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상의료 운동본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성명]

 

 

윤석열 정부는 건강보험 정부 지원금 즉각 전액 지급하라

 

윤석열 정부에서는 전례없던 일들이 벌어진다. 그중 하나가 2022년 말 건강보험 정부 지원법을 일몰시켜 건강보험에 대한 국가 책임을 털어내려 했던 일이다. 이는 건강보험을 심각하게 약화시키는 것으로, 개인진료정보 전자전송법, ‘비의료 건강관리서비스허용 등 민영보험을 활성화하는 정책들과 비교해 보면 그 의도가 더 분명해진다.

 

다행히 건강보험 정부 지원을 폐기하려는 시도에 대한 건강보험노동조합의 투쟁과 시민사회단체들의 강력한 항의로 건강보험 정부 지원은 다시 5년 연장됐다. 그러나 건강보험 재정 파탄을 걱정한다는 윤석열 정부는 끝내 항구적 지원을 법제화하지는 않았다. 오히려 적정 국고 지원 비율에 대해 논의하겠다고 했다.

 

윤석열 정부를 비롯한 우파 정부들은 상대적으로 건강보험제도 강화에 더 관심이 없다. 건강보험을 민영화하려 했던 이명박 정부가 그랬고, 건강보험 보장성을 축소하고 건강보험을 기금화하려 한(하는) 윤석열 정부가 그렇다. 물론 노골적으로 정부 지원을 줄인다거나 할 정도로 윤석열 정부가 강력하지 않을뿐더러 국민 여론도 그렇게 호락호락하지 않다.

 

그러나 윤석열 정부가 건강보험을 홀대한다는 건 사실이다. 예산에 배정된 건강보험 정부 지원금 109천억 원 지급을 미루고 있는 것도 그중 하나다. 이전 정부들 중 예산에 배정된 건강보험 지원금을 이렇게 미룬 경우는 없었다. 그러나 이 정부는 전례없이 아주 최근에야 예산에 배정된 109천억 원 중 2조가량만 지급했다고 한다. 예산에 배정된 돈이므로 미룰 이유가 없다.

 

건강보험노조가 우려했듯이 윤석열 정부가 정부 지원금 지급을 미뤄 나머지 지원금 중 일부는 집행유보할 가능성도 없지 않다. 주로 부자 감세로 인해 극심한 세수 부족 사태가 발생했기 때문이다. 자신의 잘못된 정책으로 인해 초래된 일의 책임을 다른 데 전가하려 해서는 안 된다.

 

윤석열 정부가 건강보험 재정 파탄 운운하면서도 지원금 지급을 미적거리는 것은 건강보험 재정 강화에 별 관심이 없음을 보여 줄 뿐이다.

윤석열 정부는 정부 지원금 전액을 즉각 지급하라.

 

 

 

 

 

 

2023112

 

의료민영화 저지와 무상의료 실현을 위한 운동본부

 

가난한이들의건강권확보를위한연대회의건강권실현을위한보건의료단체연합(건강권실현을위한행동하는간호사회,건강사회를위한약사회, 건강사회를위한치과의사회, 노동건강연대, 인도주의실천의사협의회, 참의료실현청년한의사회), 건강세상네트워크기독청년의료인회대전시립병원설립운동본부한국의료복지사회적협동조합연합회건강보험하나로시민회의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한국노동조합총연맹전국보건의료산업노동조합전국공공운수사회서비스노조공공운수노조의료연대본부국민건강보험노동조합전국의료산업노동조합연맹전국농민회총연맹한국농업경영인중앙연합회전국여성농민회총연합전국여성연대빈민해방실천연대(민노련전철연), 전국빈민연합(전노련빈철련), 노점노동연대참여연대천주교빈민사목위원회참교육을위한전국학부모회평등교육실현을위한전국학부모회사회진보연대노동자연대장애인배움터너른마당일산병원노동조합학교급식전국네트워크약사의미래를준비하는모임행동하는의사회건강보험심사평가원노동조합전국정보경제서비스노동조합연맹건강정책참여연구소민중과 함께하는 한의계 진료모임 길벗, 전국보건교사노동조합

?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81 보도자료 의료민영화 추진하는 금융위원회 규탄 기자회견 건강연대 2008.12.18 5161
180 성명 [성명] 서울대병원장의 원격의료도입 발표 부적절하다. file 무상의료운동본부 2016.07.08 5163
179 보도자료 대형병원 외래 본인부담 인상 방안 반대 기자회견 file 건강연대 2010.07.08 5168
178 보도자료 ‘의료민영화저지 서명운동 보고 및 6.2 지자체 보건의료부문 5대 정책과제 발표’ 기자회견 file 건강연대 2010.04.07 5169
177 논평 보건의료 5개 핵심 이슈 질의에 대한 대선(경선) 후보 답변에 대한 논평 file 무상의료운동본부 2017.03.31 5169
176 보도자료 20091029건강보험 보장성 강화와 건정심 대응을 위한 기자간담회 file 건강연대 2010.01.12 5172
175 성명 20091214일반인 약국개설 건강연대 2010.01.13 5173
174 보도자료 [기자회견] 재벌특혜 규제프리존법 추진한 ‘박근혜-최순실-전경련’ 특검 고발 기자회견 file 무상의료운동본부 2017.01.23 5184
173 보도자료 ‘민생’과 ‘국민대통합’에 역행하는 민영화 중단 촉구 공동기자회견 (130115) file 무상의료운동본부 2013.02.13 5190
172 성명 동아 ST는 ‘조건부 이행 각서’ 불이행에 대한 책임을 져야한다! file 무상의료운동본부 2014.10.14 5191
171 보도자료 4. 7 세계 보건의 날, 시민사회노동단체 공동기자회견 건강연대 2009.04.08 5202
170 보도자료 20090728_1000만인서명운동발대식 건강연대 2010.01.12 5206
169 성명 [성명] 건강보험은 국민의 것이어야 한다.-건보 이사장 지원자 면담에 즈음한 성명 무상의료운동본부 2014.10.16 5211
168 보도자료 20091010건강보험 재정책임 촉구 캠페인 전개 file 건강연대 2010.01.12 5215
167 보도자료 노동시민사회 공동 긴급 여론조사 결과, 국민 80.3% 가명정보 동의 없이 기업간 제공 반대 file 무상의료운동본부 2019.11.14 5216
166 보도자료 ‘성장’으로 가장한 삼성의 의료민영화 추진을 규탄한다. file 건강연대 2010.10.29 5230
165 보도자료 20090428의료민영화 관련 보궐후보자 설문 file 건강연대 2010.01.12 5238
164 성명 [공동성명] 정보 인권보다 기업 이익 앞세운 국회 규탄한다 file 무상의료운동본부 2019.11.14 5239
163 보도자료 보건복지부는 기등재약 목록정비 포기선언을 즉각 중단하라 file 건강연대 2010.07.19 5241
162 보도자료 [기자회견보도자료]박근혜-최순실-차움의 의료 민영화 커넥션 규탄 기자회견 차움병원이 의료민영화 시크릿가든인가? file 무상의료운동본부 2016.11.18 5257
Board Pagination Prev 1 ...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Next
/ 29

서비스 링크

X
Login

브라우저를 닫더라도 로그인이 계속 유지될 수 있습니다. 로그인 유지 기능을 사용할 경우 다음 접속부터는 로그인할 필요가 없습니다. 단, 게임방, 학교 등 공공장소에서 이용 시 개인정보가 유출될 수 있으니 꼭 로그아웃을 해주세요.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