보험 국고지원 항구적 법제화 1인 시위 file 무상의료운동본부 2022.08.29 830
243 [건강연대 정책토론회]“정부의 의료정책 : 선진화인가 민영화인가?” file 건강연대 2008.07.09 8076
242 [공공병원 운동본부] 윤석열 정부는 광주·울산 의료원 책임지고 설립하라 공공병원 확충‧강화 촉구 노동시민사회 기자회견 무상의료운동본부 2023.04.20 685
241 [공공병원운동본부 기자회견] 윤석열 정부 공공의료 후퇴 정책 규탄한다! 공공의료 확충 대안 마련하라! file 무상의료운동본부 2023.06.22 756
240 [국회 좌담회] 규제프리존특별법 문제점 진단 긴급 좌담회 file 무상의료운동본부 2016.11.30 4079
239 [국회 토론회] 코로나시대 공공의료확충 방안 모색 file 무상의료운동본부 2020.11.23 1643
238 [국회토론회] 개인 건강의료정보 및 유전정보에 대한 정보주체 자기결정권 침해 문제와 대안 마련을 위한 토론회 file 무상의료운동본부 2019.09.20 3430
237 [국회토론회] 건강보험 20조 재정흑자와 거버넌스 문제 어떻게 해결할 것인가? - 보장성 강화, 가입자 권리 찾기, 국고지원 확대를 위한 토론회 file 무상의료운동본부 2016.10.26 4230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Next
/ 14

서비스 링크

X
Login

브라우저를 닫더라도 로그인이 계속 유지될 수 있습니다. 로그인 유지 기능을 사용할 경우 다음 접속부터는 로그인할 필요가 없습니다. 단, 게임방, 학교 등 공공장소에서 이용 시 개인정보가 유출될 수 있으니 꼭 로그아웃을 해주세요.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