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상의료 운동본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수 신

각 언론사 사회부정치부

발 신

참여연대 사회복지위원회 ( 담당 : 이경민 간사 010-7266-7727 welfare@pspd.org )

제 목

[보도자료] 규제프리존법 4당 원내대표 협상 중단 기자회견

날 짜

2017. 3. 17. (2 )

 

보도자료

규제프리존법 4당 원내대표 협상 중단 기자회견

규제프리존법 원내대표 협상 중단하고 폐기하라!”

일시 및 장소 : 2017317() 910, 국회 정론관

 

 

1. 오늘(3/17) 4(자유한국당, 더불어민주당, 바른정당, 국민의당) 원내대표가 만나 지역전략산업 육성을 위한 규제프리존의 지정과 운영에 관한 특별법(이하 규제프리존법’)에 대해 논의한다고 한다.

 

2. 규제프리존법은 19대 국회에 이어 20대 국회에서 자유한국당(당시 새누리당) 의원 122명과 국민의당 의원 3명이 발의하였고 현재 기획재정위원회에 계류 중이다. 이 법은 기획재정부장관과 해당 지역 지방자치단체장 등에 의해 특정 지역에서 개별 법 상의 규제를 완화, 철폐 하는 내용을 골자로 하고 있다. 특히 자유한국당과 국민의당, 정부는 지역발전을 도모하기 위해 필요한 법을 주장하고 있다. 그러나 공익적 가치와 직접적으로 연관된 보건의료, 교육, 환경, 경제적 약자 보호 등의 규제를 대폭 완화하는 내용을 포함하고 있어 문제이다.

 

3. 이 법은 대기업 특혜법으로 규제프리존법 도입과 운영이 박근혜 게이트를 통해 드러난 정경유착의 대표적인 사례인 창조경제혁신센터와 연관되어 있는 것이 드러났다. 법안 제93조에 전담기관은 창조경제혁신센터를 지칭하는 것으로 대기업이 지역별로 하나씩 맡아 운영하도록 되어 있음. 또한 여기에는 대기업을 비롯해 이승철, 차은택, 안종범, 김상률 등이 관여되어 있음이 드러났고, 무엇보다 박근혜 대통령은 대기업들에게 미르재단, K-스포츠재단재단 입금을 요구하고 경제활성화법(규제프리존법, 서비스산업발전기본법 등) 통과를 촉구하기도 하였다.

 

3. 이처럼 재벌특혜를 위해 세계 유례없는 규제완화법을 추진하고자 했던 박근혜 대통령과 대기업의 행태가 드러나고 있고, 무분별한 규제완화로 공공성을 해칠 가능성이 큼에도 불구하고 4당 원내대표 면담에서 규제프리존법을 논의한다는 것은 납득할 수 없다. 더욱이 원내대표 면담에서는 규제프리존법 이외에도 서비스산업발전기본법도 논의한다고 한다. 단 한번도 소관위인 기획재정위원회에서 논의조차 되지 않았던 법을 면담의 안건으로 올리는 것은 민주적인 입법과정을 거치지 않은 처사이다. 따라서 정의당 윤소하·추혜선 의원, 노동시민사회단체는 오늘 4당의 원내대표 면담에서 규제프리존법과 서비스산업발전기본법 논의를 중단하고, 법안을 폐기할 것을 촉구하는 기자회견을 개최하였다. .

 

 

[기자회견 개요]

 

제목 : [기자회견] 규제프리존법 4당 원내대표 협상 중단 기자회견

규제프리존법 원내대표 협상 중단하고 폐기하라!”

일시 : 2017317() 910

장소 : 국회 정론관

주최 : 국회의원 윤소하, 국회의원 추혜선, 경제민주화실현전국네트워크, 대한숙박업중앙회, 무상의료운동본부, 보건의료단체연합, 언론개혁시민연대, 전국농민회총연맹, 전국여성농민회총연합, 전국친환경농업인연합회, 전국을살리기국민운동본부, 전국유통상인연합회, 진보네트워크센터, 참여연대, 카톨릭농민회, 환경운동연합

참가자

- 발언1 : 윤소하 (정의당 국회의원)

- 발언2 : 김경자 (무상의료운동본부 공동집행위원장, 민주노총 부위원장)

- 발언3 : 장여경 (진보네트워크센터 정책활동가)

- 발언4 : 김성진 (참여연대 집행위원장, 변호사)

- 발언5 : 맹지언 (환경운동연합 생태보전팀 국장)

170317 규제프리존 정론관1.jpg


170317 규제프리존 정론관2.jpg


170317 규제프리존 정론관3.jpg



?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540 성명 건강연대, 제주도의 영리법인병원 도입무산 결정 환영 file 건강연대 2008.07.28 5446
539 성명 계속되는 의료민영화 정책, 반 인권적 개인질병정보제공 추진을 즉각 철회하라! file 건강연대 2008.07.30 5321
538 보도자료 장종호 심평원장 사표수리, 심평원장 공모 촉구를 위한 건강연대, 심평원노조 공동 기자회견 건강연대 2008.08.06 6075
537 보도자료 전국민 개인질병정보 보호와 보험업법개정안 폐기를 촉구하는 기자회견 건강연대 2008.12.16 6139
536 성명 정부가 책임방기한 차상위 의료급여제도, 국회가 되돌려라! 건강연대 2008.12.18 6253
535 성명 복지부는 건강보험재정운영위원회 구성에 건강보험 가입자의 실질적 대표성을 보장하여야 한다! 건강연대 2008.12.18 5628
534 보도자료 건강보험 재정흑자는 보장성 강화로 다시 국민에게 되돌려주어야 합니다! file 건강연대 2008.12.18 5088
533 보도자료 “건강보험 흑자를 국민에게”- 범 시민사회‘09년 건강보험 보장성 강화 공동요구 기자회견문 - 건강연대 2008.12.18 5553
532 보도자료 의료민영화 추진하는 금융위원회 규탄 기자회견 건강연대 2008.12.18 5161
531 보도자료 의료민영화 4대 악법 철폐와 건강보험 보장성 강화 촉구 기자회견 file 건강연대 2008.12.18 5514
530 성명 국회는 과잉처방 약제비 환수법을 즉각 개정하라! 건강연대 2008.12.18 5266
529 보도자료 제주특별법 중 의료분야 개정안에 대한 의견서 file 건강연대 2009.03.17 6324
528 보도자료 제주특별법 교육 의료분야 개정안에 대한 공동 기자회견 file 건강연대 2009.03.17 6314
527 보도자료 약가거품빼기 정책에 역행하는 심평원 규탄 기자회견 file 건강연대 2009.03.17 4905
526 성명 의료민영화 악법 ‘의료채권법’, ‘경제특구법’ 추진 즉각 중단 건강연대 2009.03.17 5362
525 논평 약가거품인하 시범사업에 대한 복지부 입장 논평 건강연대 2009.03.17 5556
524 보도자료 의료민영화 추진 기획재정부 규탄 기자회견 file 건강연대 2009.03.17 6051
523 보도자료 4월임시국회개원_기자회견 건강연대 2009.04.08 5141
522 보도자료 4. 7 세계 보건의 날, 시민사회노동단체 공동기자회견 건강연대 2009.04.08 5202
521 보도자료 20090415기획재정부 장관과의 공개 토론회 제안 건강연대 2010.01.12 5335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 28 Next
/ 28

서비스 링크

X
Login

브라우저를 닫더라도 로그인이 계속 유지될 수 있습니다. 로그인 유지 기능을 사용할 경우 다음 접속부터는 로그인할 필요가 없습니다. 단, 게임방, 학교 등 공공장소에서 이용 시 개인정보가 유출될 수 있으니 꼭 로그아웃을 해주세요.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