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상의료 운동본부

조회 수 5881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수정 삭제
건강연대, 내일 (23일 수) 제주원정 활동

“영리법인병원 허용은 제주도민과 국민 모두에게 고통의 시작입니다”

1. 정부는 지난 7월 10일 건강연대 주최 토론회에서 국내 영리의료법인 설립 허용에 반대하지 않으며, 이를 제주도에서 시작하여 다른 지역에 허용하는 것도 검토 할 수 있다는 입장을 밝혔다. 때맞춰 제주특별자치도는 영리법인병원 허용을 기정사실화하며 여론몰이에 모든 행정력을 총동원하고 있다. 제주도는 국내영리법인병원 허용과 같은 논란의 소지가 큰 정책을 공청회 한번 없이 공무원 부인들을 상대로 교육을 하는가 하면 ‘영리병원 반상회’ 개최, 각종 사회단체 면담, 찬성광고 조직 등 반민주적 여론몰이에 행정 권력을 남용하고 있다.

2. 28개 노동․농민․보건의료․시민사회단체의 연대체인 건강연대는 의료민영화 추진을 하지 않겠다는 정부여당의 입장발표와는 달리 실제 의료민영화의 핵심인 영리법인병원 설립 허용을 제주에서부터 추진하고 있는 정부의 이중적 태도에 분노하지 않을 수 없다고 밝혔다.

3. 건강연대는 정부와 제주도가 주장하는 국내 영리법인병원이 가정과 허구에 근거하고 있을 뿐 아니라, 국민건강을 크게 위협하는 정책으로써 이의 완전폐기를 촉구하는 제주원정 활동을 내일 (23일, 수) 진행한다고 밝혔다.

4. 세부 활동 계획으로는 ‘의료민영화 및 국내영리병원 저지 제주대책위원회’(이하 제주대책위)와 함께 ▶ 공동기자회견 개최 ▶ 자전거 공동캠페인 진행 ▶ 영리병원 저지 촛불문화제에 참석할 예정이다.

5. 건강연대 관계자에 따르면, 제주부터 도입되는 영리법인병원은 제주도만의 문제가 아닌 전국적 사안이며, 제주도민과 국민의 건강권을 위해 제주도민께 직접 영리병원의 문제점을 전달하고자 원정활동에 나섰다고 행사 개최의 취지를 밝혔다.


제주도에서부터 국내영리법인병원 도입 중단을 촉구하는 공동 기자회견 개최

○ 일시 : 2008. 7. 23. 오전10시
○ 장소 : 제주특별자치도 도의회 도민의 방
○ 주최 : 건강연대
의료민영화 및 국내영리병원 저지 제주대책위원회
○ 주요참석자 : 제주대책위
건강연대 신영전 정책위원장, 건강세상네트워크 조경애 대표, 행동하는의사회 임석영 대표, 건강사회를위한약사회, 공공노조 사회보험지부, 전국보건의료산업노조, 전국공공서비스노조 관계자

‘영리병원 없는 제주 ♡ 사랑’ 자전거 캠페인
○ 일시 : 2008. 7. 23. 기자회견 직후 ~ 촛불문화제 이전
○ 진행 : 자전거 행진, 대국민선전물 전달 등
○ 캠페인 경로 : 제주도청 → 제원아파트 입구 → 광양사거리 → 사라봉 인근 → 중앙로 → 제주시청

‘영리병원 저지 촛불문화제’ 참석
○ 일시 : 2008. 7. 23. 저녁 7시30분
○ 장소 : 제주시청
건강권 보장과 의료 공공성 강화를 위한 희망연대
?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460 보도자료 [기자회견] 윤석열 정부 “건강보험의 지속 가능성 제고 방안” 규탄 기자회견: 윤석열 정부의 “건강보험 지속 가능성 제고 방안”은 보장성 축소, 보험료와 환자 의료비 인상, 국고지원 축소, 민간병원 수익 보장 정책이다. file 무상의료운동본부 2022.12.14 230
459 보도자료 [기자회견] 민간 보험사의 환자 정보 약탈법이자 의료 민영화법인 보험업법 개정안 처리 중단하라. file 무상의료운동본부 2023.09.12 230
458 성명 [성명] 검증되지 않은 인공지능 의료기기와 디지털 치료기기 건강보험 적용에 반대한다. file 무상의료운동본부 2023.07.28 232
457 성명 [성명] 제약·바이오·의료기기 기업 민원 해결사, 의료 민영화, 규제 완화 김승희 후보는 보건복지부 장관으로 더 부적격이다 file 무상의료운동본부 2022.05.31 241
456 논평 [논평] 건강생활실천지원금제 시범사업에 대한 논평 file 무상의료운동본부 2021.06.04 244
455 성명 [성명] 다시 촉구한다. 건강보험 국고지원 일몰제 폐지하고 국고지원 항구적 법제화하라. 국고지원 항구적 법제화와 지원 확대로 보장성 대폭 확대하라. file 무상의료운동본부 2022.12.08 247
454 성명 [성명] 정호영 복지부 장관 지명을 철회하라 file 무상의료운동본부 2022.04.29 248
453 논평 [논평] 1심 판결을 뒤집은 녹지국제병원에 대한 내국인 진료 제한 조건부 허가 취소 청구의 항소심 재판부 판결을 환영한다. 무상의료운동본부 2023.02.15 249
452 논평 [논평] 민간 중심 의료체계를 더욱 공고히 하는 윤석열 정부의 “필수의료 지원대책” file 무상의료운동본부 2023.02.02 253
451 성명 [성명] 의료계와 보건의료 예산 논의하라는 대통령 의사·병원 단체들에게 예산 편성에 관여하도록 특혜를 주고, 세금을 퍼주는 것이 의료 개혁인가? file 무상의료운동본부 2024.03.27 257
450 성명 [성명] 빅5 등 민간 대형병원 매출 감소를 국민의 건강보험료로 메워줘선 안 된다 file 무상의료운동본부 2024.03.07 258
449 성명 [성명] 국민건강보험 기금화는 정부 지원 삭감과 폐지, 보험료 인상, 보장성 축소를 가져온다 file 무상의료운동본부 2022.11.14 261
448 보도자료 [기자회견] 건강보험 정부 지원 항구적 법제화 및 정부 지원 확대 촉구 100만 서명 국회 전달 기자회견 45만 2,122명 서명 동참! 건강보험 정부 지원 한시 조항 폐지! 정부 지원 대폭 확대! file 무상의료운동본부 2022.10.26 269
447 보도자료 [기자회견] 건강보험 정부 지원 항구적 법제화 촉구 기자회견 국민건강보험 재정 항구적 정부 지원 법제화 ‘국민건강보험법 즉각 개정하라’ file 무상의료운동본부 2023.01.26 269
446 보도자료 [기자회견] 의료 민영화인 원격의료와 민간보험사 개인의료정보 전자전송 추진 중단하라 - 공공의료·건강보험 공격하면서 의료 민영화 추진하는 윤석열 정부야 말로 '갈라파고스' 정부 file 무상의료운동본부 2023.02.01 272
445 보도자료 [기자회견] 무상의료운동본부 제22대 국회의원 선거 정책 요구안 발표 기자회견 진짜 ‘의료 개혁’은 건강보험 강화, 의료 민영화 중단, 공공의료 확충이다! file 무상의료운동본부 2024.03.14 281
444 논평 [논평] 무늬만 지역·필수 의료 의사 확대- 국가 책임 공공병원 확충, 공공의사 양성 없는 지역·필수 의사 수 확대는 기만이다. file 무상의료운동본부 2024.03.21 285
443 성명 [공동 성명] 민영보험사 이윤 보장·확대와 국민건강보험 약화를 초래할 개인의료정보 전자전송법 본회의 처리 중단하라 file 무상의료운동본부 2023.09.22 286
442 논평 [논평] 눈가리고 아웅식 숫자놀음과 자화자찬으로 ‘문재인케어’ 실패를 가릴 수는 없다. file 무상의료운동본부 2021.08.12 306
441 논평 [논평] 국민건강보험공단 이사장 공모에 부쳐 file 무상의료운동본부 2021.11.11 315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 28 Next
/ 28

서비스 링크

X
Login

브라우저를 닫더라도 로그인이 계속 유지될 수 있습니다. 로그인 유지 기능을 사용할 경우 다음 접속부터는 로그인할 필요가 없습니다. 단, 게임방, 학교 등 공공장소에서 이용 시 개인정보가 유출될 수 있으니 꼭 로그아웃을 해주세요.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