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상의료 운동본부

···

 

< 성 명 >

노동자 대표 조직 배제하는 윤석열 정부 규탄한다

명실상부 노동자를 대표하는 민주노총과 한국노총의

건강보험 재정운영위원 추천 배제 중단하라

 

윤석열 정부의 보건복지부가 국민건강보험법 제33, 34조에 의해 구성되는 건강보험 재정운영위원회 구성에 민주노총과 한국노총을 부당하게 배제하려 하고 있다.

 

국민건강보험법은 “1. 직장가입자를 대표하는 위원 10, 2. 지역가입자를 대표하는 위원 10, 3. 공익을 대표하는 위원 10으로 구성하고, 직장가입자 대표 10명을 노동조합과 사용자단체에서 추천하는 각 5으로 하고, 이렇게 추천한 대표들을 보건복지부장관이 위원으로 임명하거나 위촉하게 하고 있다.

 

그런데 53일 보건복지부는 직장가입자를 대표하는 가장 큰 조직인 민주노총과 한국노총(대략 250만 명의 노동자를 직접 대표)을 의도적으로 배제하고, 대부분 단위 노동조합인 130여 개 노동조합을 공문 수신자로 해 재정운영위원을 추천해 달라고 일방적 공문을 보냈다.

 

우선, 법률에는 노동조합이 5명을 추천하도록 했는데 정부가 근거도 없이 임의로 재정운영위원 추천 노조를 이렇게 소수의 노조로 제한하는 것은 법에 위배된다. 대통령부터 법부장관, 금융감독원까지 검사 출신이 즐비한 정부가 부끄러움을 모른다.

 

둘째, 공문 수신 노동조합 중 민주노총과 한국노총 소속 단위 노동조합들은 상급 총연맹을 배제한 채 재정운영위원회에 참여하려 하지는 않을 것이므로, 윤석열 정부는 이들 노동조합 중 양대노총에 소속되지 않은 노동조합들로부터 위원을 추천받으려는 것으로 보인다. 그러니 양대노총 총연맹뿐 아니라 소속 노동조합도 배제하려는 졸렬한 꼼수다.

윤석열 정부는 주69시간 노동 유연화를 위해 양대노총을 배제하고 조합원이 6천여 명에 불과한 소위 ‘MZ노조가 노동자 대표 조직인 것처럼 굴었었는데, 재정운영위원회 구성도 걸끄러운 양대노총을 배제하고 양대노총에 속하지 않은 소수 노동조합을 이용하려 한다. ‘MZ노조를 이용해 먹으려다 수치스러운 꼴이 되더니 아직 정신을 못 차린 모양이다.

 

셋째, 윤석열 정부는 최초로 건강보험 정부 지원을 법률적으로 (적어도 현재까지)중단한 정부다. 건강보험 재정이 불안하다고 겁주면서도 정부 지원을 하지 않으려 했고, 최초로 보장성도 낮추겠다는 정부다. 그뿐 아니라, 건강보험 재정을 기금화해서 기재부가 뜻대로 주무르려는 의도를 가진 정부다.

이 때문에 요양급여비용의 계약과 보험재정에 관련된 사항을 심의·의결하는 재정운영위원회에 건강보험 보장성 강화 등 건강보험 강화를 위해 싸워 온 양대노총을 전면 배제한 의도는 자명해 보인다. 건강보험 재정을 이런 정부 방향에 맞게 주무르려는 것이다.

 

우리는 윤석열 정부의 이런 졸렬한 꼼수를 강력히 규탄한다. 재정운영위원회에 양대노총을 전면 배제하는 것은 명실상부 노동자들을 대표하는 두 노총을 인정하지 않으려는 비겁한 짓인 동시에, 건강보험 강화를 주장하는 세력을 배제하는 부당한 행태다.

우리는 이런 행태를 건강보험 재정을 더욱 불안정하게 만들어 건강보험을 약화시키기 위한 시도로 규정한다. 모든 건강보험 약화 시도를 즉각 중단하라.

 

즉각 250만 노동자를 대표하는 민주노총과 한국노총의 재정운영위원 추천권을 인정하라.

 

 

 

202354

 

 

 

의료민영화 저지와 무상의료 실현을 위한 운동본부

 

가난한이들의건강권확보를위한연대회의건강권실현을위한보건의료단체연합(건강권실현을위한행동하는간호사회, 건강사회를위한약사회, 건강사회를위한치과의사회, 노동건강연대, 인도주의실천의사협의회, 참의료실현청년한의사회), 건강세상네트워크기독청년의료인회대전시립병원설립운동본부한국의료복지사회적협동조합연합회건강보험하나로시민회의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한국노동조합총연맹전국보건의료산업노동조합전국공공운수사회서비스노조공공운수노조 의료연대본부국민건강보험노동조합전국의료산업노동조합연맹전국농민회총연맹한국농업경영인중앙연합회전국여성농민회총연합전국여성연대빈민해방실천연대(민노련전철연), 전국빈민연합(전노련빈철련), 노점노동연대참여연대천주교빈민사목위원회참교육을위한전국학부모회평등교육실현을위한전국학부모회사회진보연대노동자연대장애인배움터너른마당일산병원노동조합학교급식전국네트워크약사의 미래를 준비하는 모임행동하는의사회건강보험심사평가원노동조합전국정보경제서비스노동조합연맹건강정책참여연구소민중과 함께하는 한의계 진료모임 길벗, 전국보건교사노동조합

?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502 보도자료 보건복지가족부의 “의료 민영화와 관련 없음” 주장에 대한 입장 file 건강연대 2008.06.13 6018
501 보도자료 박능후 보건복지부 장관 후보자에 대한 공개 질의서 file 무상의료운동본부 2017.07.17 3878
500 보도자료 박근혜 후보 영리병원 찬성입장 규탄과 무상의료운동본부 대선 정책요구 발표 기자회견 file 무상의료운동본부 2012.11.29 5537
499 논평 박근혜 정부의 복지 긴축에 대한 논평 file 무상의료운동본부 2015.04.16 5353
498 보도자료 박근혜 정부 건강보험 중기보장성 강화안에 대한 기자설명회 자료 file 무상의료운동본부 2014.11.04 4598
497 성명 박근혜 적폐, 의료민영화의 핵심, 제주 녹지국제영리병원 청산! file 무상의료운동본부 2018.08.09 3654
496 보도자료 박근혜 의료민영화 정책 계승, 금융위원회 ‘건강관리서비스 가이드라인’ 폐기 촉구 기자회견 file 무상의료운동본부 2017.11.03 4483
495 논평 민주당 '실질적 무상의료'정책 추진 논평 file 건강연대 2011.01.12 6243
494 논평 문재인 정부의 첫 건강보험 보장성 강화안, 너무 미흡하고 안온하다. file 무상의료운동본부 2017.08.09 5564
493 보도자료 무상의료운동본부,원격의료 관련 홍남기 기획재정부장관에 공개 면담 요청 file 무상의료운동본부 2020.05.15 3425
492 성명 리베이트 쌍벌제 법제화 촉구 file 건강연대 2010.04.20 6288
491 성명 동아 ST는 ‘조건부 이행 각서’ 불이행에 대한 책임을 져야한다! file 무상의료운동본부 2014.10.14 5192
490 보도자료 대형병원 외래 본인부담 인상 방안 반대 기자회견 file 건강연대 2010.07.08 5168
489 논평 대통령의 보건복지가족부 장관 임명은 국민의 의사를 무시하는 것이다. file webmaster 2008.04.21 7148
488 논평 대통령 선거 결과에 부쳐-박근혜 당선자는 약속한 보건의료공약이라도 이행해야 하며, 의료비 폭등을 가져올 의료민영화 정책을 절회해야 한다 file 무상의료운동본부 2012.12.26 7344
487 보도자료 대선 후보 보건의료 정책 공약에 대한 입장 file 무상의료운동본부 2012.12.17 6829
486 성명 다국적 제약협회 고혈압 치료제 목록정비 대한 의견서 폐기하라 건강연대 2010.02.24 5462
485 보도자료 노동시민사회, 데이터3법 개악 중단, 사회적 논의 요구 공동기자회견 개최 file 무상의료운동본부 2019.11.14 3695
484 보도자료 노동시민사회 공동 긴급 여론조사 결과, 국민 80.3% 가명정보 동의 없이 기업간 제공 반대 file 무상의료운동본부 2019.11.14 5217
483 논평 규제프리존특별법 질의에 대한 대선 경선후보들의 답변 논평 file 무상의료운동본부 2017.03.29 5083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 29 Next
/ 29

서비스 링크

X
Login

브라우저를 닫더라도 로그인이 계속 유지될 수 있습니다. 로그인 유지 기능을 사용할 경우 다음 접속부터는 로그인할 필요가 없습니다. 단, 게임방, 학교 등 공공장소에서 이용 시 개인정보가 유출될 수 있으니 꼭 로그아웃을 해주세요.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