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상의료 운동본부

조회 수 9842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null)

수신

각 언론사 보건복지부, 사회부담당 및 보건의료전문 담당

 

 

발신

의료민영화저지와 무상의료실현을 위한 운동본부 (02-2677-9982)

 

 

전송일시

20131014() 2

 

 

제목

국민행복의료기획단 상급병실료 실태조사 및 개선방안 관련 성명서

 

 

문의

김경자 무상의료운동본부 공동집행위원장 (011-713-2772)

김재헌 무상의료운동본부 사무국장 (010-7726-2792)

(null)

 

 

 

[ 성 명 서 ]

상급병실료 문제를 원칙적으로 해결하라

 

지난 1010일 국민행복의료기획단은 그간 조사하였던 상급병실료 및 선택진료비 실태를 발표했다. 이 실태조사 결과에 따르면 환자들의 약 60%가 원치 않았는데도 울며 겨자 먹기 식으로 상급병실을 이용하였고, 추가 비용으로 1인실은 거의 40만 원 전후, 2인실도 20만 원씩 매일 환자들이 지불한 것으로 되어 있다. 우리는 이미 3대비급여(상급병실료, 선택진료비, 간병비) 해결 없는 보장성 강화란 있을 수 없으며, 국민들의 허리를 휘게 하는 의료비 폭등의 주범이 이들 비급여임을 지적해 왔다. 이에 늦었지만 이번 조사결과에서 드러난 국민들의 고통을 하루 빨리 박근혜 정부는 해결하기를 바란다.

 

1. 4대중증질환 국가보장 100% 공약은 약속대로 이행되어야 한다. 그리고 그 약속에는 상급병실료, 선택진료비 100% 국가보장이 포함되어 있다.

이 정부의 보건복지부 차관을 비롯하여 몇 명이 마치 박근혜 정부에 공약에 비급여가 포함되어 있지 않은 것으로 밝히고 있으나, 이는 사실이 아니다. 박근혜 정부의 공약집을 보면 4대중증질환의 현재 보장성을 75%로 밝히고 있는데, 이는 상급병실료, 선택진료비를 포함했을 때 나오는 수치로, 마치 공약에 나와 있는 내용을 아닌 듯 외면하는 것은 올바른 태도가 아니다. 또한 이런 비급여 문제를 국민행복기획단등으로 이관하여 마치 공약 외 문제처럼 호도하는 것도 옳지 않다. 이번 발표를 기점으로 어떻게 공약을 이행할 것인지 박근혜 정부는 밝혀야 한다.

 

2. 상급병실료 문제는 원칙적으로 해결해야 한다.

이번 조사결과에서 밝혀졌듯이 응급실 등을 통해 입원하는 필수입원 환자들조차 자발적으로 1, 2인실에 입원하는 환자들과 같은 대우를 받는 것은 부당하다. 상급병실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 대형병원으로의 쏠림현상이나 병상을 둘러싼 분란을 일으킬 것으로 호도하는 것은 더욱 문제이다. 그런 문제는 한국의 잘못된 의료체계에서 비롯한 것으로 병상규제와 의료전달체계 확립으로 해결해야 되는 것이지, 환자들의 호주머니에서 비용을 지급하게 하여 막아야 하는 문제가 아니다. 상급병실료와 관련된 해결을 원칙적으로 하지 못한다면 추후 한국 의료의 어떠한 것도 올바르게 교정할 수 없다. 원칙적으로 비자발적 상급병실이용 환자 전원의 상급병실료는 없어져야만 한다.

 

3. 상급병실료 해결을 핑계로 일반병상 입원료를 상승시켜 본인부담금을 늘리는 일은 결코 있어서는 안된다.

이번 실태조사 결과와 함께 발표한 개선안을 보면 일반병실의 비율을 상향하거나 2~4인실을 일반병실화 한다고 되어 있다. 우려스러운 것은 이러한 비용을 일반병상 입원비를 상향해서 해결하려는 시도이다. 특히 이러한 비용 증가가 일반병상 이용 환자 본인부담의 증가로 이어진다면, 사실상 상급병실료 문제의 해결을 모든 환자들이 분담하는 꼴에 지나지 않게 된다. 한국의 입원 보장성은 OECD 국가 하위권에 머물러 있다. 이는 비급여 문제 때문이다. 보장성을 높이는 것이 아니라, 비급여를 급여로 분담시키는 방식이라면, 사실상 올바른 해결이라고 볼 수 없을 것이다. 보장성 강화에 대해서도 원칙을 지켜라.

 

2013. 10. 14

 

의료민영화저지와 무상의료실현을 위한 운동본부

가난한이들의 건강권확보를 위한 연대회의, 건강권실현을 위한 보건의료단체연합(건강사회를 위한 약사회, 건강사회를 위한 치과의사회, 노동건강연대, 인도주의실천의사협의회, 참의료실현청년한의사회), 건강세상네트워크, 기독청년의료인회, 광주전남보건의료단체협의회, 대전시립병원 설립운동본부, 한국의료생협연합회, 건강보험하나로시민회의,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 한국노동조합총연맹, 전국보건의료산업노동조합, 공공운수노조, 공공운수노조 사회보험지부, 전국의료산업노동조합연맹, 전국농민회총연맹, 한국농업경영인중앙연합회, 전국여성농민회총연합, 전국여성연대, 빈민해방실천연대(민노련, 전철연), 전국빈민연합(전노련, 빈철련), 노점노동연대, 참여연대, 서울YMCA 시민중계실, 천주교빈민사목위원회, 참교육을 위한 전국학부모회, 평등교육 실현을 위한 전국학부모회, 사회진보연대,노동자연대다함께, 장애인배움터 너른마당, 일산병원노동조합, 학교급식전국네트워크, 약사의미래를준비하는모임

?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562 보도자료 제22대 국회 출범에 부쳐- 의료 민영화 막고 건강보험 강화하라 file 무상의료운동본부 2024.06.05 7
561 보도자료 [기자회견] 무분별한 의료 수가 인상 반대! 재정위 거버넌스 정상화 촉구! 기자회견 file 무상의료운동본부 2024.05.31 18
560 성명 [공동성명] AI 정상회의 개최를 핑계로 유명무실한 AI법안의 졸속처리를 압박하는 정부를 규탄한다 file 무상의료운동본부 2024.05.10 58
559 성명 [성명] ‘건강보험 종합대책’이라며 의료민영화 내놓는 윤석열 정부 규탄한다. file 무상의료운동본부 2024.04.25 110
558 논평 [논평] 윤석열 대통령 직속 ‘의료개혁특별위원회’ 위원장 내정 논평 노연홍 한국제약바이오협회장 내정- 윤석열표 ‘의료 개혁’이 사기임을 다시 확인해 주다. file 무상의료운동본부 2024.04.22 214
557 논평 [논평] 제22대 국회의원 총선거 결과에 부쳐 역대 최대 참패를 당한 윤석열 정부 의료 민영화·시장화 정책을 즉각 중단하고 공공의료 확충에 재정을 쏟아야 한다. updatefile 무상의료운동본부 2024.04.11 144
556 보도자료 [보도자료] 제22대 총선 각 정당 보건의료 정책 질의 결과 및 공약 평가 file 무상의료운동본부 2024.04.03 168
555 논평 [공동논평] 22대 국회는 인공지능이 국민 안전과 인권에 미치는 위험을 방지할 제대로 된 규제법을 마련해야 한다 file 무상의료운동본부 2024.04.03 158
554 보도자료 [기자회견] 제22대 총선 낙선 대상자 발표 기자회견-우리 건강과 생명을 위협하는 후보 22인 선정 영리병원 설립과 의료민영화 추진에 앞장선 최악의 후보 4인은 원희룡, 박정하, 강기윤, 윤희숙 file 무상의료운동본부 2024.04.02 226
553 논평 [논평] 윤석열 대통령 대국민 담화 논평 무심코 의사 증원의 진정한 속내를 드러내다 file 무상의료운동본부 2024.04.01 246
552 성명 [성명] 의료계와 보건의료 예산 논의하라는 대통령 의사·병원 단체들에게 예산 편성에 관여하도록 특혜를 주고, 세금을 퍼주는 것이 의료 개혁인가? file 무상의료운동본부 2024.03.27 274
551 논평 [논평] 무늬만 지역·필수 의료 의사 확대- 국가 책임 공공병원 확충, 공공의사 양성 없는 지역·필수 의사 수 확대는 기만이다. file 무상의료운동본부 2024.03.21 303
550 보도자료 [기자회견] 무상의료운동본부 제22대 국회의원 선거 정책 요구안 발표 기자회견 진짜 ‘의료 개혁’은 건강보험 강화, 의료 민영화 중단, 공공의료 확충이다! file 무상의료운동본부 2024.03.14 300
549 성명 [성명] 빅5 등 민간 대형병원 매출 감소를 국민의 건강보험료로 메워줘선 안 된다 file 무상의료운동본부 2024.03.07 277
548 성명 [성명] 비대면 진료 전면 시행은 의료대란의 대책이 될 수 없다. 의료대란 빌미로 한 재벌 대기업을 위한 의료 민영화 정책 중단하라. file 무상의료운동본부 2024.02.23 335
547 보도자료 [보도자료]무상의료운동본부 선정 22대 국회의원 총선거 공천 부적격자 발표 updatefile 무상의료운동본부 2024.02.22 333
546 성명 [성명] 의대정원 확대 반대를 위한 의사들의 집단행동은 아무런 정당성도 없다. 의협과 전공의들은 집단 진료거부 계획을 철회해야 한다. file 무상의료운동본부 2024.02.19 433
545 성명 [성명] 윤석열 정부의 제2차 국민건강보험 종합계획(안) - 공급자(의료기관)와 기업에는 보상을, 가입자(환자)들에게는 벌을 주는 국민건강보험 종합계획 폐기하라. 건강보험을 민간보험 지원과 의료 민영화 추진에 이용하지 말라 file 무상의료운동본부 2024.02.06 415
544 성명 [공동 성명] 실패한 정책 재탕인 윤석열 정부 ‘필수의료 정책 패키지’ 폐기하고 공공의료 강화하라 file 무상의료운동본부 2024.02.05 541
543 성명 [성명] 의료 민영화가 혁신이라는 윤석열 대통령 규탄한다. file 무상의료운동본부 2024.01.31 423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 29 Next
/ 29

서비스 링크

X
Login

브라우저를 닫더라도 로그인이 계속 유지될 수 있습니다. 로그인 유지 기능을 사용할 경우 다음 접속부터는 로그인할 필요가 없습니다. 단, 게임방, 학교 등 공공장소에서 이용 시 개인정보가 유출될 수 있으니 꼭 로그아웃을 해주세요.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