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상의료 운동본부

조회 수 5238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한나라당 제외하고 각 후보 의료민영화 절대 반대
- 건강연대 설문조사, 응답자 전체 반대율은 87%, 한나라당 제외하면 97%

4.29 재․보궐선거를 하루 앞두고 보건의료계 단체를 총망라한 연대기구인 건강연대는 다섯 곳의 선거구에 출마한 27명의 후보 모두에 대하여 현 정부의 ‘의료민영화 정책’에 대하여 4월22일~27일 동안 정책 설문을 실시한 결과를 발표했다.

설문 내용은 ‘1. 영리병원 허용, 2. 의료기관 채권발행, 3. 건강보험공단의 개인질병정보를 민영보험사와 공유를 위한 보험업법개정, 4.민영보험 규제완화조치(민영보험상품 판매를 현재 사전허가제에서 모든 상품을 판매할 수 있는 포괄주의체계로 변경), 5. 의료산업화 또는 의료민영화 추진’ 등 5개 항목이었다.

5곳 모두에 후보를 낸 한나라당은 두 후보만이 설문에 응하였으며, 나머지 세 후보는 ‘지역구 사업이 아니라 잘 모르겠다’, ‘설문지를 받지 못했다’ 등 극히 소극적이거나 설문을 피해가려는 모습이 역력했는데, 이는 현 정부의 의료민영화 정책과 무관하지 않은 것으로 풀이된다. 설문에 응한 한나라당 후보는 전주완산의 태기표 후보와 전주덕진의 천희재 후보였는데, 2번 문항 ‘의료기관 채권발행’만 반대로 일치하고 나머지 4개 항목은 모두 엇갈렸다. 2번 항목 외에 태기표 후보가 1번, 5번 항목을 반대한 반면에 천희재 후보는 2번, 4번 항목에 반대하여 눈길을 끌었다.

민주당은 4곳의 후보 모두가 설문에 응하고, 모든 항목에 대하여 반대 입장을 보여 의료민영화에 대하여 매우 부정적인 입장을 보였다. 의료민영화가 민주당이 여당이었던 참여정부 시절에 추진되었던 정책임에 비추어 보면 이에 대한 자성의 목소리를 반영한 것으로 풀이된다.

각각 두 명의 후보를 낸 민노당과 진보신당 역시 전원 설문에 응하고 모든 항목에 반대했다. 무소속 후보 13명 중 5명의 후보가 설문에 응했는데 정동영 후보와 신건 후보를 포함한 3명의 후보가 모든 항목에 반대하였고, 나머지 두 후보는 1개 항목에 대해서만 찬성 내지 중립을 표명하고 4개 항목은 반대하여 의료민영화에 반대 입장을 분명히 하였다. 한편, 한 곳에 후보를 낸 자유선진당은 설문에 응하지 않았다.

설문에 응한 각 후보들의 의료민영화에 대한 전체적인 입장은 매우 부정적이었다. 한나라당을 제외하면 설문에 응한 후보들 중 무소속의 두 후보만 각각 1개 항목만 찬성하여 각 후보의 항목별 반대율은 무려 97%나 되었고, 한나라당을 포함하면 87%였다. 하지만 한나라당은 60%가 설문에 응하지 않거나 응답한 후보도 입장이 상반되어 의료민영화 입장에 대한 윤곽을 밝혀내기가 불가능했다. 건강연대는 이 설문내용을 참고로 당선자에 대하여 의정활동과 연계하여 의료민영화 반대에 적극 활용할 예정이다.

4․29보선 출마자 의료민영화 정책 설문

-첨부
건강권 보장과 의료 공공성 강화를 위한 희망연대□ 시민사회단체 건강세상네트워크, 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 서울YMCA시민중계실, 의료소비자시민연대, 참여연대, 한국백혈병환우회, 한국의료생협연대, 한국장애인단체총연맹 □ 노동조합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 전국공공서비스노동조합, 전국공공서비스노동조합 전국사회보험지부, 전국보건의료산업노동조합, 전국공공연구노조 보건사회연구원지부, 연세의료원노동조합 □ 농민단체 전국농민회총연맹, 전국여성농민회총연합, 한국농업경영인중앙연합회 □ 진보의료단체 건강권실현을위한보건의료단체연합, 건강사회를위한약사회, 건강사회를위한치과의사회, 노동건강연대, 인도주의실천의사협의회, 참의료실현청년한의사회, 기독청년의료인회, 행동하는의사회 □ 지역단체 대전참여자치연대, 광주전남보건의료단체협의회(건강사회를위한약사회 광주전남지부, 건강사회를위한치과의사회 광주전남지부, 광주전남 인도주의실천의사협의회, 전국보건의료산업노동조합 광주전남지역본부, 전국공공서비스노동조합 전국사회보험지부 광주전남지회, 광주지역보건계열 대학생협의회), 부산보건의료연대회의(인도주의실천의사협의회 부산지부, 건강사회를 위한 약사회 부산지부, 건강사회를 위한 치과의사회 부산지부, 참의료실현 부산청년한의사회/전국보건의료산업노동조합 부산지역본부/전국공공서비스노동조합 전국사회보험지부 부산지회/공공서
비스노동조합의료연대본부 부산지역본부/진보신당 부산시당 건강위원회(준)/민주노동당 부산시당)
?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1 성명 건강연대, 제주도의 영리법인병원 도입무산 결정 환영 file 건강연대 2008.07.28 5446
20 논평 KDI연구보고서(‘민간의료보험 가입과 의료이용의 현황) file 건강연대 2008.07.24 7155
19 보도자료 건강연대, 내일 (23일 수) 제주원정 활동 file 건강연대 2008.07.22 5881
18 보도자료 국내 영리의료법인 허용하는 보건복지가족부 규탄 기자회견 file 건강연대 2008.07.17 6017
17 보도자료 건강연대, ‘의료민영화․영리병원 반대’ 활동에 집중 file 건강연대 2008.07.04 6255
16 보도자료 보건복지가족부의 “의료 민영화와 관련 없음” 주장에 대한 입장 file 건강연대 2008.06.13 6018
15 보도자료 제주부터 건강보험 붕괴· 영리병원 허용, 의료 민영화법 의료법 개정 추진 file 건강연대 2008.06.13 7039
14 논평 정부는 국민 건강을 팔아먹는 의료민영화 정책을 즉각 중단하라 file 건강연대 2008.06.09 7191
13 보도자료 건강연대,『우리나라 보건의료 발전에 대한 제안』서한문, 제 18대 국회의원 당선자 전원에게 발송 file 건강연대 2008.05.26 5913
12 보도자료 이명박 대통령은 국민 전체를 죽음으로 내모는 광우병 위험 미국산 쇠고기 협상을 무효화 하라. file webmaster 2008.05.08 5651
11 논평 정부는 국민을 불안하게 만드는 의료민영화 정책를 폐기하고, 지속가능한 건강보장체계 마련을 위한 사회적 논의를 시작하여야 한다. file webmaster 2008.04.30 6935
10 논평 보건복지가족부의 의료복지 전략은 고작 ‘자기역할 포기’ 뿐인가 file webmaster 2008.04.21 7591
9 논평 건강보험 재정운영위원회 가입자위원의 ‘반인권적 공․사 보험 정보 공유 계획 철회’ 입장을 지지한다. file webmaster 2008.04.21 6448
8 논평 대통령의 보건복지가족부 장관 임명은 국민의 의사를 무시하는 것이다. file webmaster 2008.04.21 7148
7 성명 정부는‘대형의료기관과 재벌보험회사가 돈벌이하기 좋은 나라’를 만들려는가? file webmaster 2008.04.21 6853
6 보도자료 의료연대회의 08년 대표자회의에서 ‘건강연대’로 단체명 변경 file webmaster 2008.04.21 6276
5 논평 이명박 정부는 건강불평등 해소를 통해 사회통합을 적극 구현하기 바란다!! file webmaster 2008.04.21 6407
4 2007년 보도성명 자료모음 file webmaster 2008.04.21 5364
3 2006년 보도성명 자료모음 file webmaster 2008.04.21 5260
2 2005년 보도성명 자료모음 file webmaster 2008.04.21 5321
Board Pagination Prev 1 ...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Next
/ 29

서비스 링크

X
Login

브라우저를 닫더라도 로그인이 계속 유지될 수 있습니다. 로그인 유지 기능을 사용할 경우 다음 접속부터는 로그인할 필요가 없습니다. 단, 게임방, 학교 등 공공장소에서 이용 시 개인정보가 유출될 수 있으니 꼭 로그아웃을 해주세요.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