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상의료 운동본부

···

 

<성명>

녹지국제병원 개설 허가 취소는 당연하다.

제주도는 제주특별법 내 영리병원 특례조항 전면 삭제에 나서라!

 

영리병원인 녹지국제병원에 대한 두 번째 개설 허가 취소가 결정됐다.

이번 개설 허가 취소는 중국녹지그룹의 귀책 사유로 이뤄진 개설 허가 취소이다. 중국녹지그룹 측이 병원과 의료 장비를 완전히 매각하면서 외국의료기관 개설 허가 조건인 외국인 투자 비율을 충족하지 못해 개설 허가 취소가 이뤄진 것이다. 개설 허가 취소는 사필귀정이다.

 

이제 중요한 것은 제주도에서 영리병원 논란이 반복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이미 오영훈 제주도지사 당선인은 영리병원 반대 입장을 분명히 하고, 제주특별법 내 영리병원 특례조항 폐기를 약속했다.

 

남은 것은 제주특별법 내 영리병원 특례조항 폐기뿐이다. 이미 작년 9월 위성곤 국회의원이 제주특별법 내 영리병원 특례조항을 전면 폐기하는 제주특별법 개정안을 국회에 제출한 상태이다. 하지만 제주도의 반대로 해당 상임위 논의조차 진행되지 못하고 있다.

 

제주특별법 제정 후 16년 동안 영리병원 논란이 이어졌다. 여러 차례의 영리병원 설립 시도가 있었지만 단 한 차례도 성공하지 못했다. 더 이상 논쟁은 불필요하다. 제주도는 영리병원의 외국인 전용 병원 안을 폐기하고 오영훈 제주도지사 당선인의 의지대로 제주특별법 내 영리병원 특례조항 폐기 입장을 조속히 국회에 제출하라.

 

의료민영화-영리화 쓰나미가 밀려온다. 윤석열 정권은 정부와 기업은 한 몸이라 칭하며 전방위적인 규제 완화와 공공부문 민영화를 예고하고 있다. 윤석열 정권의 의료민영화-영리화 광풍이 불기 전에 제주특별법 내 영리병원 특례조항을 반드시 폐기해야 한다.

 

광주고등법원 제주재판부에도 강력히 요구한다. 재판부는 중국녹지그룹의 외국의료기관개설 허가조건 취소 청구 소송을 각하하라! 현재 재판이 진행 중인 외국의료기관개설 허가조건 취소 청구 소송 또한 이번 개설 허가 취소 결정으로 녹지 측의 실익이 없어졌다.

 

우리 운동본부는 녹지 국제 병원 문제가 완전히 해결되고, 제주특별법 내 영리병원 특례조항이 완전히 폐기될 때까지 싸워나갈 것이다.

 

2022. 6. 21

 

의료민영화 저지와 무상의료실현을 위한 운동본부

의료영리화 저지와 의료공공성 강화를 위한 제주도민 운동본부

 

 

 

?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521 성명 2013년 건강보험 보장성과 수가 결정에 대한 입장 file 무상의료운동본부 2012.11.29 6258
520 보도자료 2091117‘영리병원 도입 반대-의료민영화 악법 저지 전국 순회 캠페인’ 발대식 기자회견 건강연대 2010.01.12 5150
519 보도자료 21대 국회의원 총선거 결과에 부쳐-21대 국회와 문재인 정부가 해야 할 일 file 무상의료운동본부 2020.04.20 3506
518 보도자료 4. 7 세계 보건의 날, 시민사회노동단체 공동기자회견 건강연대 2009.04.08 5202
517 취재요청 4대질환 100% 국가보장 공약파기, 국민우롱 박근혜 당선인 규탄 기자회견 file 무상의료운동본부 2013.02.13 6795
516 보도자료 4대질환 100% 국가보장 공약파기, 국민우롱 박근혜 당선인 규탄. 보건의료정책제안 기자회견 file 무상의료운동본부 2013.02.13 5936
515 보도자료 4월임시국회개원_기자회견 건강연대 2009.04.08 5141
514 취재요청 5.1 영리병원 도입 저지를 위한 노동시민사회단체 공동결의대회 file 관리자 2012.05.07 6810
513 보도자료 6.13 지방선거 정책질의 응답 결과 발표 file 무상의료운동본부 2018.06.08 3830
512 보도자료 6.13 지방선거 정책질의 응답 결과 발표 2 file 무상의료운동본부 2018.06.11 3653
511 보도자료 62지방선거 광역자치단체장 입후보자 보건의료정책설문 file 건강연대 2010.05.27 4827
510 성명 <긴 급 성 명> 환자생명을 볼모로 막가파식으로 폭주하는 홍준표 도지사를 박근혜 정부는 막아야 한다 file 무상의료운동본부 2013.04.03 5616
509 논평 <논평> 국민건강보험공단을 보건복지부 퇴직 공무원의 취업제한기관으로 지정해야 한다. 무상의료운동본부 2019.10.03 4050
508 성명 <성 명> 보험가입자 편의성 핑계로 보험업계 숙원사업 해결하려는 실손의료보험 청구 간소화 법안 폐기하라 무상의료운동본부 2019.10.24 4022
507 논평 KDI연구보고서(‘민간의료보험 가입과 의료이용의 현황) file 건강연대 2008.07.24 7155
506 취재요청 MB정부 의료민영화 정책 재추진 규탄 기자회견 file 무상의료운동본부 2012.11.29 6251
505 보도자료 MB정부 의료민영화 정책 재추진 규탄 기자회견 file 무상의료운동본부 2012.11.29 5325
504 보도자료 [176개 노동시민사회단체 기자회견] 공공의료 포기 밀실 거래 규탄 기자회견 file 무상의료운동본부 2020.09.04 2704
503 보도자료 [결의대회]건강보험 재정, 국고지원 정상화 및 확대 쟁취를 위한 민주노총·무상의료운동본부 결의대회 file 무상의료운동본부 2019.08.14 3297
502 보도자료 [공개질의] 정부 방역 당국에 보내는 공개 질의 file 무상의료운동본부 2021.11.24 228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 29 Next
/ 29

서비스 링크

X
Login

브라우저를 닫더라도 로그인이 계속 유지될 수 있습니다. 로그인 유지 기능을 사용할 경우 다음 접속부터는 로그인할 필요가 없습니다. 단, 게임방, 학교 등 공공장소에서 이용 시 개인정보가 유출될 수 있으니 꼭 로그아웃을 해주세요.

X