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상의료 운동본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수정 삭제
대통령의 보건복지가족부 장관 임명은 국민의 의사를 무시하는 것이다.

그동안 도덕적 흠결과 자질문제로 많은 논란을 불러 일으켰던 김성이 보건복지가족부장관 내정자에 대해 오늘 대통령의 임명장이 수여되었다. 비록 장관임명권이 대통령의 고유권한이라 하더라도 이는 어디까지나 국민에게 위임받은 것으로서 국민여론과 국회 인사청문회를 무시하는 이번 인사강행은 어떤 변명으로도 정당화 될 수 없다할 것이다.
김성이장관은 인사청문회와 언론을 통해 논문 중복게재와 책 표절, 미국 국적 자녀의 건강보험 수정수급, 부동산 이면계약서 및 임대수익 축소신고, 5공 정화사업 훈장, 공금 유용 등 각 종 편법․탈법 사례들이 드러났고, 여기에 ‘신앙심’, ‘건강보험당연지정제’ 등의 발언으로 보건복지의 수장으로서 자질 부족마저 드러내는 등 더 이상 장관직을 정상적으로 수행하기에 불가능한 상황이라 할 수 있다.

「건강연대」(舊 의료연대회의)는 이미 지난 5일 제 시민사회단체들과 함께 도덕성과 자질면에서 고위공직자로서 자격 미달인 김성이 장관 후보자와 박미석 사회정책수석의 교체를 촉구한바 있다. 이미 내정자에 대한 부적격 여론은 범야권은 물론 보수적 시민사회단체와 각 종 여론조사 등에서도 잘 나타나고 있다. 뿐만 아니라 앞선 인사검증과정에서 탈락한 인사들보다 도덕성이나 자질 면에서 훨씬 더 정도가 심하다는 점에서 이명박식 인사의 무원칙을 보여주는 것이라 할 수 있다.

대통령은 “장관 직무수행에 하자가 없고 새 정부 출범초기 국정공백을 막기 위해 장관 임명을 하기로 했다”며 임명의 이유를 밝히고 있지만, 이는 파행인사를 정당화하기 위한 구차스런 변명이라는 것을 국민은 모르지 않는다. 보건복지가족부장관은 고령화로 인한 국민의료비 증가, 양극화의 심화 등 산적한 보건복지 과제들을 추진해야 하는 막중한 역할이 요구되는 자리이다. 또한 ‘영리의료법인 도입․민간의료보험 활성화’ 정책 등 시장논리에 따라 보건의료체계를 재편하려는 경제부처에 맞서 ‘낙오자 없는 능동적 복지’를 구현해야할 책임이 부여된 자리이다. 그러나 그간에 검증된 도덕성 문제와 보건복지 현안에 대한 전문성 부족 등을 미루어볼 때 이러한 역할을 제대로 수행할 수 있을지 의문이 아닐 수 없다.

「건강연대」는 국민의 의사를 무시한 대통령의 보건복지가족부장관 임명에 깊은 유감을 표하며, 이번 인사가 파행인사의 마지막이 되길 진심으로 바라며, 이번 인사처럼 국민의 의사를 무시하고 권력을 남용할 경우 국민 저항에 직면하게 될 것임을 엄중히 경고하는 바이다.
?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501 성명 정부가 책임방기한 차상위 의료급여제도, 국회가 되돌려라! 건강연대 2008.12.18 6253
500 취재요청 MB정부 의료민영화 정책 재추진 규탄 기자회견 file 무상의료운동본부 2012.11.29 6251
499 논평 민주당 '실질적 무상의료'정책 추진 논평 file 건강연대 2011.01.12 6243
498 성명 [성명]박근혜정부 4대중증질환 보장안 비판 성명 file 무상의료운동본부 2013.06.27 6238
497 성명 [성명] 의료공공성 파괴하는 의료관광호텔 허용한 박근혜 정부 규탄한다! file 무상의료운동본부 2013.11.28 6225
496 보도자료 [기자회견]철도노조파업 지지와 의료민영화 저지 투쟁 선포 노동시민사회단체 공동기자회견 file 무상의료운동본부 2013.12.19 6217
495 보도자료 [기자회견] 박근혜 정부 의료민영화 반대 100만 서명운동 선포 기자회견 file 무상의료운동본부 2014.01.13 6175
494 보도자료 [집회 및 기자회견] 진주의료원 폐업 규탄 보건복지부 앞 집회 file 무상의료운동본부 2013.05.29 6175
493 보도자료 [기자회견] 정부 건강보험 부과체계 개편안과 담배세 인상의 문제점 기자회견 및 기자설명회 file 무상의료운동본부 2014.09.23 6151
492 보도자료 전국민 개인질병정보 보호와 보험업법개정안 폐기를 촉구하는 기자회견 건강연대 2008.12.16 6139
491 보도자료 의료악법추진 국회의원 후보명단 공개 보도자료(20120403) file 무상의료국민연대 2012.05.15 6103
490 보도자료 20090730쌍용차 사태의 인도적인 지원촉구를 위한 건강연대 기자회견 건강연대 2010.01.12 6096
489 보도자료 장종호 심평원장 사표수리, 심평원장 공모 촉구를 위한 건강연대, 심평원노조 공동 기자회견 건강연대 2008.08.06 6075
488 보도자료 [기자회견] 박근혜정부 3대 비급여 '개선'방안 규탄 기자회견 file 무상의료운동본부 2014.02.11 6059
487 보도자료 경제자유구역법 시행령 개정 규탄 기자회견(20120423) file 무상의료국민연대 2012.05.15 6057
486 보도자료 의료민영화 추진 기획재정부 규탄 기자회견 file 건강연대 2009.03.17 6051
485 성명 약가거품 유지와 제약업계 이익의 대변이 ‘공정한 사회’인가! file 건강연대 2010.10.29 6026
484 보도자료 보건복지가족부의 “의료 민영화와 관련 없음” 주장에 대한 입장 file 건강연대 2008.06.13 6018
483 보도자료 국내 영리의료법인 허용하는 보건복지가족부 규탄 기자회견 file 건강연대 2008.07.17 6017
482 보도자료 제주자치도법 개정안 반대 기자회견 file 건강연대 2010.05.11 5993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 29 Next
/ 29

서비스 링크

X
Login

브라우저를 닫더라도 로그인이 계속 유지될 수 있습니다. 로그인 유지 기능을 사용할 경우 다음 접속부터는 로그인할 필요가 없습니다. 단, 게임방, 학교 등 공공장소에서 이용 시 개인정보가 유출될 수 있으니 꼭 로그아웃을 해주세요.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